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ped-ric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쌀 품종별 유과제조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opped Rice Snack) made by Different Varieties of Rice)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0-825
    • /
    • 1989
  • 멥쌀로 동진, 삼강을, 찹쌀로 신선, 한강품종을 선택하여 유과제조실험을 하였다. 사용한 멥쌀의 amylose 함량은 가각 18.5%, 찹쌀은 2-3% 수준이었으며 수침시 $(12^{\circ}C)$ 2시간 이내에 평형 수분함량에 도달하였고 멥쌀은 30%, 찹쌀은 42%의 수화도를 보였다. 쌀 전분의 호화 개시 온도는 $64.6-67.5^{\circ}C$로서 멥쌀과 찹쌀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유과 반데기는 RH 75-84%에서 저장하면 튀김 적정 수분함량인 11-12% 수준에서 유지 가능하였다. 멥쌀과 찹쌀로 유과를 제조, 비교한 결과 멥쌀의 평화도는 2.5-2.9ml/g(건물), 찹쌀은 9.1-10.8ml/g(건물)로 멥쌀이 유의적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경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바삭바삭한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많았다. 비정상 젖산 발효균에 의하여 팽화도, 경도 등은 개선되지 않았고 튀김 기름으로는 콩기름과 미강유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간척지 토양에서 석고, 팽화왕겨 및 Zeolite 처리가 토양의 입단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ypsum, Popped Rice Hull and Zeolite on Soil Aggregation in Reclaimed Tideland)

  • 김성조;백승화;이상욱;김대근;나영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31-237
    • /
    • 2005
  •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인 계화도의 세사양토 와 김제 진봉의 미사질양토에 대하여 이수석고, 팽화왕겨, zeolite 등의 토양개량제가 입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수석고 처리 후 세사양토의 입단화율은 60일째의 경우 대조군 보다 Kbfg1과 Kbfg2에서 2 mm 이상의 입자비율이 증가하였고, 90일째는 Kbfg2의 입자크기 증가율이 높았으며, 120일째는 Kbfg1, Kbfg2, Kbfg3에서 0.1 mm 이하의 입자비율이 감소하였고, 다른 크기의 입자비율이 증가되었는데 특히 Kbfg2와 Kbfg3가 양호하였다. 또한 미사질양토의 업단화율은 60일째 대조군보다 Mbfg2에서 2.0-1.0 mm, 1.0-0.5 mm의 입자비율이 증가되었고, 90일째 Mbfg1과 Mbfg2에서 0.5-0.25 mm 이상부터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120일째 모든 시험구가 입단화를 촉진하였고, 특히 Mbfg2에서 0.5-0.25 mm의 입자비율이 뚜렷하게 증가되었다. 팽화왕겨 처리 후 세사양토의 입단화율은 60일째 Kbfh1에서만 2.0-1.0 mm의 입자비율이 증가하였고, 90일째 Kbfh1에서 2.0 mm 이상 및 2.0-1.0 mm가 증가하였으며, 120일째는 Kbfh1가 양호하였다. 또한 미사질양토의 경우 입단화율은 60일째 Mbfh2에서 2.0 mm 이상과 2.0-1.0 mm가 증가하였고, 90일째는 Mbfh1과 Mbfh2가 양호하였으며, 120일째는 Mbfh3가 양호하였다. 팽화왕겨와 제오라이트 처리 후 세사양토의 입단화율은 60일째 Kbfhz1, Kbfhz2, Kbfhz3에서 2 mm 이상의 입자비율이 증가하였고, 90일째는 Kbfhz1에서 1.0-0.5 mm 이상의 입자비율이 증가하였으며, 120일째는 모든 시험구에서 0.1 mm 이하의 입자비율이 감소한 대신 다른 입자비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Kbfhz3에서 2 mm 이상 및 1.0-0.5 mm의 입자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미사질양토의 입단화율은 60일째 Mbfhz1, Mbfhz2, Mbfhz3에서 2 mm 이상의 입자비율이 증가하였고, 90일째는 Mbfhz1, Mbfhz2, Mbfhz3에서 0.25 mm 이상의 입자비율이 증가한 가운데 특히, Mbfhz1이 양호하였다. 120일째는 모든 시험구에서 0.1 mm 이하의 입자비율이 감소한 대신 다른 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Mbfhz2가 우수하였다.

