• 제목/요약/키워드: premolar

검색결과 985건 처리시간 0.03초

가철성 다이 시스템으로 제작된 작업 모형과 솔리드 작업 모형 상에서 제작된 지르코니아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3-unit monolithic zirconia fixed partial dentures fabricated from solid working casts and working casts from a removable die system)

  • 이완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72-81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가철성 다이 시스템으로 제작된 작업 모형과 솔리드 작업 모형을 이용해 치과용 캐드캠 시스템(CAD/CAM)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변연 및 내부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우측 제1소구치와 하악 우측 제1대구치에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위한 치아 삭제 프로토콜을 수행하고, 하악 우측 제2소구치가 없는 레퍼런스 모델을 만들었다. 레퍼런스 모델은 폴리비닐 실록산 인상체를 사용하여 복제되었고, 일반적인 치과 기공 절차에 따라 20개의 작업 모형이 제작되었다. 비교 분석을 위해, 10개의 지르코니아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은 가철성 다이 시스템에서, 나머지 10개는 솔리드 작업 모형에서 제작되었다. 모든 작업 모형은 치과용 데스크탑 스캐너를 사용하여 디지털화되었고,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최종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은 밀링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변연 및 내부 적합도 평가는 레퍼런스 모델에 제작된 보철물을 위치시키고, 디지털 평가 방법으로 적합도가 측정되었다. 두 그룹 간의 통계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이 적용되었다(α = 0.05). 결과: 가철성 다이 그룹은 솔리드 작업 모형 그룹에 비해 소구치와 대구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적합도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특히 변연 및 교합 간격에서 유의하게 높은 편차를 보였다. 색상 편차 맵에서도 가철성 다이 그룹이 변연 및 교합 영역에서 더욱 높은 편차를 보였다. 결론: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적합도 차이는 가철성 다이 시스템의 작업 모형 상에서 제작된 치과 보철물에서 초래되었으며, 이를 통해 가철성 다이 제작 방법이 치과 고정성 보철물의 정확성에 영향이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이동양상에 따른 교합력 변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비교 연구 (Changes in occlusal forc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after loss of lower first molar: comparative study by using a strain gauge)

  • 송명자;박지만;전윤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47-59
    • /
    • 2016
  • 목적: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경사 및 정출 정도에 따른 교합력의 변화를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 및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경사 및 정출이 심화되는 정도를 점진적으로 네 개의 다이에 표현 후, CAD/CAM 제작 맞춤형 다이 시스템을 통하여 주모형에 부착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하였다. 치아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 후, 만능물성시험기로 저작력을 가하면서 상하악 치아의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alpha}=.05$). 결과: 대구치 상실 후 치아이동에 따른 교합력의 양상은, 네 단계의 모형에 대한 교합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감소 추세였다. 음식물 저작 시 인접 치아들의 이동에 따라 상악 제1, 2소구치, 하악 제2대구치에서 점차 교합력이 감소되었다. 음식물의 경도가 감소함에 따라 치아의 교합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육포 저작 시 하악 제2대구치의 교합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 < 0.05). 결론: 하악 제1대구치가 상실되고 치아 이동이 일어나기 전에는 저작 시 치아가 상실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교합력이 높은 반면, 치아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교합력은 정량적으로 감소하였다.

Anthropometric Analysis of Facial Foramina in Korean Population: A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ic Study

  • Lim, Jung-Soo;Min, Kyung-Hee;Lee, Jong-Hun;Lee, Hye-Kyung;Hong, Sung-Hee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3
    • /
    • 2016
  • Background: Position of the facial foramina is important for regional block and for various maxillofacial surgical procedures. In this study, we report on anthropometry and morphology of these foramina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data.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ho have undergone 3D-CT scan of the facial skeleton for reasons other than fracture or deformity of the facial skeleton. Anthropometry of the supraorbital, infraorbital, and mental foramina (SOF, IOF, MF) were described in relation to facial midline, inferior orbital margin, and inferior mandibular margin (FM, IOM, IMM). Thi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sex and age. Additionally, infraorbital and mental foramen were classified into 5 positions based on the anatomic relationships to the nearest perpendicular dentition.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137 patients meeting study criteria. Supraorbital foramina was more often in the shape of a foramen (62%) than that of a notch (38%). The supraorbital, infraorbital, and mental foramina were located 33.7 mm, 37.1 mm, and 33.7 mm away from the midline. The mean vertical distance between IOF and IOM was 13.4 mm. The mean distance between MF and IMM was 21.0 mm. The IOF and MF most commonly coincided with upper and lower second premolar dentition, respectively. Between the sex, the distance between MF and IMM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males than for female. In a correlation analysis, SOF-FM, IOF-FM and MF-FM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but IOF-IOM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we have reported anthropometric data concerning facial foramina in the Korean population, using a large-scale data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of facial skeletons. The correlations made respect to patient sex and age will provide help to operating surgeons when considering nerve blocks and periosteal dissections around the facial foramina.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GLES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IN MESIODISTAL DIRECTION BY USING ORTHOPANTOMOGRAM

