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ive tool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9초

PMP 모델을 활용한 시판 Salad의 Short-term Temperature Abuse 시 미생물학적 유통기한 예측에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Microbiological Shelf Life Estimation of Fresh-cut Salad with Short-term Temperature Abuse)

  • 임정호;박기재;정진웅;김현수;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33-638
    • /
    • 2012
  • 시판 샐러드제품의 구입부터 가정까지의 이동 및 소비직전까지 적정하지 않은 온도관리를 예상하여 단기간의 온도 abuse 상황을 설정하고 미생물적 유통기한을 도출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유통기한 설정을 위해 예측미생물학의 3단계 모델인 PMP 7.0을 활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부적절한 온도에서의 abuse 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은 빠르게 증식하여 샐러드 제품의 유통기한 시점으로 판단되는 log 7 CFU/mL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졌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0.020에서 1.083까지 grow rate도 증가했으며, 이 모델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2$의 값은 전 실험구에서 0.9 이상을 나타내었다. PMP 7.0으로 예측된 미생물의 증식양상은 온도에 따라 0.017~0.235 CFU/mL/hr로 나타났으며, 모든 구에서 0.994~1.000까지 높은 수준의 $r^2$을 나타내었다. 또 PMP를 활용하여 도출한 유통기한의 경우도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실측된 값을 바탕으로 한 샐러드 제품의 유통기한은 유통매장에 도착하기까지 48시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유통기한은 109.1~63.0시간까지로 추정되며 PMP로 도출된 유통기한(24.1~626.5시간)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이는 온도 abuse에 의한 영향 및 fail safe에 해당하는 결과로 안전성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관리적 측면에서 과도한 기준의 설정 등을 통해 관리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예측미생물학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설정 및 품질관리를 위한 초기 미생물 기준 설정시 특정 식품에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인 시도가 될 것이나, 이를 전반적인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통계적, 실제적 오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오히려 관련 효율을 저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천식의 감별진단에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Methacholine Bronchial Challenge Test in Differentiating Asthma From COPD)

  • 홍윤경;정치량;백경현;김소리;민경훈;박성주;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5호
    • /
    • pp.433-439
    • /
    • 2006
  • 연구배경: COPD 환자에서 천식을 동반한 환자들이 많이 있다고 보고 되어 있었고 기관지 과민성이 높은 비율로 보고되어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가 이두 질환을 감별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치료에 대한 도움을 얻고자 연구하였다. 방 법: 전북대학교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65명의 천식환자 23명의 COPD환자, 대조군에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를 분석하였다. 결 과: 각 군의 $PC_{20}$의 평균값은 천식군, COPD군 및 대조군에서 각각 $8.1{\pm}1.16$, $16.9{\pm}2.21$$22.0{\pm}1.47mg/mL$이고, 천식군, COPD군 및 대조군의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의 양성율은 각각 65%, 30%와 9%였다.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 양성 판정 기준을 $PC_{20}$ 16 mg/mL 이하로 가정할 때 천식군과 COPD군의 양성율은 80%와 30%이었고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률 및 음성예측률은 각각 80%, 75%, 78%와 78%였다. 결 론: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의 양성기준을 $PC_{20}{\leq}16mg/mL$으로 하였을 때 천식 및 COPD가 동반된 천식과 순수한 COPD의 감별에 보다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궁극적으로 COPD 환자들에게 보다 개별적이고 적절한 치료적 접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단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Asthma predictive index as a useful diagnostic tool in preschool children: a cross-sectional study in Korea

