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k ski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9초

초음파 수술기의 수술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진동자 임피던스 측정에 따른 조직 분류 연구 (Classification of Organs Using Impedance of Ultrasonic Surgical Knife to improve Surgical Efficiency)

  • 김홍래;김성천;김광기;김영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1-147
    • /
    • 2013
  • Ultrasonic shears is currently in wide use as an energy device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carbonization behavior of the tissue due to the vibrational energy transfer system of the transducer by applying a piezoelectric ceramic. However, the vibrational energy transfer system has a pitfall in energy consump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forceps is interrupted by the tissue, the horn which transfers the vibrational energy of the transducer will be affected. A study was performed to recognize different tissues by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transducer of the ultrasonic shears in order to find the factor of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tissue.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transducer connecting portion were measured, along with the phase changes. Subsequently, in the second stage, the impedance of the transducer was directly measured. In the final stage, using the handpiece, we grasped the tissue and observed the impedance differences appeared in the transducer To verify the proposed tissue distinguishing method, we used the handpiece to apply a force between 5N and 10N to pork while increasing the value of the impedance of the transducer from 400 ${\Omega}$.. It was found that fat and skin tissue, tendon, liver and protein all have different impedance values of 420 ${\Omega}$, 490 ${\Omega}$, 530 ${\Omega}$, and 580 ${\Omega}$, respectively. Thus, the impedance value can be used to distinguish the type of tissues grasped by the forceps. In the future study, this relationship will be used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ultrasonic shears.

식품알레르기 발생실태 및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Allergy Occurrence and Parental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 이은주;류호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21-53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mo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FALSSFS).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parents of children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mong the children was 21.9% (current group 8.1% and experienced group 13.8%). The features of the food allergy of the children were as follows : The onset time of allergy was at 1-2 years for 59 children (40.7%), at 3-4 years for 41 children (28.3%), and the main symptoms of allergy were 'rash and skin hives' (47.1%) and 'itching' (30.2%). In terms of the family history, the prevalence of allergies among the mothers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31.9%. The allergenic foods were egg (14.7%), pork (11.6%), and milk (8.9%) in the order. Most of the parents had a low perception of the FALSSFS. 26.2% of the parents requested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food allergies at school, making this the most requested item, followed by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with a value of 20.2%. The benefit of the FALSSFS was to increase the safety of school food and promote the emotional health of children with allergies.

Laboratory Experiments for the Force and Load with Pseudo-Dynamic Test: Ex-vivo Study for the Manual Therapy

  • Choi, Wansuk;Choi, Taeseok;Heo, Seoyoon;Lee, Wooram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89-1896
    • /
    • 2019
  • Background: Because of the lack of accurate values for applied forces in manual therapy, manual therapists relies on the magnitude of the individual's perception during applying the force. However, excessive loading maneuvers carry risks for patients. Objectiv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al force applied to swine skin with the specific region, sex, and baseline parameters of the subject. Design: Ex-vivo Study and laborator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3.5 kg of Korean pork sirloin that is a piece of swine was handled and it was set 3 dimensions; #A; #B; #C. Forty-seven participants who has no experience in physical therapy randomly carried out the experiment, indicated to push each place of the pressure spots with same posture and process under supervision from the instructor who has over 15 years of manual therapy, and we measured the pressure force in each time. Results: The biggest pressure force was recorded in spot #A, and #B was represented after #C. Pressure on #A showed certain statistic relation with height (r=.317, p<.05) and weight (r=.434, p<.01); pressure on #B showed certain relation which has statistical meaning with only height (r=.401, p<.01); pressure on #C emerged to have statistic relationship with height (r=.308, p<.05)and weight (r=.428, p<.01). The age aspect revealed relation with pressure on #A, #B and #C, but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the most loss of pressure in the area where cartilage is like an island in the middle.

