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biotic suga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A Two-stage Process for Increasing the Yield of Prebiotic-rich Extract from Pinus densiflora

  • Jung, J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380-392
    • /
    • 2018
  • The importance of polysaccharides is increasing globally due to their role as a significant source of dietary prebiotics in the human diet.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maximize the yield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inus densiflor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optimize a two-stage extraction process consisting of steam explosion and water extraction. Three independent main variables, namely, the severity factor (Ro) for the steam explosion process, the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circ}C$), and the ratio of water to raw material (v/w), were studied with respect to prebiotic sugar content. A Box-Behnken design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se single-factor tests. The experimental data were fitted to a second-order polynomial equation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xamined using the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showed that both the severity factor (Ro) and the ratio of water to material (v/w)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biotic sugar content.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two-stage process were as follows: a severity factor (Ro) of 3.86, a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of $89.66^{\circ}C$, and a ratio of water to material (v/w) of 39.20. Under these conditions, the prebiotic sugar content in the extract was 332.45 mg/g.

Optimization of Sugar Replacement with Date Syrup in Prebiotic Chocolate Milk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Kazemalilou, Sahar;Alizadeh, Ainaz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49-455
    • /
    • 2017
  • Chocolate milk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non-fermentative dairy products, which, due to high level of sucrose, could lead to diabetes and tooth decay among childr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place sucrose with other types of sweeteners, especially, natural ones. In this researc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optimize the ingredients formulation of prebiotic chocolate milk, date syrup as sweetener (4-10%w/w), inulin as prebiotic texturizer (0-0.5%w/w) and carrageenan as thickening agent (0-0.04%w/w) in the formulation of chocolate milk. The fitted models to predict the variables of selected responses such as pH, viscosity, total solid, sedimentation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chocolate milk showed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e independent effect of carrageenan was the most effective parameter which led to pH and sedimentation decrease but increased viscosity. Moreover, in most treatments, date syrup and inulin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which had a mutual impact. Optimization of the variables, based on the responses surface 3D plots showed that the sample containing 0.48% (w/w) of inulin, 0.04% (w/w) of carrageenan, and 10% of date syrup was selected as the optimum condition.

Optimized Substrate Concentrations for Production of Long-Chain Isomaltooligosaccharides Using Dextransucras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 Lee, Min-Sung;Cho, Seung-Kee;Eom, Hyun-Ju;Kim, So-Young;Kim, Tae-Jip;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141-1145
    • /
    • 2008
  • Isomaltooligosaccharide (IMO) is a promising dietary component with prebiotic effect, and the long-chain IMOs are preferred to short chain ones owing to the longer persistence in the colon. To establish the optimal process for synthesis of long-chain IMOs, we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action condition of dextransucras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by changing the ratio of sucrose to maltose (varying as 1:4, 1:2, 1:1, and 2:1) and amount of each sugar (from 2% to 20%). As a result, a ratio of 2:1 (sucrose to maltose, 10:5% or 20:10%, w/v) was determined as an optimal condition for long-chain IMO synthesis (DP3-DP9) with relatively higher yields (70-90%, respectively).

Bifidobacterium longum과 자일로올리고당을 포함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변내 균총과 배변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ministration of synbiotics mixture containing Bifidobacterium longum and xylooligosaccharide on fecal microbiot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in healthy volunteers)

  • 이정숙;박형섭;경명옥;조성은;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4호
    • /
    • pp.390-405
    • /
    • 2020
  • 본 연구는 probiotics와 prebiotics로 구성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배변 활동 및 변내 균총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probiotics 섭취 중단 후에도 prebiotics인 XOS 섭취가 장내 유익균총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XOS의 건강기능성 확인을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BL2XO6군과 BL2XO2군의 체위 자료는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내 pH는 시료 섭취 전 두 군 모두 7.0이하로 약 산성이었으나, 시료 섭취 1주차 BL2XO6군에서 pH 7.16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주차 이후는 pH 7.0 이하의 값을 보여 시료 섭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내 균총의 변화를 보면 BL2XO6군의 경우 Clostridium spp. 은 시료 섭취 후 변 내 균 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Bifidobacterium spp.은 시료 섭취 후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4주차에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이외 주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longum은 모든 주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서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BL2XO2군의 경우 시료 섭취 후 Lactobacillus spp.과 B. longum은 synbiotics 섭취 1주에만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각 주차별로 변 내 균총의 변화율에서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균총은 Clostridium spp.와 Lactobacillus spp.이었다. 즉, Clostridium spp.은 2주차에서, Lactobacillus spp.는 4주차에서 BL2XO6군과 BL2XO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료 섭취 전·후 Bacteroidetes와 Firmicutes의 비율은 두 군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섭취 전·후의 변의 양, 변의 상태 및 배변 횟수, 복통 및 CSS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군에 따른 차이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만을 섭취할지라도 장내 균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유지하고 있어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로 XOS 섭취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B. longum을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와 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통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순도 Galactooligosaccharide 제조 및 유산균 증식 활성 (Preparation of High Purity Galacto-Oligosaccharide and Its Prebiotic Activity In Vitro Evaluation)

  • 홍기배;서형주;김재환;권혁권;박청;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26-1032
    • /
    • 2015
  • 본 연구는 ${\beta}$-galactosidase와 효모 발효에 의해 고순도 갈락토올리도당(HP-GOS)의 제조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6종의 상업용 ${\beta}$-galactosidase를 이용해 효소반응 전후의 구성당을 각각 비교한 결과, Lactozym 3000L을 이용하여 제조한 GOS에서 효소반응을 통해 생성된 total GOS의 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된 GOS의 농도는 초기 lactose로부터 51%의 전환율을 나타냈다. 또한 GOS의 수율은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발효에 의해 더욱 높아졌는데, 효모를 8% 첨가하여 36시간 발효 후 생성된 GOS의 농도는 71%까지 도달했음을 확인하였다. HPLC를 이용한 구성당 분석 결과, S. cerevisiae에 의한 발효를 통해 제조한 HP-GOS에는 발효 전에 존재했던 glucose의 함량이 급감되었을 뿐 아니라, 4'/6'-galactosyllactose와 total GOS의 양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HP-GOS는 상업용 GOS보다 Lactobacillus 속(L. acidophilus and L. casei) 및 Bifidobacterium 속(B. longum and B. bifidum)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효소 처리 및 효모 발효를 통해 고순도의 GOS가 제조되었으며, 제조된 HP-GOS는 상업용 GOS에 비해 장내 유용균으로 알려진 Bifidobacterium 속과 Lactobacillus 속의 생육을 증가시킴으로써 인간의 장내 건강에도 유익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