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breeding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표고 교잡균주들의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에 미치는 배지성상과 발색반응 시약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Media Types and Chromagenic Chemicals on the Detection of Extracellular Laccase Activity among Lentinula edodes Strains)

  • 김준영;권혁우;당룡장;고한규;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8-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표고 교잡균주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교잡균주간의 laccase 효소의 활성을 비교하는 빠르고 간편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균사체 배양 배지의 성상과 염색물질이 laccase 활성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비교하였다. 고체배지와 액체배지 모두에서 발색시약이 Remazol Brilliant Blue R(RBBR)일 경우는 potato dextrose 성분 보다 malt extract 성분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표고버섯균 균사가 분비하는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이 용이하였다. Guaiacol을 발색시약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potato dextrose 성분과 malt extract 성분 배지 모두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이 용이하였다. 2ml microfuge tube를 이용한 액체 배양 방법은 RBBR와 Guaiacol 모두 malt extract 성분배지에서 3일만에 표고 교잡균주간의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과 정량적 비교를 가능케 하였다.

표고 야생형 계통의 배양 및 형태적 특성 비교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omparison of the Wild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ed on Sawdust Substrate)

  • 박영애;서수영;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85
    • /
    • 2018
  • 야생 표고 26개 균주를 육종의 소재로 활용할 목적으로 배양 특성 및 버섯 생산성과 자실체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균사의 배양 온도($10^{\circ}C$, $20^{\circ}C$, $30^{\circ}C$)에 따른 균사 생장력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온도 조건에서 공통적으로 평균 이상의 생장력을 갖는 균주는 NIFoS 68, NIFoS 136, NIFoS 1521, NIFoS 1651, NIFoS 2064였다. NIFoS 411 균주는 $20^{\circ}C$에서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인 반면 $30^{\circ}C$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다. 배양 배지의 중량 감소율은 13.5~47.5%로 NIFoS 50 (47.5%), NIFoS 128 (34.5%), NIFoS 54 (34.4%)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6개 균주 중 24개 균주에서 버섯이 발생되었고, 생산성은 3~446 g/2 kg이었다. 버섯 생산량과 온도별 균사 생장력은 크게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량 감소율이 클수록 자실체 수확량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산량 측면을 고려할 때, 3개 균주 NIFoS 50 (446 g), NIFoS 53 (421 g), NIFoS 952 (435 g)은 육종 소재로 활용 가능하였고, 형태적인 면을 고려할 때 NIFoS 667 균주가 우수하였으며, NIFoS 670 균주는 자실체의 갓이 황갈색인 특징을 보였다.

엽록체 전장유전체 비교를 통한 PCR 기반의 Solanum brevicaule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Development of PCR-based markers specific to Solanum brevicaule by using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species)

  • 박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30-38
    • /
    • 2022
  • Solanum brevicaule는 괴경을 형성하는 감자 야생종 중의 하나로 감자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중요한 몇 가지 병에 대해 저항성 보여 감자의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이용된 S. brevicaule의 EBN이 2인 사실로 인하여 재배종 감자와의 생식에 의한 종자생산에 장벽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유전체 기술에 의해 완성된 S. brevi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와 다른 7개 Solanum 종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를 비교하여 S. brevicaule를 다른 Solanum 종과 구별할 수 있는 Solanum 종 특이적인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S. brevi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의 총길이는 155,531 bp였으며, Blastn을 통해 S. spegazzinii 및 S. kurtzianum과 각각 99.99% 및 99.89%의 유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구조와 유전자의 구성이 다른 Solanum 종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계통수 분석에서도 다른 Solanum 종들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엽록체 전장 유전체 다중 정렬에서는 총 27개의 S. brevicaule 특이적인 SNP 영역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세 개의 SNP 영역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S. brevicaule 특이적인 PCR 기반의 CAPS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S. brevi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와 S. brevicaule 특이적인 분자마커의 결과는 향후 Solanum 종을 대상으로 한 진화와 S. brevicaule를 이용한 감자품종 육성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도 검정과 저항성 관련요인 분석 (Screening of Potato Cultivars for Infestation by Selatosomus puncticollis Mot.(Coleoptera: Elasteridae) and Analysis of Factors Assiciated with Resistance)

  • 권민;박천수;함영일;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7-163
    • /
    • 2000
  •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lpha$-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sect Resistance and Horticultural Trait Genetic Values of Potato Families

  • Souza, Velci Queiroz de;Pereira, Arione da Silva;Silva, Giovani Olegario da;Carvalho, Fernando Iraja Felix de;Oliveira, Antonio Costa de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69-74
    • /
    • 2008
  • This work aimed to evaluate 11 potato families for insect resistance horticultural traits. The families were derived from crosses between introduced insect resistant and adapted genotype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used. The plot consisted of 25 genotypes of a family, summing up to 75 genotypes tested per family. Two susceptible cultivar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 as checks. The genotypes were evaluated for insect resistance, tuber yield traits, tuber appearance and tuber skin smoothness. The genetic value for the intensity of insect attack in the leaves and in the tubers was lower(higher resistance) in the 11 families than in the checks. For yield traits, there was no predominant effect among the families regarding the origin of the resistant donor species(Solanum berthaultii and/or S. chacoense). However, there was a large contribution of the C-1485-16-87 recurrent parent in crosses with resistant genotypes for tuber yield and tuber number. In relation to tuber appearance, only the family derived form the C-1485-16-87/ ND140(S. berthaultii) cross did not differ from the checks. had genetic value tuber skin smoothness, it was identified that families derived from S. berthaultii resistant parents showed higher genetic values than the check cultivars. For tuber skin smoothness, the genetic values of the families neither differed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nor from the checks.