Fatty Acid Profile and Thermal Behavior of Fat-Rich Edible Insect Oils Compared to Commonly Consumed Animal and Plant Oils

  • Kasidate Chantakun;Tanyamon Petcharat;Saowakon Wattanachant;Muhammad Shahrim Bin Ab Karim;Pensiri Kaewth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90-804
    • /
    • 2024
  • This study compa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dible insect oils from silkworm (Bombyx mori) pupa (SP), sago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larva (PW), and bamboo caterpillar (Omphisa fuscidentalis; BC) to oils from chicken skin (CK), beef back fat (BF), pork back fat (PF), salmon belly (SB), sea bass belly (BB), coconut (C), and peanut (P). The fatty acid profiles and thermal behaviors (crystallization and melting) of the extracted oils were evaluated. PW and BC oils had more saturated fatty acids (SFAs) than CK, PF, SB, BB, and P oils. SP oil had equivalent SFA content to CK and BB oils. Insect oils exhibited similar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centrations in all samples, except C oils. PW and BC oils exhibited a higher content of palmitoleic acid than the other oils. SP oils contain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imilar to those in SB and BB oils,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in PW, BC, CK, BF, and PF oils. SP oil also exhibi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α-linolenic acid (C18:3 n-3). Arachidonic acid (0.01-0.02 g/100 g) in all insect oils was lower level compared to CK, BF, PF, SB, and BB oils. SP oil (0.03 g/100 g) exhibit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eicosapentaenoic acid compared to PW (0.01 g/100 g) and BC (0.01 g/100 g) oils. The insect oils were liquid at ambient temperature, solid below -15℃, and required less energy (∆Hm-max) for melting than other samples. This study indicated that insects, particularly SP,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source of fat to meet its growing demand.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 분석 (An Analysis on Prevalence and Allergen of Food Allergies)

  • 이계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1호
    • /
    • pp.14-24
    • /
    • 2014
  •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유병률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 설문지 조사와 피부단자시험을 실시하였고, 또한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자료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설문지에 의한 성별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률은 남자에서는 25.6%, 여자는 25.8%로 남녀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별로는 남자는 40-49세가 31.8%, 여자에서는 30-39세가 32.6%로 가장 높았다. 성별과 식품 항목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은 남자는 고등어가 6.6%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복숭아가 7.4%로 가장 높았다. 성별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자 중 피부단자시험 양성률을 보면 남자에서 21.4%의 양성률을, 여자에 있어서는 14.7%의 양성률을 나타내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p=0.018)가 있었다. 식품 항목별 양성률을 보면 남자에서는 호프가 58.9%로 가장 높았고, 여자에서는 계란이 36.4%로 가장 높은 양성률을 나타냈으며, 돼지고기, 새우 가재, 호프, 그리고 토마토에서 통계적으로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피부단자시험을 통하여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증상 추정 유병률은 남자 5.0%, 여자 3.6%였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흔한 식품으로는 호프, 고등어, 새우, 가재, 게, 돼지고기, 우유, 계란 등이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 분석에서 식품 알레르기 유병률은 1-35% 범위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우유, 계란, 견과류, 생선, 조개, 갑각류 그리고 과일 채소 등으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그리고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를 분석한 첫 시도로써 향후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근거자료의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을 포함한 대처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Commercial Crossbred Pigs)

  • 최염순;박범영;이종문;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2-327
    • /
    • 2005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들과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비교 평가하여 표준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여 품질을 고급화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인 듀록종(DD), 랜드레이스종(LL), 요크셔종(YY) 그리고 삼원교잡종(LYD)을 시험에 공시해 품종간 처리구별 도체 및 육질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재래흑돼지의 생체중, 도체중, 거래 정육 생산량, 가죽, 지방 및 뼈의 생산량이 개량종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재래흑돼지의 도체율과 정육률도 개량종 4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이었으나(p<0.05), 총지방 생산율, 가죽, 뼈, 신 및 신지방의 생산율은 재래흑돼지가 개량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재래흑돼지는 개량종과 비교해 모든 부위에서 낮은 정육량을 보였으며, 품종간에는 YY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 LYD종이 높았으며, KNP가 가장 낮았다. 삼겸살 정육량은 KNP, YY종, LYD종이 각각 6.12, 9.43, 9.52 kg으로 나타났으며, 재래흑돼지의 삽겹살 정육률은 $11.11\%$이었으며, 개량종은 $11.5\~12.2\%$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단가는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수력과 가열 감량은 재래흑돼지가 낮은 경향을 보인 (p<0.05) 반면, 다즙성은 근내 지방함량이 높은 관계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색의 $a^{*}$값은 KNP가 가장 높았고 (p<0.05), DD종이 가장 낮았다(p<0.05).