  • Lee, Dong Hyeon;Kwon, Ji-Won;Kim, Hyung Young;Seo, Ju-Hee;Kim, Hyo-Bin;Lee, So-Yeon;Jang, Gwang-Cheon;Song, Dae-Jin;Kim, Woo Kyung;Jung, Young-Ho;Hong, Soo-Jong;Shim, Jung Y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3호
    • /
    • pp.104-109
    • /
    • 2020
  • Background: It is challenging to diagnose asthma in preschool children. The asthma predictive index (API) has been used to predict asthma and decide whether to initiate treatment in preschool children.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questionnaire-based current asthma with API, pulmonary function, airway hyperreactivity (AHR), fractional expiratory nitric oxide (FeNO), and atopic sensitization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We performed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in 916 preschool children aged 4-6 years. We defined current asthma as the presence of both physician-diagnosed asthma and at least one wheezing episode within the previous 12 months using a modifi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questionnaire. Clinical and laboratory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urrent asthma. Results: The prevalence of current asthma was 3.9% in the study population. Children with current asthma showed a higher rate of positive bronchodilator response and loose and stringent API scores than children without current asthma. The stringent API was associated with current asthma with 72.2% sensitivity and 82.0% specificity.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stringent API for current asthma was 0.771. However, no intergroup differences in spirometry results, methacholine provocation test results, FeNO level, or atopic sensitization rate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questionnaire-based diagnosis of current asthma is associated with API, but not with spirometry, AHR, FeNO, or atopic sensitization in preschool children.

고막 체온계와 이마 체온계의 정확성 및 유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Accuracy and Usefulness of Tympanic Membrane and Forehead Thermometers)

  • 윤기욱;임인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20-825
    • /
    • 2005
  • 목 적 : 감염과 질병상태의 유용한 인자인 열의 존재와 정도를 좀더 손쉽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고막체온계 및 이마체온계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지 중앙대학교 부속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았던 환아 중 무작위로 1,050명을 선출하여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은 체온계, 고막 체온계(BRAUN IRT $3020^{(R)}$) 및 이마 체온계(HubDIC $DOTORY^{(R)}$)로 동시에 체온을 측정하였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고막 체온계와 이마 체온계의 측정치는 각각 표준 검사인 수은 체온계의 측정치와 유의한 상관관계 및 상호 교환성을 가졌으며, 양측 고막 간, 그리고 고막 체온계와 이마 체온계 사이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발열에 대한 고막 체온계의 민감도는 오른쪽과 왼쪽에서 각각 81.1%, 82.4%였고, 양성 예측률은 각각 81.8%, 73.6%였다. 이마 체온계의 민감도는 83.3%였으며, 양성 예측률은 74.4%였다. 결 론 : 고막 체온계(BRAUN IRT $3020^{(R)}$) 및 이마형 체온계(HubDIC $DOTORY^{(R)}$)가 액와형 수은체온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 및 일치성을 보이며(P<0.05), 또한 발열에 대한 민감도 및 양성 예측률이 매우 높아 일상의 가정에서나 병원에서 진료목적으로, 연구 목적으로 체온 측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Comparison between Visual Inspection of Cervix and Cytology Based Screening Procedures in Bangladesh

  • Nessa, Ashrafun;Nahar, Khadiza Nurun;Begum, Shirin Akhter;Anwary, Shahin Ara;Hossain, Fawzia;Nahar, Khair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607-7611
    • /
    • 2013
  • Background: Cervical cancer continues to be a major problem in Bangladesh with approximately 18,000 new cases annually of which over 10,000 women die from it. Visual inspection of the cervix after 3-5% acetic acid (VIA) application is a simple and easy to learn method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although cytology-based screening is more often applied in developed countries where it has successfully reduced the prevalence of cervical cancer. Objective: To compare the efficacy of VIA and cytology-based primary methods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Bangladesh. Materials and Methods: This hospital based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at the VIA centre and Colposcopy Clinic of Bangabandhu Sheikh Mujib Medical University (BSMMU) from October 2008 to October 2010. Results: Among 650 women, 74 (11.4%) were VIA+ve and 8 (1.2%) had abnormalities in their Pap smear reports. During colposcopy, 38 (7.7%) women had different grades of CIN and 4 (0.6%) had cervical cancer. The gold standard histology findings proved 20 women had CIN I, 14 had CIN II/II and 4 had cervical cancer. Among the 38 histology diagnosed abnormalities, VIA test could identify 30 abnormalities including two cervical cancers. However, Pap smear could detect only 8 cases of histological abnormalities (2 low grade and 6 had high grade lesion) and it missed all the cervical cancer cas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VIA were 88.9% and 52.1%.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were 41.0%, and 92.6% respectively. Moreover,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Pap smear were 33.3%, 95.8%, 75.0% and 79.3%, respectively. Conclusions: VIA test should be used as the primary screening tool even with its low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low resource countries like Bangladesh. False positive results may be greater, but overtreatment can be minimized by colposcopy evaluation of the VIA positive women.