쌀의 조리 과정 중 Aflatoxin 감소 효과

  • 김종규;여현종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55-56
    • /
    • 2002
  • Aflatoxin is a secondary fungal metabolite and is a public health hazard because it is a human carcinogenic and has many deleterious effects in men and animals. Rice is one of the better substrates for the fungus which can produce aflatoxi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flatoxin reduction during the cooking and processing of rice. Aflatoxin was produced by Aspergillus parasiticus ATCC 15517 on well-milled rice(Japonica type) at the level of 13.2 ppb. Cooked rice, rice cakes (baek-sol-gi, plain steamed rice bread), fermented rice (sik-hye, sweet rice beverage), and popped rice were prepared from the aflatoxin-contaminated rice. Aflatoxin content in the samples wa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total aflatoxin level was decreased to 46.9% in the cooked rice, 85.6% in the rice cakes, 11.4% in the fermented rice, and 7.6% in the popped rice, respectively (p<0.05). This reduction brought the level of aflatoxins down to below the Standard and Specification of Korea (10 ppb), except for the rice cak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shing, steaming, fermentation, and popping of rice was helpful in reducing the aflatoxin level in the rice and the most helpful factors were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why the preparation of rice cakes did not reduce the level of aflatoxin as much as the other cooking methods.

  • PDF

인삼 양직모밭에서 약토 대체를 위한 팽화왕겨퇴비의 시용 효과 (Effects on the Application of Popped Rice Hulls Compost as Substitute Material of Yacto in Yang-jik Nursery Bed of Panax ginseng C. A. Meyer)

  • 강승원;이성우;현동윤;김장욱;김용범;이혜진;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48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substitute effect of Yacto (leaf mold compost) on popped rice hulls compost (PRHC) in Yang-jik nursery bed of Panax ginseng. PRHC was mixed with Yacto as 50:50 ratio, and 1 ~ 2% of the mixed oil cake, rice bran and urea were also added to promote decaying the mixed compost. The mixed compost made by PRHC and Yacto was showed that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ginseng seedling when it was mixed with 1% of oil cake and rice bran, and 2% of mixed oil cake. But addition to the 2% of urea in the mixture of PRHC and Yacto was not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ginseng seedling. Root yield of the mixed compost wa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compost by made 100% of Yacto. Therefore, the mixed compost can substitute for Yacto when PRHC and Yacto were mixed by 50:50 ratio and added 1% of oil cake and rice bran.

유과 품질향상을 위한 첨가물의 효과와 공정 단순화 시도 (Effect of Some Additives for Yukwa (Popped Rice Snack) Quality Improvement and Process Modification Trials)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2-277
    • /
    • 1990
  • 유과 품질향상을 위한 몇 가지 첨가물의 효과와 공정개선을 위한 수침시간 단축 및 쌀가루에 의한 유과제조 시험을 수행하였다. 불린 콩을 첨가(3%, w/w)한 유과는 팽화도가 높았고 물리적 조직특성도 우수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이들 경향과 일치하였으나 baking powder, 변형녹말과 막걸리, 소주, 청주 등 주류는 첨가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류는 유과의 외형적인 조직이 치밀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쌀전분의 호화근접 온도인 $60^{\circ}C$의 고온수침에서 3시간 정도면 충분한 수화가 이루어져 저온 장시간($12{\sim}14$시간) 수침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으며 고온수침시간의 연장(12시간)에서는 품질개선 효과가 인정되기 않았다. 그리고 건식제분한 쌀가루로 유과를 만드는 경우 100mesh가 팽화도 및 경도에서 우수하였으나 습식제분보다 품질이 떨어져 제분방법과 제분기의 별도연구가 필요하였다.