  • PDF

Transcriptome analysis, microsatellite marker information, and orthologous analysis of Capsicum annuum varieties

  • Ahn, Yul-Kyun;Karna, Sandeep;Kim, Jeong-Ho;Lee, Hye-Eun;Kim, Jin-Hee;Kim, Do-S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11-316
    • /
    • 2016
  • The efficacy of plant breeding has been enhanced by application of molecular markers in population screening and selection.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 major staple crop that is economically important with worldwide distribution. It is valued for its spicy taste and medicinal effe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microsatellite markers information, and percentage sharing through orthologous analysis of pepper-specific pungency-related genes. Here, we report the results of transcriptome analysis and microsatellite markers for four pepper varieties that possess a pungency-related gene. Orthologous analyses was performed to identify species-specific pungency-related genes in pepper, Arabidopsis thaliana L., potato (Solanum tuberosum L.), an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Advancement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enabled us to quickly and cost-effectively assemble and characterize genes to select molecular markers in various organisms, including pepper. We identified a total of 9762, 7302, 8596, and 6886 SNPs for the four pepper cultivars Blackcluster, Mandarine, Saengryeg 211, and Saengryeg 213, respectively. We used 454 GS-FLX pyrosequencing to identify microsatellite markers and tri-nucleotide repeats (54.4%), the most common repeats, followed by di-, hexa-, tetra-, and penta-nucleotide repeats. A total of 5156 (15.9%) pepper-specific pungency-related gene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orthologous analysis.

Rpi-blb2-Mediated Hypersensitive Cell Death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AVRblb2 Requires SGT1, but not EDS1, NDR1, Salicylic Acid-, Jasmonic Acid-, or Ethylene-Mediated Signaling

  • Oh, Sang-Keun;Kwon, Suk-Yoon;Choi, Doi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254-260
    • /
    • 2014
  • Potato Rpi-blb2 encodes a protein with a coiled-coil-nucleotide binding site and leucine-rich repeat (CC-NBSLRR) motif that recognizes the Phytophthora infestans AVRblb2 effector and triggers hypersensitive cell death (HCD).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onents required for Rpi-blb2-mediated HCD in plants, we used virus-induced gene silencing to repress candidate genes in Rpi-blb2-transgenic Nicotiana benthamiana plants and assayed the plants for AVRblb2 effector. Rpi-blb2 triggers HCD through NbSGT1-mediated pathways, but not NbEDS1- or NbNDR1-mediated pathways. In addition, the role of salicylic acid (SA), jasmonic acid (JA), and ethylene (ET) in Rpi-blb2-mediated HCD were analyzed by monitoring of the responses of NbICS1-, NbCOI1-, or NbEIN2-silenced or Rpi-blb2::NahG-transgenic plants. Rpi-blb2-mediated HCD in response to AVRblb2 was not associated with SA accumulation. Thus, SA affects Rpi-blb2-mediated resistance against P. infestans, but not Rpi-blb2-mediated HCD in response to AVRblb2. Additionally, JA and ET signaling were not required for Rpi-blb2-mediated HCD in N. benthamiana.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bSGT1 is a unique positive regulator of Rpi-blb2-mediated HCD in response to AVRblb2, but EDS1, NDR1, SA, JA, and ET are not required.

감자 '하령' 품종의 친환경재배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otential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Potato cv. 'Haryeong')

  • 박영은;정진철;조현묵;조지홍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8-262
    • /
    • 2008
  • 본 시험은 2006년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육성한 '하령' 감자를 실제 농가에서 재배함으로써 다양한 병원균에 대한 포장저항성을 평가하여 친환경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품종별 평균 AUDPC는 '수미' 품종이 1377.7, '하령' 품종이 590.3으로서 '수미' 품종보다 '하령' 품종이 매우 강한 포장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시험처리 간에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하령' 품종이 많았으며, 단위면적(10a) 당 평균 수량은 '하령' 품종이 2,870 kg, '수미' 품종이 2,301 kg으로 '하령' 품종이 25% 증수를 보였다. 두 품종의 평균 건물률은 '수미' 품종이 16.1%, '하령' 품종이 18.8%로서 '하령' 품종이 2.7% 높았으나 처리 간 건물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시험을 통하여 '하령' 품종은 친환경 감자 재배를 위한 품종으로 매우 적합할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비수준, 병해관리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