정상혈압 폐색전증에서 위험도 평가도구로서의 D-dimer의 역할 (D-dimer as a Prognostic Tool in Patients with Normotensive Pulmonary Embolism)

  • 윤재철;김원영;최상식;정상구;손창환;김원;임경수;정태오;진영호;이재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87-92
    • /
    • 2010
  • Background: D-dimer testing is widely applied as a first step in the diagnostic work-up of pulmonary embolism (PE). Although this is the most sensitive assay for ruling out PE, the prognostic implications of D-dimer testing in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are not well know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D-dimer testing on admission predicts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in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Methods: A total of 180 consecutive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admitted between January 2003 and June 2009 were included. The group was divided into quartiles on the basis of their D-dimer levels.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MACE by quartile of D-dimer level and estimat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redictive values for MACE in the first and fourth quartile. Results: In the 37 (20.6%) patients with MACEs, the median D-dimer level (7.94[IQR:4.03~18.17]${\mu}g/mL$) was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a benign course (5.29[IQR:2.60~11.52]${\mu}g/mL$, p<0.01). The occurrence of MAC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dimer level (p=0.017). In the first quartile (D-Dimer <$2.76{\mu}g/mL$)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predicting MACEs were, respectively, 91.9%, 29.4%, 25.2%, and 93.3%. Conclusion: Patients with D-dimer levels below $2.76{\mu}g/mL$ have a low risk of MACEs. Our study suggest that D-dimer level may be used to identify low risk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A Study on the Build of Equipment Predictive Maintenance Solutions Based on On-device Edge Computer

  • Lee, Yong-Hwan;Suh, Jin-H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65-1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적인 스마트 팩토리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중앙의 센터까지 전송, 처리할 때 발셍하는 전송 지연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필요한 곳에 연산과 저장 장치를 도입하는 분산 컴퓨팅 패러다임 (Distributed Computing Paradigm)인 온-디바이스 (On-Device) 기반 에지 컴퓨팅 (Edge Computing)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 및 활용 방법의 연구를 통하여 설비 고장 등을 예지하여 가동율을 높일 수 있는 산업현장의 설비관리에 활용되는 솔루션을 제안한다. 그러나 에지 컴퓨팅 기반의 기술이 실제 적용되더라도 네트워크 에지에서 장치의 증가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데이터 센터로 전달되어 네트워크 대역이 한계치에 이르게 되어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에도 데이터 센터는 수많은 응용에서 중요한 요건이 되는 수용 가능한 전송 속도와 응답 시간을 보장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구조건을 수용할 수 있는 일체형 하드웨어 기술과 공장관리 및 제어 기술을 적용한 설비보존 및 스마트 팩토리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하여 생산성 증대를 지원할 수 있는 지능적 설비관리를 지원하도록 하여 추후 빅데이터에 적합한 딥러닝을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설비 예지 보전 분석 도구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화평법에 따른 급성 수생독성 예측을 위한 QSAR 모델의 활용 가능성 연구 (Applicability of QSAR Models for Acute Aquatic Toxicity under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in the Republic of Korea)

  • 강동진;장석원;이시원;이재현;이상희;김필제;정현미;성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9-166
    • /
    • 2022
  • Background: A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QSAR) model was adopted in the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 EU) regulations as well as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AREC, Republic of Korea). It has been previously used in the registration of chemicals.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data provided by three prediction programs using a QSAR model and actual experimental results (acute fish, daphnia magna toxicity). Through this approach, we aimed to effectively conjecture on the performance and determine the most applicable programs when designating toxic substances through the AREC. Methods: Chemicals that had been registered and evaluated in the Toxic Chemicals Control Act (TCCA, Republic of Ko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prediction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U.S. EPA - the Ecologic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ECOSAR) and Toxicity Estimation Software Tool (T.E.S.T.) models - were utilized along with the TOPKAT (Toxicity Prediction by Komputer Assisted Technology) commercial program. The applicability of these three program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ree parameters: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The prediction analysis on fish and daphnia magna in the three programs showed that the TOPKAT program had better sensitivity than the others. Conclusions: Although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TOPKAT program when using a single predictive program was found to perform well in toxic substance designation, using a single program involves many restrictions.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predictions by utilizing multiple methods when applying the prediction program to the regulation of chemicals.

