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cardiopulmonary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장기간의 신체 단련에 따른 체지방, 심폐기능 및 혈액화학상의 변화 (Changes of Body Fat Contents,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Some Blood Constituents by Long-Term Physical Training)

  • 황상익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0권2호
    • /
    • pp.279-288
    • /
    • 1986
  • 줄넘기 운동의 신체 단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병 9명에게 9주동안 규칙적으로 줄넘기 운동을 시킨 후 체격, 심폐기능, 혈액화학적인 변화를 관찰, 단련전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부하한 운동은 트레드밀 달리기 운동이었다. 1) 단련에 의해 몸무게, 체표넓이, 피부두겹두께 및 총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안정시 폐기능검사 값 중 최대환기능과 노력성 호기유속 25%가 단련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심장박동수는 단련에 의해 안정시와 운동시, 회복기 전 시간대를 통해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단련으로 수축기 동맥혈압은 안정시와 회복기 전 시간대에서 거의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이완기 동맥혈압은 회복기 전체를 통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안정시와회복기의 호흡회수는 단련에 의해 변화가 없었다. 6) 안정시와 회복 초기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단련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혈당,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약간의감소에 그쳤다. 7) 단련전에 비해 단련후의 혈중 젖산 농도는 회복기에 대체로 감소하엿고 20분과 60분 값의 감소는 뚜렷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9주 동안의 규칙적인 줄넘기 운동으로 체내 지방이 감소하고 순환기계 기능에 뚜렷한 향상을 가져오며 혈액화학적인 변화가 생긴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선천성(先天性) 심장병(心臟病)의 개심술(開心術) -6례(例) 수술경험(手術經驗) - (Open Heart Surgery for Six Cases of the Conegnital Heart Disease)

  • 이성행;이성구;한승세;이길노;김송명;이광숙;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9권2호
    • /
    • pp.220-238
    • /
    • 1976
  • Six case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were operated on by means of cardiopulmonary bypass between December, 1975 and April, 1976. Two cases of ventricular septal defects (VSD), two cases of VSD, associated with ruptured aneurysm of sinus Valsalva, two cases of atrial septal defects (ASD) and one case of pulmonic stenosis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were operated. Sarns roller pumps and Bentley Temptrol oxygenators were used f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Pump oxygenator was primed with Ringer's lactate solution, 5% dextrose in water, mannitol, and ACD blood. Flow rate ranged from 2.0 to $2.4L/M^2/min$. Bicarbonate was added to the oxygenator with estimated amount as 15 mEq/L/hr. Venous catheters were introduced into superior and inferior vena cava, and oxygenated blood was returned to the body through aortic cannula inserted into ascending aorta. Moderate hypothermia ($30^{\circ}C$) was induced by core cooling. Aorta was cross clamped for 15 minutes and released for 3 minutes, and repeated clamping when necessary. Atrial and ventricular septal efects were closed by direct sutures. Aneurysms of sinus Valsalva ruptured into the right ventricle were repaired through right ventriculotomy by d:rect closure with Dacron patch reinforcement. Cardiopulmonary bypass time varied from 66 to 209 minutes, and aorta cross clamping time ranged from 13 to 56 minutes. Postoperative bleeding was minimal except one case who needed for evacuation of substernal hematoma. Intra- and postoperative urinary output was satisfactory. Acid-base balance, partial pressure of $O_2$, electrolytes, and hematological changes during intra- and post-perfusion period remained at the acceptable ranges. No mortality was experienced.

  • PDF

체외순환에 의한 혈청 Magnesium의 변화 (The Effect of Cardiopulmonary Bypass on Serum Magnesium)

  • 채헌;노준량;서경필;이영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9권2호
    • /
    • pp.239-244
    • /
    • 1976
  • Alterations in the serum magnesium level were studied in twenty patients who had open-heart surgery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74 to May 1975. The patients were chosen at random. The operative procedures included repair for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fifteen patients and cardiac valve replacement for acquired valvular heart diseases in five patients. The age ranged from 8 to 46 years, with an average of 19 years. None of the patients had a history of gross neuromuscular abnormalities. Cardiopulmonary bypass was carried out using a roller pump and a disposable oxygenator. The prime solution consisted of 2 units of ACD banked blood and approximately an equal volume of non-blood additives in adults, while a relatively smaller volume was added in children. The average flow rate was 2,733 ml per minute. Blood samples for magnesium and arterial blood pH were obtained the day after admission 25 minutes after initiation of the bypass and on the morning the day after operation. Preoperative data were th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during the bypass and postoperatively by a paired test. During the bypass, the serum magnesium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425{\pm}0.029$ to $1.210{\pm}0.063mEq.$ liter (p<0.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magnesium from $1.425{\pm}0.029$ preoperatively to $1.255{\pm}0.083mEq$. per liter (p<0.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magnesium from $1.425{\pm}0.029$ preoperatively to $1.255{\pm}0.083mEq$. per liter postoperatively (p<0.01). The duration of bypass was less than 90 minutes in 10 patients (group A) and exceeded 90 minutes in the remaining 10 (group B).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s A and B ($p{\gg}0.20$). Statistical analyses of the serum magnesium level and arterial blood pH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being -0.3485(pre-op), -0.2971(during bypass), and -0.1008(post-op), respectively. In all the patients, no gross neuromuscular abnormalities were found postoperatively. At presen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serum magnesium level during and after bypass is controversial.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mprovements in prime solution and heart-lung machine will solve this problem.