  • PDF

석고, 팽화왕겨 및 제오라이트 연속시용이 간척지 미사질 양토의 입단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Gypsum, Popped Rice Hulsl and Zeolite on Soil Aggregation of Reclaimed Silt Loam Soils)

  • 백승화;김재영;김성조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2호
    • /
    • pp.41-50
    • /
    • 2013
  • 간척지의 미사질양토 토양에서 토양 개량제의 연속시용이 토양 입단화도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이수석고 1550(G1), 3100(G2), 6200(G3) kg/10a, 팽화왕겨 1000(H1), 2000(H2), 3000(H3) kg/10a, 팽화왕겨 1500 kg/10a에 zeolite를 200(HZ1), 400(HZ2), 800(HZ3) kg/10a을 각각 조합처리 하는 등 3종의 토양개량제를 처리하고, 60, 90, 120 DAT(처리 후 경과 일수)에서 입단크기별 입단 생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60 DAT 미사질 양토에서 입단형성을 위한 토양개량제 효과는 이수석고 단일처리>팽화왕겨+Zeolite${\geq}$팽화왕겨 단일처리 순으로 그 시용효과가 높았으며, 이수석고 1550 kg/10a(G1) 처리가 52.49%로 가장 높은 입단화도를 나타내었다. 90 DAT에서는 이수석고>팽화왕겨>팽화왕겨+zeolite 순으로 그 시용효과가 높아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3.78-3.12, 2.03-3.03, 1.79-2.57배의 시용효과를 나타내었다. 120 DAT에서는 90 DAT의 경우와 같이 이수석고>팽화왕겨>팽화왕겨+zeolite 순으로 입단화도의 유지효과가 지속되고 있었으며, 무처리구에 비하여 각각 3.00-2.20, 1.06-1.64, 0.92-1.23배의 시용효과를 나타내었다. 팽화왕겨 및 팽화왕겨+zeolite 처리는 시간이 더 경과된 120 DAT에서 입단감소가 뚜렷하였고, 이수석고는 1550kg/10a(G1)의 입단화도가 53.28%로 가장 높았다. 2년 연속 시용에 따른 입단 형성량은 120 DAT에서 1년차의 경우보다 크게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간척지의 토양개량제 시용 효과는 2년 연속 시용의 경우가 1년 시용의 경우보다 입단화율을 높였고, 미사질 양토의 입단 형성에 이수석고 시용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쌀엿강정용 팽화쌀 품질에 대한 대두경화유의 영향 (The Effect of Hydrated Soybean Oil on Quality of Popped Rice for Preparing Salyeotgangjung)

  • 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9-684
    • /
    • 2006
  • In this experiment, I used three samples of oils. The oils that I used were hydrated soybean oil, pure soybean oil and regular soybean oil. The group of rice was fried in the each sample of oil that had not been used for a few seconds. Rice was used after frying at 230-235$^{\circ}C$ every four hours terms and total frying hours was 12 hours. The hydrated soybean oils was least affected in rancidity. The other two oils were more affected in rancidity than the hydrated soybean oil. However, the trans fatty acid in hydrated soybean oil was 36.5%. The diameter of the poped rice that was fried in pure soybean oil and regular soybean oil that had been used 12 for hours was reduced while the diameter of the popped rice fried in the hydrated soybean oil was not reduced. Also, the groups of rice fried in the pure and the regular soybean oil that had been used for 12 hours reduced the hardness in rice while the group that fried in the hydrated soybean oil at the 12th hour kept the hardness well. In sensory evaluation, rancidity order was found apparently in the pure soybean oil that had been used for 12 hour and in the regular soybean oil that have been used for eight hours and 12 hours. Only the hydrated soybean oil did not have distinctive rancidity order at all. The degree of the crispiness was reduced in the pure soybean oil and in the regular soybean oil at 12th hour frying. However, the hydrated soybean oil preserved the crispiness well until the end of 12 hours of frying. In overall preference test, the pure and regular soybean oil that had been used for 12 hour were not preferable. In conclusion, I found that the group fried in the hydrated soybean oil was better in every evaluation than the groups fried in the pure soybean oil and in regular soybean oil. The hydrated Soybean oil may be better to be used in food manufacturing if the trans fatty acid in the hydrated soybean oil can be reduced.