설명가능 AI 기반의 변수선정을 이용한 기업부실예측모형 (Corporate Bankruptcy Prediction Model using Explainable AI-based Feature Selection)

  • 문건두;김경재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241-265
    • /
    • 2023
  • 기업의 부실 예측 모델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 역할을 한다. 적시에 경고하고 대응 조치를 용이하게 하며 파산 위험을 완화하고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투자자와 금융 기관은 금융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실 예측 모델을 이용한다. 기업 부실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석 가능성과 신뢰성이 강조되며 기업 부실 예측에서 설명 가능한 AI 모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널리 채택된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기법은 유망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나 변수 수에 따른 계산 비용, 처리 시간, 확장성 문제 등의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전체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대신 부트스트랩 된 데이터 하위 집합에서 SHAP 값을 평균화하여 변수 수를 줄이는 새로운 변수 선택 접근법을 소개한다. 이 기술은 뛰어난 예측 성능을 유지하면서 계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석 가능성이 높은 선택된 변수를 사용하여 랜덤 포레스트, XGBoost 및 C5.0 모델을 훈련하여 분류 결과를 얻고자 한다. 분류 결과는 고성능 모델 설계를 목표로 soft voting을 통해 생성된 앙상블 모델의 분류 정확성과 비교한다. 이 연구는 1,698개 한국 경공업 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고유한 데이터 그룹을 생성한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은 각 데이터 그룹의 SHAP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SHAP 값 평균은 최종 SHAP 값을 도출하기 위해 계산된다. 제안된 모델은 해석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예측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versus MRI as an Adjunct to Full-Field Digital Mammography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Breast Cancer according to Mammographic Density

  • Haejung Kim;So Yeon Yang;Joong Hyun Ahn;Eun Young Ko;Eun Sook Ko;Boo-Kyung Han;Ji Soo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1호
    • /
    • pp.1031-1043
    • /
    • 2022
  • Objective: To compare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BT) and MRI as an adjunct to full-field digital mammography (FFDM) for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women with breast cancer based on mammographic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280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had undergone FFDM, DBT, and MRI for preoperative local tumor staging. Three radiologists independently sought the index cancer and additional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breast cancers using either FFDM alone, DBT plus FFDM, or MRI plus FFDM. Diagnostic performances across the three radiologists were compared among the reading modes in all patients and subgroups with dense (n = 186) and non-dense breasts (n = 94) according to mammographic density. Results: Of 280 patients, 46 (16.4%) had 48 additional (39 ipsilateral and nine contralateral) cancers in addition to the index cancer. For index cancers, both DBT plus FFDM and MRI plus FFDM showed sensitivities of 100% in the non-dense group. In the dense group, DBT plus FFDM showed lower sensitivity than that of MRI plus FFDM (94.6% vs. 99.6%, p < 0.001). For additional ipsilateral cancers, DBT plus FFDM showed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100% in the non-dense group, but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MRI plus FFDM (p > 0.05). In the dense group, DBT plus FFDM showed higher specificity (98.2% vs. 94.1%, p = 0.005) and PPV (83.1% vs. 65.4%; p = 0.036) than those of MRI plus FFDM, but lower sensitivity (59.9% vs. 75.3%; p = 0.049). For contralateral cancers, DBT plus FFDM showed higher specificity than that of MRI plus FFDM (99.0% vs. 96.7%, p = 0.014), however, the other values did not differ (all p > 0.05) in the dense group. Conclusion: DBT plus FFDM showed an overall higher specificity than that of MRI plus FFDM regardless of breast density, perhaps without substantial loss in sensitivity and NPV in the diagnosis of additional cancers. Thus, DBT may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preoperative breast cancer staging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