  • Kim, Young Joon;Choi, Hyun S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7-666
    • /
    • 1996
  • Orthopantomogram is commonly used to evaluate root parallelism. "Good parallelism" between roots is widely accepted as one of the guidelines of a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In case there was a large angle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and if we valued only the position of crown in establishing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considering of the situation of root, the problem of root arrangement between adjacent teeth would be occurred. The estimate of root parallelism in mesiodist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must be emphasized.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importance and correlation of the angle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Orthopantomograms of 105 orthodontic patients being treated in Yonsei university were used in this study. Twenty-eight teeth in both maxilla and mandible were selected and analyzed quantitively to evaluate the angle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and obtain the correlationship among the individual tee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teeth presenting normal distribution, the maxillary right canine showed the largest mean value( $5.73{\pm}4.42^{\circ}$), which was composed of the crown-root angles, and the mandibular left lateral incisor showed the smallest mean value( $0.60{\pm}3.76^{\circ}$). 2. The crown-root angles of the maxillary incisors and the first molars, and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and the first molars didn't show normal distribution and the ranges of these angles were dispersed.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the crown axis and the root axis except for lower first premolars. (p<0.05)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for the crown-root angle between right and left side, (p<0.05)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for the crown-root angle between male and female except for lower left first premolar. (p<0.05) 6. In the upper righ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upper lef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In the lower righ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In the lower lef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p<0.05)

  • PDF

Periodontal regenerative effect of a bovine hydroxyapatite/collagen block in one-wall intrabony defects in dogs: a histometric analysis

  • Jung, Ui-Won;Lee, Jung-Seok;Park, Weon-Yeong;Cha, Jae-Kook;Hwang, Ji-Wan;Park, Jung-Chul;Kim, Chang-Sung;Cho, Kyoo-Sung;Chai, Jung-Kiu;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6호
    • /
    • pp.285-292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 of a bovine hydroxyapatite/collagen (BHC) block in one-wall intrabony periodontal defects in dogs. Methods: A one-wall intrabony periodontal defect (4 mm wide and 5 mm deep) was prepared bilaterally at the mesial side of the mandibular fourth premolar in five beagle dogs. After thorough root planing, block-type BHC ($4{\times}5{\times}5$ mm) was placed on one side. The contralateral defect area did not receive any material as a sham-surgery control.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sites was performed after an 8-week healing period. Results: Two of five sam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ealed well without dissipation of the graft materials, and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excellent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al tissues. However, most of the grafted materials had been displaced in the other three samples, leaving only a small portion of the graft. The measured parameters exhibited large standard deviations, and the mean valu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sham-surgery control sides.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BHC alone-without a barrier membrane-to wide, one-wall intrabony periodontal defects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regarding both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substantivity of the graft materials. Thus, the use of a barrier membrane for noncontained-type defects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grafted material, and to condense it.

CT 이미지를 사용한 Micro-implants 식립을 위한 매부학적 연구 (An Anatomical Study using CT Images for the Implantation of Micro-implants)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35-441
    • /
    • 2002
  • 교정치료의 고정원으로서 수술용 Microscrew가 소개되고 사용되어 왔다. 몇몇 임상가들은 Miniscrew혹은 Microscrew를 치근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치근 하방의 기저골에 식립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저자는 Microimplant를 치근 손상없이 치근사이의 치조골에 식립하여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렇게 하므로서 치근하방에 식립할때 생기는 문제점인 수직 분력이 커지고 수평 분력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악의 경우 적절한 후상방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치조골에 상악의 경우 치아 장축에 대하여 30-40도의 각도로, 하악의 경우 10-20도의 각도로 식립하여 교정력의 방향을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바꾸고 긴 Micro-implant를 치근 손상의 위험성을 줄이며 식립하여 안정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Mciro-implant를 치근사이 치조골에 식립하는데 기준이 되는 어떠한 연구도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Micro-implant식립에 기준이 되는 즉 치근 손상 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부위의 선택을 위한 근거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1명 환자를 대상으로 치조골로부터 5-7mm에 해당하는 CT 절단면을 선택하여 피질골의 두께, 피질골 표면과 치근과의 거리, 치근사이의 거리등을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피질골의 두께, 골 표면과 치근사이의 거리, 인접 치근사이의 거리등을 구하였다. .피질골의 두께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이행할수록 두꺼웠다. 특히 하악골 구치부에서 가장 두꺼웠다. 인접 치근 사이의 거리 계측 항목에서 상악에서는 제2소구치와 제 1대구치사이,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발치와 비발치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EPHALOMETRIC MEASUREMENTS: EXTRACTION VS. NON-EXTRACTION GROUPS OF CLASS I MALOCCLUSION)

