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Changm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최근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의 변화 (Recent Changes in Summer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South Korea)

  • 박창용;문자연;차은정;윤원태;최영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4-3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장기간($1958{\sim}2007$년) 관측을 수행하고 있는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강수량의 변화 경향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여름철($6{\sim}9$월) 강수량의 연변화를 분석하고 여름철을 장마와 장마 후 강수기간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장마기간에는 남서풍과 준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산악지역의 풍상측에서 최대 강수량이 발생하였으며 장마 후 강수기간에는 한반도 주변의 서쪽 및 남동쪽에서 유입되는 하층순환장과 함께 태풍, 대류불안정, 저기압성 강수에 의해 주로 남해안과 영동 산간 및 해안지방에서 최대 강수량이 나타났다. 여름철($6{\sim}9$월) 강수량의 시계열 변화에서는 모든 지점에서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 중에서도 최근 10년이 가장 큰 증가 경향을 보였다. 일 강수량을 10년 단위로 평균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최근 10년에 장마 및 장마 후 강수기간의 강수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점별로 증가 경향은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강릉은 장마 후 강수기간의 강수량이 장마기간보다 더 많았으며 최근 들어 장마 후 강수기간의 강수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서울과 부산의 경우는 최근 10년 동안 여름철 강수량의 두 개 최대값 사이의 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1993/1994년을 기점으로 나타난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 변동의 종관기후학적 원인 (Change of Synoptic Climatology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Amount over the Korean Peninsula Around 1993/1994)

  • 김재훈;이태영
    • 대기
    • /
    • 제22권4호
    • /
    • pp.401-413
    • /
    • 2012
  •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1) temporal variation of rainfall amount in summer over south Korea during the 30-year period of 1979-2008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of rainfall amount and the change of large-scale monsoon circulation around 1993/1994 over East Asia. The analysis of rainfall amount is carried out separately for whole summer (June-August), climatological Changma period of 23 June-23 July, and August to consider variations within summer. To relate the variation of rainfall amount with the change of large-scale circulation, we have considered two 15-year periods of 1979-1993 and 1994-2008. This study has used observations at 58 stations in South Korea and NCEP-NCAR $2.5^{\circ}{\times}2.5^{\circ}$ reanalysis data. The major change in synoptic environment for the Changma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intensified anticyclone over Mongolia during 1994-2008, which results in a weak meridional oscillation of Changma front. As a result, rainfall amount for the Changma period and the frequency of extreme even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993/1994. A major change of synoptic environment for August is the significant westward extension of the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which allows not only more moisture transports but also stronger cyclonic circul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Rainfall amount for August and frequency of extreme events have also increased after 1993/1994. However, variability of rainfall amount is larger for August than that for the Changma period, with some years showing very dry August (monthly rainfall amount less than 150 mm).

동아시아 여름몬순 지수의 자기조직화지도(SOM)에 의한 강수량의 계절 내 진동 분류 (Classification of Intraseasonal Oscillation in Precipitation using Self-Organizing Map for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 추정은;하경자
    • 대기
    • /
    • 제21권3호
    • /
    • pp.221-228
    • /
    • 2011
  •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summer monsoon intraseasonal oscillation (ISO) in precipitation, which is manifested as fluctuations in convection and circulation, is one of the major difficulty on the prediction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EASM).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ime evolution of nonlinear phases of monsoon ISO. In order to classify the different phases of monsoon ISO, Self-Organizing Map(SOM) known as a nonlinear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 is used. SOM has a great attractiveness detecting self-similarity among data elements by grouping and clustering such self-similar components. The four important patterns are demonstrated as Meiyu-Baiu, Changma, post-Changma, and dry-spell modes. It is found that SOM well captured the formation of East Asian monsoon trough during early summer and its northward migration together with enhanced convection over subtropical western Pacific and regionally intensive precipitation including Meiyu, Changma and Baiu. The classification of fundamental large scale spatial pattern and evolutionary history of nonlinear phases of monsoon ISO provides the source of predictability for extended-range forecast of summer precipitation.

레짐이동에 따른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의 특성변화와 그 원인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ainfall Caused by the Regime Shift in the Republic of Korea)

  • 문자연;박창용;최영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7-2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레짐이동에 따른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의 특성변화 및 그 원인을 파악하였다.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의 시간적 변동을 분석한 결과, 1998년 이후 강수량의 변동 폭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장마 후 기간인 8~9월 강수량의 변동성 증가가 기여한 것으로 보이며, 6~7월의 강수량 역시 점차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 강수량의 레짐이동에 따른 공간 분포의 변화는 1998년 이후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밴드 형태의 강수량 증가 구역이 나타났으며, 8~9월에는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게 큰 증가를 보였다. 특히 서울 및 경기 지역은 130mm 이상으로 강수량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고기압성 흐름의 강화로 북쪽의 찬 공기와 남동쪽에서 불어오는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가 우리나라에서 수렴하게 되어 강수시스템 발달에 좋은 조건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동쪽의 상층까지 발달한 키 큰 순압고기압은 동아시아와 북태평양의 해수면온도 상승에도 기여하여 온난한 공기의 유입이 우리나라 쪽으로 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