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k ham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8초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Soybean Ethanolic Extracts and Application to Cooked Pork Patties

  • Lee, Choong-Hee;Hwang, Ko-Eun;Kim, Hyun-Wook;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Choi, Yun-Sang;Jang, Sung-Jin;Jeong, Tae-J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9-368
    • /
    • 2016
  • The brown soybean extract (BE, extracted by distilled water, 50%, 75%, and 95% ethanol)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phenol, flavonoid, anthocyanin content, an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ies. Brown soybean extract with 75% ethan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n, brown soybean extract with 75% ethanol was applied to pork patties at different concentration (0.05%, 0.1%, and 0.2%) and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during 15 d of refrigerated storage. Addition of BE significantly increased redness and pH values, respectively (p<0.05). Moreover, TBARS value of pork pattie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BE concentration increased. In sensory evaluation, pork patties with 0.1% B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other treatments i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Conseque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0.1% BE could be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 to inhibit lipid oxidation in pork patties.

Combined Effects of Mugwort Herb and Vitamin C on Shelf-Life of Vacuum-Packed Seasoned Pork

  • Hwang, Ko-Eun;Choi, Yun-Sang;Kim, Hyun-Wook;Choi, Min-Sung;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21-430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addition of mugwort herb extract (MH) and vitamin C (VC) alone (0.05%) and in combination (0.05% each) on shelf-life of seasoned pork. The combination of VC+MH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in seasoned pork. Also, the pH values, total lactic acid concentration, lactic acid bacteria count, and the sensory properties (discoloratio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easoned pork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dding MH and/or VC. All seasoned pork were rejected by sensory panel when LAB count reached levels of 5-6 Log CFU/g, TLA concentration has been above a level of 3.6-3.9 mg lactic acid/g, and pH values ranged from 5.31-5.51 (15 d). Therefore, the findings showed that spoilage of seasoned pork does not appear to be the result of lipid oxidation, but is caused by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which result in sour odor.

Effects of Various Sal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red Meat

  • Choi, Yun-Sang;Jeong, Tae-Jun;Hwang, Ko-Eun;Song, Dong-Heon;Ham, Youn-Kyung;Kim, Young-Boong;Jeon, Ki-Hong;Kim, Hyun-Wook;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2-158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fined, solar, and bamboo sal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red pork loin. Moisture, protein, fat, and ash content, lightness, yellowness, cooking yield, and color, juiciness, and tenderness of sensory properties on curing pork loin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less of the nature of salts. The pH of raw and cooked cured pork loin with added bamboo salt was higher that of other salt treatments. However, the cooking loss,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of cured pork loin with added refined salt was lower than those of solar and bamboo salt pork loins cured. Th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of treatments with refined salt was higher than those of solar and bamboo salt treatments. The unique flavor of bamboo salt can render it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marinating meat produc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potential use of bamboo salt in meat curing.

인삼분말이 함유된 프레스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Containing Ginseng Powder)

  • 이정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25-434
    • /
    • 2006
  • 일반적인 프레스햄을 대조구로 설정하고, 인삼분말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4 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등심 원료육 중량에 대하여 처리구별로 0.5%(처리구 1), 1%(처리구 2), 1.5%(처리구 3), 2%(처리구 4)를 첨가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화 및 지방산 조성변화 등을 조사하여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단가는 대조구와 인삼분말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육색은 인삼분말 첨가구에 비하여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인삼 향은 인삼분말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인삼분말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모든 항목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지방산화는 인삼분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지방산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와 인삼분말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인삼분말 첨가가 전단가, 관능적 평가 및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사포닌 성분이 축적된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단기 숙성 생햄에서의 식중독균의 오염과 저장 중 미생물의 성장 변화 (Determination of the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and the Changes in Microbiological Growth Pattern of Cured and Short-Ripened Raw Ham During Storage)

  • 이근택;이연규;이정표;이정우;손세광;최석호;이승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7-131
    • /
    • 2007
  • 본 연구는 단기 숙성형 생햄의 식중독균 오염 상태와 냉장 및 실온 저장 조건 중 미생물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생햄의 등심 원료육에서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총균수는 $3.11\;log\;CFU/cm^2$이었고 유산균, Pseudomonas spp., Clostridium perfringens 및 효모와 곰팡이는 모두 2 log 미만이었으나 Enterobacteriaceae가 3.11 log로서 주종균이었다. 생햄 원료 및 10과 $25^{\circ}C$에서 저장 된 제품에서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 등 6가지 식중독균은 발견되지 않았다. 생햄의 초기 총균수는 3.06 log CFU/g이었으며 90일 후에도 균수 증가는 미미하여 $10^{\circ}C$$25^{\circ}C$에서 각각 4.6과 4.69 log CFU/g이었다. 생햄의 저장 중 주 종균은 유산균과 Staphylococcus균이었다.