  • 유형석;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1-770
    • /
    • 1997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와 영동세브란스 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최근에 교정치료가 끝난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중 소구치를 발치하고 치료한 발치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비발치 치료군 71명을 선정하고 다시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와 성인으로 분류하여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분석 사진을 통하여 치아와 연조직의 수평$\cdot$수직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SN-MP angle, E-line에 대한 상순의 이동,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이동량,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이동량 등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치아계측항목과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2. 청소년기의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전치부 수평 변화 항목,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에 대한 상,하순의 위치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성인에서의 발치와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수평적 위치 변화와,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 고경 및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과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상,하순의 위치 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4. 청소년기와 성인 모두에서 SN-MP angle의 변화는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 PDF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한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치열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arch characteristics of bialveolar protrusion patients us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 이수경;성재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5-54
    • /
    • 2006
  • 최근 안모의 심미성이 중요시되면서 구순 돌출로 인한 비심미성을 해소하고자 내원하는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모형을 이용한 연구는 극히 적다. 모형을 이용하는 연구는 주로 손으로 직접 계측하거나 2차원 평면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근래에 3차원 레이저 스캐너가 도입되면서 모형을 이용한 연구를 좀 더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하여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치열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양악 치조골 전돌자 20명과 정상교합자 20명을 대상으로 치아 크기, 치열궁 폭경 및 치열궁 길이, 치열궁과 구개의 형태를 비교하여 본 결과 양악 치조골 전돌자는 정상교합자보다 치아 크기가 크고, 하악 견치간 폭경 및 제1소구치간 폭경이 크며 치열궁 길이가 길었다. 그리고 치열궁 형태와 구개 형태에서 정상교합자와 차이를 보였다.

상악 전치 intrusion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DURING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 박춘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9-272
    • /
    • 1997
  • Segmented arch mechanics를 적용하여 상악 전치에 intrusive force를 가할 때 저항중심의 전후방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상악 6전치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intrusion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수, 치축의 경사도 및 치조골의 흡수 정도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축경사도와 치조골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치아의 수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는 다음과 같았다. 1) 중절치 2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부위에 위치하였다. 2) 중절치와 측절치 4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 공간의 후방 2/3 부위에 위치하였다. 3)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6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견치 브라켓 후방 약 3mm 부위로 견치와 제1소구치의 치간부에 위치하였다. 4) 치아의 수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4전치군 보다는 6전치군에서 후방 이동량이 크게 나타났다. 2. 절치의 순측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3. 치조골의 흡수량이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 PDF

발치 및 비발치 치료 전후 악궁 폭경의 변화 (Change in arch width in extraction vs nonextraction treatment)

  • 전지윤;김수정;강승구;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65-72
    • /
    • 2007
  • 일반적으로 네 개의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치료는 비발치 치료에 비하여 치열궁 폭경을 더 좁게 만들어, 미소시 구각 부위에 어두운 구강 내 공간, 소위 buccal corridor를 형성함으로써 비심미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 발치 치료는 오히려 하악의 견치간 폭경을 증가시키며,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악궁 폭경의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이 연구는 발치 치료와 비발치 치료 시 악궁 폭경의 변화를 관찰하여 실제적으로 발치 치료가 미소 시 협측 분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전악에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여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를 받은 30명과 비발치로 치료한 30명의 치료 전후 연구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악궁 폭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 시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상악의 견치간 폭경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견치간 폭경은 유의하게 더 많이 증가하였다. 구치간 폭경 변화는 상악과 하악 치열궁 모두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발치군에서 구치간 폭경이 감소한 반면에 비발치군에서는 구치간 폭경이 증가하였다. 미소시 노출되는 악궁 폭경은 비발치군보다 발치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열궁 폭경의 축소가 발치 치료 시 당연히 예상되는 결과가 아님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