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germin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Production of Hypoallergenic Cocoa Beans by a Pregermination Treatment Method

  • Handoyo, Tri;Mitsugu, Akagawa;Kim, Kyung-M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123-128
    • /
    • 2015
  • Pregermination treatment of cocoa beans either with the testa, group PCB (+T), or without the testa, group PCB (-T), was studied here to determine whether this treatment (incubation up to 120 h at $25^{\circ}C$) has any effect on the levels of allergenic proteins or on chemical composition. Our proximate analysis included carbohydrates, proteins, and lipids. We used western blotting to measure changes in the amounts of allergenic proteins in the cocoa beans during the pregermination treatment.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 of both groups (with or without the testa) decreased slightly during this treatment, whereas lipid content increased. Group PCB (-T) showed more rapid metabolic processes than did group PCB (+T) during the pregermination treatment.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cocoa beans contained an allergenic protein of ~28 kDa. Removal of the testa strongly reduced the amount of this allergenic protein after 72 h of the pregermination treatment. Generally, the pregermination treatment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both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activity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PCB (-T) and PCB (+T). Particularly, group PCB (-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t 72 h of the pregermination treatment. Thus, the combination of cocoa beans without the testa and pregermination treatment (72 h) seems to be the optimal method for production of hypoallergenic cocoa beans rich in antioxidants for patients with allergic disorders.

병원성사상균이 Alfalfa 유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thogenic Fungi on Growth of Alfalfa Seeding)

  • 최기춘;김종섭;임계택;김동후;김광현;윤창;문승주;전우복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1-149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hogenic hngi(Fusarium culmorurn, Fusarium oxyspomm fsp. lycopersici, Fusaiurn solani, Rhizoctonia solani), pregermination time(0, 6, 9, 12, 18, 24, 48 hrs.) and temperature($12^{\circ}C, 18^C{\circ}, $28^C{\circ}$) on growth of alfalfa seedling. The survival rate of alfalfa was decreased by pathogenic hngi and treatment of pregermination and survival rate of alfalfa resulted in higher than that of nontreatment of pregermination. Pathogenicity of fungi was increased as increased the temperature(P<0.05). The emergence rate of alfalfa was decreased when pathogenic fungi were inoculated. However, the emergence rate was increased when seeds were pregerminated(P<0.05)

  • PDF

Cinosulfuron에 대한 벼 품종간의 생육반응과 Acetolactate Synthase 활성에 미친 영향 (Response and Acetolactate Synthase Activity in Different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to Cinosulfuron)

  • 박상조;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2-139
    • /
    • 1996
  • 제초제 cinosulfuron에 대해서 감수성이 각각 다른 두 품종을 선발해서 반응차이의 원인을 비교 검정하였다. 벼 어린식물체의 반응시험에서는 Indica type인 IR 74가 Japonica type인 화진벼보다 cinosulfuron에 대해서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두 품종에서 추출한 ALS 효소의 활성은 cinosulfuron에 대해 비슥한 억제작용을 보였다. 10ppm cinosulfuron 처리에 대한 두 벼 품종간의 생육반응과 효소활성의 비교에서는 ALS효소 활성과 생육이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IR 74의 효소활성과 생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화진벼에 있어서는 제초제 처리 후 5일째에 효소활성이 떨어졌으며 이시기에 유묘의 생육도 상당히 억제되었다. 두 벼 품종의 ALS효소는 cinosulfuron에 대해서 비슷한 감수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cinosulfuron을 처리한 유식물로부터 추출 가능한 효소의 양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아 다른 요인 즉 대사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두 벼 품종의 생육반응이 다르게 나타난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 PDF

수목종자 직파에 의한 암반절개사면 부분녹화 (Studies on Partial Revegetation of Rock Cut-Slope by Direct Seeding of Woody Species Seeds)

  • 홍성각;김종진;이덕수;이기철;윤택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1
    • /
    • 1999
  • 본 연구는 암반절개사면에 천공 또는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조성한(전사면의 $10{\sim}20%$) 식생기반에 자생수종(소나무, 붉나무, 담쟁이덩굴)의 종자 또는 파종립을 직파하여 식생을 도입하는 암반사면 부분 녹화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발아촉진처리된 종자에 피트모스, 진흙, 흡습제(3.5:1:0.2, v/v)를 피복한 파종립$(1{\sim}2cm^3)$은 대조구 종자보다 포장 및 현지 실험에서 발아율이 약 2배 더 높았다. 현지 실험에서 직파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한 묘목의 생존율은 여름 및 가을철 직파시 보다 봄철 직파시에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현지 실험에서 공시 수종의 파종립과 종자의 발아율은 퇴비가 포함된 배양토에서 $0{\sim}3%$로 매우 낮았는데 퇴비는 발아종자 또는 유묘의 모잘록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묘의 생존율은 외부 침입 초본류에 의한 피압과 피압 받은 후 겨울철 건조에 영향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공율이 낮은 여름철 직파법의 대안으로써 1998년 8월에 소나무, 담쟁이덩굴 2년생 포트묘를 암반절개지에 식재한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