감마선 조사가 건조발효햄의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During Storage)

  • 진상근;전용균;허인철;이중근;정진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89-99
    • /
    • 2011
  • 진공포장 한 건조발효햄에 감마선을 조사 (0, 2.5, 5, 7.5, 10 kGy)하여 저장 3개월 동안 이화학적 품질 (육색, 지방산패도, 염기태 질소화합물, pH) 및 미생물 (총균, 유산균) 생육특성을 평가하였다. 감마선 조사는 선량이 높을수록 시료의 표면 육색인 적색도 (a*)와 관능적 육색 및 기호도를 저하시켰다. 반면에 pH, 지방산패도, 염기태 질소화합물, 수분활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적 측면에서는 감마선 조사 수준이 높을수록 미생물학적 품질이 개선되었다. 관능적 측면인 풍미에서는 저장기간 및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육색 측면에서는 5 kGy 이상에서는 낮은 평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건조발효햄의 저장기간을 고려할 때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은 5 kGy 수준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육가공저장식품(豚肉加工貯藏食品)의 Nitrite 잔존량과 지방산패(脂肪酸敗) - 가내제조(家內製造)한 dry sausage와 ham의 Nitrite 및 Nitrate 잔존량 - (Residual Nitrite and Rancidity of Dry Pork Meet Products - Residual Nitrite and Nitrate in Home-Processed Dry Sausage and Ham -)

  • 우순자;이혜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3호
    • /
    • pp.186-193
    • /
    • 1982
  • 육제품(肉製品)에 대한 세계적 Nitrite 함량 규제한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환경조건 하에서 가내가공(家內加工)한 dry ham과 dry sausage의 Nitrite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itrite와 Nate를 합(合)하여 ham에 264ppm, sausage에 185ppm $NaNO_2$ 당량을 첨가하여 자가제조(自家製造)한 dry meat products의 Nitrite 잔존량(殘存量)은 법적허용한계 양(量) 70ppm에 미달한 $32{\sim}67ppm$이었다. 시중판매제품(市中販賣製品) press ham들도 Nitrite 잔존량이 40ppm이하이며 제품회사마다 많은 차가 있었다. 2) Nitrite 잔존량은 제조첫날로 부터 증가하여 dry sausage는 2주(週), 또는 3주(週)에, dry ham은 5주(週)에 가장 높은 67ppnm을 나타냈고 저장기간이 길수록 점차 낮아졌다. 내장에 Casing한 Sausage와 여름철에 제조한 ham에선 각각 3주(週)와 4주(週)에 이미 10ppm 이하로 떨어져 있었다. 이는 Nitrite 잔존량이 제품의 염적 및 숙성과정에서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차가 심한 것을 보여 준다. 3) Nitrate 함량은 Nitrite 함량이 가장 높은데 (sausage 3주, ham 5주에) 가장 낮은 상반된 값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수록 높아졌다.

  • PDF

가압가열 처리에 의한 시판 돈육 햄과 베이컨의 알레르겐성 저감화 효과 (Reduction of Allergenicity of Domestic Pork Ham and Bacon by Autoclave Treatment)