다양한 파우더 충전 단열 방법의 단열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about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various powder insulation methods)

  • 김희선;정상권;정성하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4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of various powder at different vacuum levels for cryogenic insulation. Four kinds of powder insulator are examined by using boil-off calorimetry at pressure range from 50 Torr to 3 mTorr. The first material is perlite which is widely used in cryogenic application. Microsphere is the second one that is recently proposed as a replacement powder for liquid hydrogen storage tanks. It is a hollow sphere made of silica with the diameter in the order of 10 to $100{\mu}m$. Popped rice and polystyrene beads are also selected as candidates for powder insulation even though they are polymers. With their porous elliptic and spherical configuration and light density, they demonstrate fairly goo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t pressure range from 50 Torr to 3 mTor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this paper, microsphere and polystyrene beads possess promising insulation characteristic as powder insulators and further study is desired.

퇴화염토지 논에서 팽화왕겨 퇴비시용이 토양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pped Rice Hulls Compost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Fluvio-marine plain paddy soils)

  • 류철현;양창휴;김택겸;유진희;김병수;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3-408
    • /
    • 2006
  • 시험에 사용한 팽화왕겨퇴비는 T-N 1.173%, 질소무기화율 33.5%, C/N율 35.4로써 높은 C/N율을 가졌다. 본시험은 전북통의 토양에서 동진 1호를 재배하였으며 2년간 팽화왕겨퇴비를 시용하였다. 팽화왕겨퇴비의 시용은 유기물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용적밀도 및 공극률이 향상 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양 중 $NH_4-N$ 용출양상은 최고분얼기 이전까지는 표준시비구에서 높았다. 시비질소 흡수량은 생육초기 표준시비구에서 많았으나 성숙기에는 팽화왕겨퇴비 시용구에서 다소 많았으며, 팽화왕겨퇴비 시용구들 간을 비교해 볼 때 생육전반에 걸쳐 50% 대체구에서 흡수량이 가장 많았다. 질소 이용률은 팽화왕겨퇴비 시용구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쌀수량은 표준시비에 비해 모든 팽화왕겨퇴비 시용구에서 낮았으나 팽화왕겨퇴비 40% 시용구에서는 표준시비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수량을 보였다.

쌀의 조리 및 가공 과정 중 Aflatoxin 감소에 관한 연구 (Reduction of Aflatoxin during the Cooking and Processing of Rice)

  • 여현종;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6
    • /
    • 2002
  • Aflatoxin은 곰팡이가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사람에게 발암성 등의 건강 위해를 야기할 수 있다. 쌀은 aflatoxin 생성을 위한 좋은 기질 중의 하나이므로 본 연구는 쌀의 조리 및 가공 과정 중 aflatoxin의 감소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산 일반미에 Asperg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aflatoxin을 생성시키고 한국인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밥, 떡(백설기),식혜 및 쌀튀기를 상법에 따라 조리 및 가공하여 각 과정 중의 부과물과 최종 완성품에서 aflatoxin 함량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밥을 조리하는 과정 중에는 쌀 씻기 과정 중에 aflatoxin이 감소되었고, 조리가 끝난 후 완전히 감소되지는 않았지만 조리된 밥에서는 aflatoxin이 53.1%만큼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떡을 조리한 후에는 aflatoxin의 감소율이 14.4%에 그쳤으나 (p<0.05),떡쌀을 불리는 과정에서도 13.6%의 감소율을 보였다. 식혜의 경우 조리 후 aflatoxin의 감소율이 88.6%로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쌀튀기의 경우 가공 후 aflatoxin감소율이 92.4%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aflatoxin이 함유된 쌀을 조리 및 가공하였을 때에 쌀튀기>식혜>밥>떡의 순으로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떡을 제외한 다른 완성품에서는 aflatoxin이 우리 나라의 식품 중 기준치(10 ppb) 이하로 낮아졌다. 이로부터 쌀의 조리 및 가공 과정 중의 세척, 찌기, 발효 및 popping 등은 aflatoxin의 감소에 도움이 되며, 특히 고온 및 고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떡에서 aflatoxin이 식품 중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