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learning concept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피부미용 전공 학생들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수업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eam Based learning (TBL) for Students Majoring in Skin Care - Focus o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Cooperative Self Efficacy -)

  • 박정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69-4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 전공 학생들을 위한 TBL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G대학교 전공 교과목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TBL은 학습내용에 대한 선행학습과 그로 인해 절약된 강의시간을,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는 연습활동에 투입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이에 개발연구방법론으로 ADDIE 모형과 TBL 모형을 적용하여 기존의 강의식으로 진행했던 '피부미용' 교과목을 TBL 수업으로 재설계하였으며, 주차별 선행학습자료, 사전학습 확인용 퀴즈, 팀활동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4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통하여 TBL 수업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전공개념 획득 및 적용을 평가한 학업성취도에서 TBL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비교집단인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높은 성취도를 나타났다. 둘째, TBL 수업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TBL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4.0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기술하고, 향후 TBL 수업 개선 및 연구를 위한 3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의지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Practical Intention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 최혜숙;심규철;소금현;여성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2호
    • /
    • pp.129-14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Subjects were 15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ly 41 items which were constructed by 3 components; 'the perception of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attitude to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environment' and 'the practical intention of personal change for sustainable lifestyle'. The key findings suggest that most students associate strongly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ir environmental as against economic and social aspect. Most of them incline toward eco-centrism but they had complex attitud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environment. They have intention to act for sustainable lifestyle such as purchasing habits, recycling, energy water saving, forms of transportation, nature conservation and education. However, they prefer to act passively than actively in a certain aspect of sustainable lifestyl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be helpful to work ou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경험과 이해도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oftware Education)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1-89
    • /
    • 2018
  • SW교육의 성패는 교사들의 역량과 이해에 의존하기에 다수의 교육대학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SW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과 SW교육 교육과정 및 교육효과에 대한 이해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C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94명의 3~4학년 학생들이었다.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과 관련해서, 다수가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 유용성, 지속적 학습 의지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나, 프로그래밍 경험에 만족하지 못하며, 프로그래밍을 어렵게 여기고, 자신의 프로그래밍 수준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W교육 관련 교육과정 이해'에 대해서는 다수가 SW교육의 필요를 인정하고, 배정된 시간이 불충분하다고 이해하였으며, SW교육을 실과 교과에서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적인 이해가 고루 나뉜 편이었다. 이와 비교할 때, SW교육의 개념 및 특성 그리고 교육과정의 세부 내용들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SW교육의 효과 이해'와 관련해서는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포함한 6가지 효과 모두에 대해서 다수가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더불어서 심화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 SW교육 관련 교육과정 이해 그리고 SW교육 효과 이해와 관련한 다수의 항목들에 대해서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SW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호의 측도로 도(Degree)와 라디안 이해하기 (Understanding of Degree and Radian by Measuring Arcs)

  • 최은아;강향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47-4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degree)와 라디안을 호의 측도로 해석하는 것이 라디안과 각의 측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호의 길이를 이용한 각의 측도에 대한 내용지식을 26명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두 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들과 두 중학생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도(degree)의 개념을 호의 측도로 해석한 경험이 라디안의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호의 측도로 각의 측도를 파악하는 과정이 '선형 측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각에 관한 다양한 문제에서 원의 맥락과 호의 등분 전략이 효과적인 문제해결전략으로 작용하였으며, 각과 호의 측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할 수 있는 직접적인 조작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각의 측정 개념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필터뱅크 기반 프로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한 빔포밍 최적화 (Beamforming Optimization Using Filterbank-based Frost Algorithm)