국내에서 소비되는 육류의 부위별 비타민 K 함량 분석 및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K contents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 김대동;이서경;강유리;신재홍;박진주;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09-11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육류인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의 부위별 비타민 K 함량을 분석, 비교하고, 사용된 분석법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분석품질관리를 통한 국가표준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개정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든 부위별 육류에서 비타민 K1은 검출되지 않았고, 비타민 K2는 소간과 선지, 천엽 생것(raw)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검출되었으며, 육류의 종류 및 부위 그리고 조리방법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소고기의 부위별 비타민 K2 함량은 0.00-5.87 ㎍/100 g, 닭고기의 부위별 비타민 K2 함량은 16.59-46.64 ㎍/100 g이었으며, 돼지고기는 부위별로 4.33-22.90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삶은 닭고기(meat and skin)의 비타민 K2 함량이 46.64 ㎍/100 g로 모든 부위별 육류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비타민 K 분석법에 대해 정확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를 검증하였으며, 비타민 K1과 비타민 K2 모두 높은 정확성과 직선성을 확인하여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분석을 진행한 기간 동안 모든 육류 시료에 대해 분석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부위별 육류의 비타민 K 함량은 정확한 영양성분 정보와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돈육 젤라틴의 형태와 Transglutaminase의 첨가 유무에 따른 저지방 모델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조직 특성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Low-Fat Model Sausages with Different Types of Pork Skin Gelatin with or without Transglutaminase)

  • 임경훈;이창훈;진구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65-970
    • /
    • 2017
  • 본 연구는 지방대체재로써의 젤라틴의 형태를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와 식품첨가제로써의 TGase의 첨가가 저지방 돈육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지방대체재로써 젤라틴의 첨가는 형태에 상관없이 황색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젤라틴을 분말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가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보다 수분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에서는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젤라틴을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가 분말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보다 기능성 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젤라틴을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하고 TGase를 단독 혹은 젤라틴과 복합으로 첨가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TGase를 단독으로 첨가한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보수력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Gase와 젤라틴을 함께 첨가한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들보다 경도, 검성, 씹힘성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Gase와 젤라틴을 함께 첨가하였을 때 품질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잇몸 박피술 없는 치은 미백을 위한 비글에서 365 nm LED 레이저 치료 (365 nm LED laser treatment on beagle for gingival whitening without gum dermabrasion)

  • 이성호;김륜경;서나리;임호경;변수환;임영준;김성민;이종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2
    • /
    • 2016
  • 목적: 치은 미백은 치과치료의 목적으로 심미적 장애를 위한 치료에 가깝다. 기존의 치은미백술은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박피술에 의한 치료를 했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시술 후 감염 및 통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우리는 저출력 LED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은미백술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돼지고기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출력전력, 온도변화, 피부 변성 등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5 - 20 kg 비글의 구강내 점막 색소에 비손 365 nm LED 레이저를 15분씩, 1 - 2주간 1, 2회씩 각각 조사하였다.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하여 색소의 손실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365 nm LED 레이저 조사 부위의 멜라닌 색소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65 nm LED 레이저는 수술적 기술 및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탈색화 효과를 대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수송시간이 돼지의 혈액성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ort Time on the Blood Profile and Meat Quility of Slaughter Pigs)

  • 이제룡;서종태;허태영;정재두;하영주;이진우;이정일;이중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57-864
    • /
    • 2003
  • 여름철 수송시간이 돼지의 혈액성상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생체중 110kg 내외의 비육돈 120두를 공시하여 실험하였다. 수송시간은 농가에서 도축장까지 20분과 2시간으로 하였고 계류는 약 1시간 30분 실시하였다. 돼지 혈액은 도축장 하차직후 채취하였다. 관행적인 방법으로 도축 후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도축 1시간 후 pH$_1$과 도체의 피부손상을 측정한 후, 도체를 냉각시키고 사후 24시간에 최종 pH$_{u}$ 및 돈육품질을 조사하였다. 20분과 2시간 수송사이 도체중, 등지방두께 및 도체등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돼지의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Cortisol과 물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측정하는 LDH는 2시간 수송이 20분 수송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중 pH$_{u}$는 20분 수송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가열 감량, 육즙 감량 및 경도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IE L$^{*}$, a$^{*}$ b$^{*}$와 주관적인 육색인 NPPC에도 수송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또한 도체의 피부손상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돈육품질은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2시간 수송한 돼지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