  • PDF

신생아기 개심술의 조기 성적 (The Early Results of Open Heart Surgery in Neonates)

  • 오탁혁;김규태;김근직;이종태;조준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26-433
    • /
    • 2009
  • 배경: 최근 신생아기에 선천성 심질환을 심폐우회술을 이용해서 성공적인 조기 교정을 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외순환 하에서의 신생아 개심술의 조기 성적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55명의 신생아에서 개심슬을 시행하였다. 술전 상태, 수술 방법, 술후 이병률과 사망률을 알아보기 위해서 후향적인 조사를 하였다. 평균 연령과 체중은 각각 13.5일, 3.2 kg이었다. 진단은 대 혈관전위 14예, 전폐정맥연결이상 7예, 큰 심실 중격결손 7예, 심실중격결손이 동반된 대등맥축착 6예, 대동맥궁단절 5예 및 기타 16예로 분포되어 있었다. 결과: 평균 대동맥차단시간은 62.2분이었다. 심도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평균 기간 22.5분)는 6예에서 적용되었다. 술후 체외순환의 이탈이 어려웠던 경우가 6예 있었다. 흉골을 봉합하지 못하고 수술실을 나왔던 환아가 4명 있었다. 저심박출증과 급성 신부전이 각각 3예씩 있었다. 평균 인공 호흡기 사용기간은 70.5시간, 평균 집중치료실 재원기간은 14.9일이었다. 술후 합병증은 27명(49.1%)에서 나타났다. 술후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3.8개월이었다. 술후 사망률은 12.7% (7예)였는데, 조기 병원사망예가 5예, 만기 사망예가 2예였다. 결론: 최근 본원에서의 체외순환을 이용한 신생아기 개심술의 조기 성적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향후 장기 생존과 만기 합병증을 알아보기 위해서 더 긴 추적 관찰을 요한다.

Clinical Results of Ascending Aorta and Aortic Arch Replacement under Moderate Hypothermia with Right Brachial and Femoral Artery Perfusion

  • Kim, Jong-Woo;Choi, Jun-Young;Rhie, Sang-Ho;Lee, Chung-Eun;Sim, Hee-Je;Park, Hyun-Oh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3호
    • /
    • pp.215-219
    • /
    • 2011
  • Background: Selective antegrade perfusion via axillary artery cannulation along with circulatory arrest under deep hypothermia has became a recent trend for performing surgery on the ascending aorta and aortic arch and when direct aortic cannulation is not feasible. The authors of this study tried using moderate hypothermia with right brachial and femoral artery perfusion to complement the pitfalls of single axillary artery cannulation and deep hypothermi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36 patients who received ascending aorta or aortic arch replacement between July 2005 and May 2010. The adverse outcomes included operative mortality, permanent neurologic dysfunction and temporary neurologic dysfunction. Results: Of these 36 patients, 32 (88%) were treated as emergenci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9 years (ranging from 29 to 79 years) and there were 19 males and 17 females. The principal diagnoses for the operation were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31, 86%) and aneurysmal disease without aortic dissection (5, 14%). The performed operations were ascending aorta replacement (9, 25%), ascending aorta and hemiarch replacement (13, 36%), ascending aorta and total arch replacement (13, 36%) and total arch replacement only (1, 3%). The mean cardiopulmonary bypass time was $209.4{\pm}85.1$ minutes, and the circulatory arrest with selective antegrade perfusion time was $36.1{\pm}24.2$ minutes. The lowest core temperature was $24{\pm}2.1^{\circ}C$. There were five deaths within 30 post-op days (mortality: 13.8%). Two patients (5.5%) had minor neurologic dysfunction and six patients, including thre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cerebral infarction or unconsciousness, had major neurologic dysfunction (16.6%). Conclusion: When direct aortic cannulation is not feasible for ascending aorta and aortic arch replacement, the right brachial and femoral artery can be used as arterial perfusion routes with the patient under moderate hypothermia. This technique resulted in acceptable outcomes.