  • 박지훈;이성주;홍정표;정상배;한민수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6호
    • /
    • pp.73-86
    • /
    • 2008
  • Beamforming is one of the spatial filtering techniques which extract only desired signals from noisy environments using microphone arrays. Fixed beamforming is a simple concept and easy to implement. However, it does not show good performance in real noisy conditions. As an adaptive beamforming, Frost algorithm can be a good candidate. It uses the concept of the linearly constrained minimum variance (LCMV) algorith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st and the LCMV algorithm is the error correction scheme which is very effective feature in the aspect of performance. In this paper, as quadrature mirror filtering (QMF)-based filterbank is utilized as the pre-processing of the Frost beamformning, the filter length and the learning rate of each band is optimiz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is measured by the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he Bark's scale spectral distortion (BSD).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김윤민;류현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691-709
    • /
    • 2016
  • 수학 예비교사의 신념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설계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인 끈기 요인, 수학학습에 대한 신념인 교사주도 요인, 활동참여 요인,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흥미 요인은 다른 수학적 신념요인들과 관련성이 많았다. 둘째,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인 고정관념 요인이 교사주도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고, 수학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인 과정 요인이 활동참여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학년별 수학적 신념 비교에서는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인 고정관념, 유용성 요인과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유익성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전공별 수학적 신념비교에서는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유익성 요인과 자신감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수학적 신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가 지녀야 할 수학적 신념이 무엇인지를 정립하고, 예비교사교육과정, 교수 학습 방법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반화 수단으로서 매개변수의 인식과 오류에 대한 연구 -중학교 2학년 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오류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arameters as Means of Generalization)

  • 지영명;유면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803-825
    • /
    • 2014
  • 대수학습의 초기부터 사용되고 있는 문자기호 중 한 문자내 부정성(변수)과 고정성(상수)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매개변수개념은 그 모호성 때문에 소극적 암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수 학습에서 매개변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오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매개변수개념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매개변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초보적인 학습자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제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논점을 바탕으로 현 대수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본 연구자는 A중학교 2학년 한 교실의 35명의 학생들과 B대학교 학부과정에 있는 예비교사 73명을 대상으로 문자기호에 관한 동일한 설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대해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문자기호에 관한 인식양상을 분석한 결과, 매개변수개념의 이해에 관한 여러 가지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특히, 문자기호의 인식의 동질성에 관한 통계적 처리결과 두 집단 간의 문자기호의 인식양상은 뚜렷하게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 나지연;장병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85-9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by using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an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for science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ever, few respondents indicated that student-centered equipment or a free and creative classroom environment would be provided. Second, they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teacher's activi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facilities and equipment, but most of the other teachers' activities were thought to be similar to those of current teachers. Thir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a variety of new technologies would be used i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s would mainly teach high-technology, IT technology, science knowledge, and newly discovered science concepts.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s were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se results show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expected to utilize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in science education in 2030 and that it will lead to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itie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hey viewed acquisition of science concept as an important goal of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from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scholars' emphasis on educational research for the future.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Building Up Smart Literacy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전미연;김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1-426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 환경으로 바뀌는 교육 시스템 하에서 향후 교수 학습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정착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현직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확보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제안할 필요성이 있어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스마트 리터러시 기초 조사를 통해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둘째, 교사의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지표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에게 적용할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정의와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기준 지표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고,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 실제 현장과 같은 첨단 학습 환경에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현장 적응력을 키울 도록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메타버스를 활용한 이공계 대학원생 팀 프로젝트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Graduate Student Team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Applying Metaverse Technology)

  • 전주희;김마리;김보경;강규리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9-2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 metaverse-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e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existing non-contact education models, and major teaching strategies systematically. Based on the prior researche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using metaverse is developed that presents metaverse-related teaching strategies and design principles for the before-, during-, and after-lesson phases. Then, this model was applied to a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o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revised the metaver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Metaver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efore-lesson phase is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paration stage for class participation, which includes familiarization with the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formation of expectations for education, and self-directed pre-learning. During the lesson, to effectively deliver the lesson content, it is necessary to build confidenc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promote learning participation, provide reference materials, perform team projects and provide feedback, digest learning content, and transfer learning content. The after-lesson phase provides strategies for ongo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mentor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utilizes metaverse and shows the potential of metaverse-based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bas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