  • 김서진;김꽃봉우리;송유진;이소영;윤소영;이소정;이청조;김규언;안동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3-140
    • /
    • 2010
  • 대표적인 돈육 가공품인 햄과 베이컨에 가압가열 처리를 한 후 알레르겐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가압가열 처리법을 응용한 hypoallergenic pork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구입한 돈육 햄과 베이컨 중 ci-ELISA를 실시하여 가장 결합력이 높은 2개의 제품에 대해 가압가열 처리를 하였다. 먼저, 돈육 햄의 알레르겐성에 대한 가압가열 처리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돈육 햄은 30분 가압가열 처리구의 경우 p-IgG와의 결합력이 조금 감소하였으며 환자혈청을 사용하였을 때는 10분과 30분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보다 결합력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베이컨은 무처리구에서 p-IgG와의 결합력이 각각 60% 및 91%로 높았지만, 가압가열처리에 의해 약 16% 및 11%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환자혈청을 사용한 경우에도 베이컨 sample b와 c의 무처리구는 95% 및 126%의 높은 결합력을 나타내었지만, 가압가열 처리에 의하여 각각 22% 및 34%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베이컨 두 제품 모두가압가열 처리구의 PSA band가 p-IgG와 반응하지 않았다. 특히, sample c는 무처리구의 PSA band가 2명의 환자혈청과 약하게 반응하였지만, 가압가열 5분 처리구에서는 PSA band가 나타나지 않아 베이컨의 알레르겐성이 가압가열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육 가공품의 종류와 처리조건에 따라 알레르겐성 감소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가압가열처리에 의해 돈육 햄의 알레르겐성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베이컨은 알레르겐성이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돼지고기 민감성 환자들을 위한 돈육 가공품 개발에 가압가열 처리법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돈육가공저장식품(豚肉加工貯藏食品)의 Nitrite 잔존량(殘存量)과 지방산패(脂肪酸敗) -가내제조(家內製造)한 Dry Sausage와 Dry Ham의 지방산패(脂肪酸敗) 및 저장성(貯藏性)과 Dry Ham의 기호도에(嗜好度)에 관(關)하여- (Residual Nitrite and Rancidity of Dry Pork Meat Products -A Rancidity and Storability of Home-made Dry Sausage and Dry Ham and Public Taste of Dry Ham-)

  • 우순자;맹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1
    • /
    • 1983
  • 돈육(豚肉)을 원료(原料)로 하여 가내제조(家內製造)한 dry sausage와 dry ham의 저장성(貯藏性)을 지방(脂肪)의 산패(酸敗)로서 측정(測定)하고 nitrite의 확산화효과(擴酸化酵果)를 조사하였다. 또한 dry ham에 대(對)한 기호도조사(嗜好度調査)를 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주(主)로 지방(脂肪)의 산패(酸敗)에 기인하는 dry sausage와 dry ham의 저장성(貯藏性)은, POV 10을 기준치로 하였을 때 dry sausage는 35일(日) 정도, dry ham은 50일(日) 이내(以內)에 그 저장성(貯藏性)이 상실된다고 보인다. 2. 건조육제품(乾燥肉製品)의 NaCl 함량변화(含量變化)는 가공육(加工肉)의 숙성과정(熟成過程)을 그대로 반영(反映)하며, dry ham의 중량감소와의 상관계수는 0.85였다. 3. 대학생(大學生) 35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한 ham의 기호도(嗜好度)는 ‘먹을만 하다’거나 ‘맛없다’는 편이 66%나 되며, ‘술안주’로 좋겠다는 편이 60%로서 dry ham의 식생활(食生活)참여는 아직 힘든 것 같다.

  • PDF

Quality Evaluation of Pork with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 Ku, Su Kyung;Jeong, Ji Yun;Park, Jong Dae;Jeon, Ki Hong;Kim, Eun Mi;Kim, Young Bo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97-603
    • /
    • 2014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thawing methods on electro-magnetic and air blast frozen pork were examined. The packaged pork samples, which were frozen by air blast freezing at $-45^{\circ}C$ or electro-magnetic freezing at $-55^{\circ}C$, were thawed using 4 different methods: refrigeration ($4{\pm}1^{\circ}C$), room temperature (RT, $25^{\circ}C$), cold water ($15^{\circ}C$), and microwave (2450 MHz).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rip and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WHC), moisture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Frozen pork thawed in a microwave indicated relatively less thawing loss (0.63-1.24%) than the other thawing methods (0.68-1.38%). The cooking loss after electro-magnetic freezing indicated 37.4% by microwave thawing, compared with 32.9% by refrigeration, 36.5% by RT, and 37.2% by cold water in ham. The thawing of samples frozen by electro-magnetic freez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used, while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belly thawed by microwave (62.0%) after electro-magnetic freezing than refrigeration (54.8%), RT (61.3%), and cold water (61.1%).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was shown for microwave thawing after electro-magnetic freezing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