체외순환후 출혈감소와 신기능에 미치는 저용량 aprotinin효과 (Effect of low-dose Aprotinin on Postoperative Bleeding and Renal Funct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 박철현;현성열;이현재;박국양;김주이;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32-39
    • /
    • 1998
  • 체외순환에 의한 개심술시 술후 출혈을 줄이고 아울러 혈액제재 투여를 감소하기 위하여 여러병원에서 최근 수년간 aprotinin을 Hammersmith 요법에 준하여 고용량으로 투여해 오면서 위 약제의 부작용이나 경제적 비용도 함께 고려되어 오고있다. 특히 aprotinin은 신장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다른 부작용보다 aprotinin이 미치는 신기능장애에 대하여서도 논의되고 있다. aprotinin을 저용량으로 투여하였을 때 그 지혈효과와 아울러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한 33 명의 환자를 각각 무작위로 실험군(16명)과 대조군(17 명)으로 나누어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출혈 감소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혈중 혈색소와 혈소판수치 및 수술후 출혈량을 수술전, 수술후에 측정하였고, 신기능 장애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혈중 BUN과 creatinine, 그리고 뇨 creatinine, 총단백질량, albumin, 및 alpha-1-microglobulin 수치를 수술전후로 측정하였다. 수술직후 6 시간동안 출혈량은 대조군보다 aprotinin군에서 상당히 감소되어(406$\pm$303 ml vs 243$\pm$123 ml ; P = 0.037)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을 뿐만아니라 수술후 24 시간 동안 출혈량도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869$\pm$570 ml vs 494$\pm$358 ml ; P = 0.045). 뇨중 alpha-1-microglobulin/creatinine 이나 microalbumin/creatinine는 대조군에 비하여 aprotinin군에서 수술후에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후 3 일째 alpha-1-microglobulin/creatinine; 24$\pm$10 vs 55$\pm$23, microalbumin/creatinine ; 38$\pm$25 vs 56$\pm$19 ). 일반적인 다른 신기능지표상에서도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연구에서 aprotinin을 저용량으로 투여함으로써 개심술시 체외순환후 발생하는 출혈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기능에 영향이 없었다.

  • PDF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기본심폐소생술 실기교육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 김순심;감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55-171
    • /
    • 200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Basic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ducation program and identify its effects on knowledge of Basic CPR and skills of Basic CPR in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weeks between March 26 and July 9, 2005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by dividing 60 students in a half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General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the education were evaluated with $x^2-test$, t-test, ANCOVA, Repeated Measure ANOVA and Bonferonni with SPSS 11.0/pc. Result: After the CPR education program application, knowled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o 20.57 right after the education from 9.32, the score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19.11 after 8 weeks and 18.29 after 12 week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s score showed no significant before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knowledge scor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t each point in tim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 score in knowledge at every point(p<0.001). In the effect durability for knowledge of the training education program in process time after the training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urability of effect was identified despite the elapsing time. Scores of skills for Basic CPR increased from 1.21, the score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program, to 30.07 right after the education, 23.50 after 8 weeks and 17.57 after 12 weeks in experimental group.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mmaterial in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kill scor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t each point in tim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 score in skill at every point(p<0.001). The score for skill increased significantly right after the education compared to the score prior to the educ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asic CPR training education program facilitate knowledge of CPR and skill of CPR in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the Basic CPR training program in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 effect of Basic CPR knowledge maintains for a few period, and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kill is shorter than the maintenance of knowledge so regular re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needed.

개심술 환자의 체외순환 전후 혈전 탄성 묘사도의 임상적 이용 (Clinical Use of Thromboelastography as Monitor of Coagulopathy at the Pre and Post-Cardiopulmonary Bypass)

  • 강경훈;김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092-1096
    • /
    • 1997
  • 혈전 탄성 묘사도는 일회의 채혈로 지혈기능의 전반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데, 혈소판 응집과 응괴 강 도와 섬유소 교차결합을 통한 초기의 혈소판-섬유소 상호작용 시간부터 궁극적인 응괴 용해 까지의 단백질 응고 폭포와 혈소판의 상호반응을 기록하는 것이다. 1996년 4월 1일부터 1996년 8월 31일까지 개심술을 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평균 연령 34$\pm$12) 혈전 탄성 묘사도를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1시간후, 수술 24시간 후에 조사하였다. 전통적인 혈액학적인 지표들과 혈전탄성 묘사도 자료를 통계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체외 순환전의 혈전 탄성 묘사도의 최대 진측과 혈소판 수와, 체외 순환 24시간 후에는 혈전 탄성 묘사도의 R값 및 K값 그리고 알파 앵글이 활성 응고 시간과 통계학적인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체외 순환후 24시간 동안의 술후 출혈의 예측 정확도는 혈전 탄성 묘사도가 100%(P=0.0043)로 활성 응고 시간(57%)와 기존의 응고 검사(43%)와 비교해서 더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혈전 탄성 묘사도는 사용이 쉽 고 임상적으로 정확하고 비용면에서 유용하여 지혈문제를 가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처치\ulcorner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하겠다.

  • PDF

코로나19를 통해서 바라본 체외순환사의 역할과 임상병리사: 일본과 미국의 양성체계를 비교 (The Role of Perfusioni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Comparison of Training System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 엄동옥;김대진;김대은;김명수;구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3-297
    • /
    • 2022
  • 2022년 국내 체외순환사(관류사)는 224명으로 간호사나 임상병리사를 모집해 병원 자체교육이나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의 체외순환사는 2021년에 2,100명이며, 주로 임상공학 기사들이 지원한다. 미국의 체외순환사는 2021년 4,212명으로 석사과정, 학사후 자격증 프로그램, 학사과정 등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대부분 보건의료과학 또는 생명과학 전공 졸업생이다. 체외순환사는 인공심폐장치를 운용시키는 기술뿐만 아니라 심장해부학, 생리학, 약리학, 혈류역학, 검사분석, 정도보증 등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기에 임상병리사와 한 직군이다. 메르 스와 코비드-19라는 두 가지 영향력 있는 위기를 통해 체외순환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었다. 현재 심장수술의 체외순환은 물론 최근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체외막산소화장치 영역에서 체외순환사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심장수술 및 감염병 치료를 하는 병원은 자격을 갖춘 체외순환사를 일정한 수 만큼 확보하도록 제도화하고, 대한임상생리검사학회 산하에 체외순환기술회(관류기술회)를 설립하여 학술교류가 실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체외순환 시 정상 산소분압과 고 산소분압의 염증반응 및 심근손상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Inflammatory Response and Myocardial injury Between Normoxic and Hyperoxic Condition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김기봉;최석철;최국렬;정석목;최강주;김양원;김병훈;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24-533
    • /
    • 2001
  • 배경: 체외순환 시 동맥혈액의 고 산소분압 유지는 오랫동안 안전한 기법으로 인식되어 임상에 이용하여 왔으나 고 산소분압은 정상 산소분압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독성 산소성분을 생성시켜 산화성 장기손상 및 재관류 손상의 원인이 된다. 저자들은 체외순환 시 동맥혈액을 고 산소분압 혹은 정상 산소분압 상태로 순환시켰을 때의 염증반응과 심근손상에 관해 비교검토하고, 정상 산소분압 체외순환의 임상적 유용성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성인 심장병 환자 30명을 고산소분압군(PaO2 400mmHg, 고산소군, n=15)과 정상산소분압군(Pa $O_{2}$ 120 mmHg, 정상산소군, n=15)으로 나눈 뒤 다음과 같은 변수들을 측정하여 두 그룹간에 비교하였다. 체외순환 전후의 관상정맥동 혈액을 채취하여 myeloperoxidase (MPO), malondialdehyde(MDA), troponin-T(TnT), adenosine monophosphate(AMP)를 분석하였고, 동맥혈액 내 총 백혈구 수 및 호중구 수를 측정하였다. 혼합 정맥혈액의 lactate 농도, 심장지수, 폐혈관저항도 체외순환 전, 중, 후 시기별로 함께 측정하여 두 그룹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체외순환 후 정상산소군이 고산소군에 비해 더 낮은 MDA농도 (4.79$\pm$0.7 vs 5.86$\pm$0.65 $\mu$mo1/L, p=0.04)와 보다 높은 AMP농도 (1.23$\pm$0.07 vs 1.00$\pm$0.04 nmol/L, p=0.05)를 보였으나 TnT농도 (0.50$\pm$0.08 vs 0.60$\pm$0.08 ng/mL, p>0.05)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체외순환 후 MPO농도(5.38$\pm$1.01 vs 8.73$\pm$0.90 ng/mL, p=0.02)와 총 백혈구 수(10,484$\pm$836 vs 13,572$\pm$1,1671/㎥, p=0.04)는 정상산소군이 고산소군 보다 낮았다. 체외순환 후 lactate농도 (27.90$\pm$3.41 vs 31.49$\pm$4.87 mg/dL, p=0.55)와 심장지수(2.99$\pm$0.21 vs 2.75$\pm$0.18 L/$m^2$/min, p=0.39)는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폐혈관 저항(90.37$\pm$16.36 vs 118.12$\pm$12.21 dyne/sec/$cm^{5}$, p=0.04)은 정상산소군이 더 낮았다. 결론: 정상 산소분압 체외순환은 고 산소분압 체외순환에 비해 심근손상과 염증반응을 적게 유발하여 체외순환 후 심장 및 폐기능의 손상정도를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는 정상 산소분압 체외순환이 심장수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