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orbate 60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및 Codex에서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 비교 (Comparison between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by Codex and Korea)

  • 이미경;이서래;박성관;홍기형;이달수;장영미;권용관;박성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22
    • /
    • 2006
  • 국내와 Codex에서의 식품첨가물 사용기준패턴 및 식품분류방법에 따른 차이 때문에 양자간의 첨가물 사용기준을 비교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nzoic acid, food red No. 2, sulfur dioxide, polysorbate 60에 대해 첨가물별 사용기준 대조표와 된장, 고추장, 라면에 대해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를 작성하였다. 첨가물별 사용기준 대조표의 작성에서는 식품분류방법에서의 차이 때문에, 그리고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에서는 국내 첨가물 사용기준 설정 패턴의 혼용 때문에 많은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기준대조표는 규제당국 및 식품산업계에서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기준의 국가간, 식품간 비교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Tintometer를 이용한 FD & C Yellow No. 5와 FD & C Red No.2의 퇴색에 미치는 부형제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xcipients on Colour Fading of FD & C Yellow No. 5 and FD & C Red No. 2 by Use Tintometer)

  • 김정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5권2호
    • /
    • pp.57-62
    • /
    • 1975
  • It was many differances to evaluate of the effect of excipients on colour fading in FD & C Yellow No.5 by use Tintometer and nearly is not effective in FD & C Red No. 2. When we observed colour fading in suger coating formulations by tintometer, FD & C Red No.2 was appeared to follow zero order reaction and FD & C Yellow No. 5 was not follow zero order reaction or first order reaction. Also, we could know the tendency of colour fading by visible spectrum, but it was net suitable method for this experiment more than by tintometer. The relative colour fading effect of the surfactants(Polysorbate) was as follows: Tween 60> Tween 80> Tween 20. In addition to, Benzalkonium chloride was reacted with FD & C Yellow No.5, so the stronger colour was appeared. On the other hand, the weaker colour was appeared in FD & C Red No.2. While, the sunscreening agents was not almost effective in colour fading of FD & Yellow No. 5 and FD & C Red No. 2.

  • PDF

제과제빵 모델 시스템으로서 저열량케익에 미치는 주재료 성분중 함유된 단백질 및 전처리된 유화제의 영향 (Effects of Protein Contained in Major Ingredients with Treated Emulsifiers on Chemically Leavened Reduced-Calorie Cake as Baked Product Model Systems)

  • Kim, Hye-You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5-191
    • /
    • 1997
  • The effects of five hydrated emulsifiers with or without specified proteins (flour, egg) and/or polydextrose on the reduced-calorie cake as baked product model systems were compared. The small molecule amphiphiles (SMA) used were monoglycerides (MG), sorbitan monostearate (SMS), polysorbate (PS) 60, sucrose ester (SE) F7O, and SE Fl60. All flour batters with each emulsifier and supplements had similar low foam drainages (0.00∼1.03$m\ell$) indicating those systems were fairly stable in the presence of flour protein. The cake batter using starch instead of flour without egg and polydextrose and with some emulsifiers had relatively large amount of drainages (4.20∼5.87$m\ell$). When the egg and polydextrose were added to the blank cake batters using starch, foam drainages tended to show relatively low scores (0.13∼1.48$m\ell$) indicating the cake batter dispersion system is stabilized. Starch cakes made with SE F70 without egg or polydextrose(blank) unexpectedly had high volume index of 199.

  • PDF

종합비타민 액제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bility of Multivitamin Solutions)

  • 박홍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39-4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종합비타민 액제중의 비타민 A, $B_1,\;B_2,\;B_6$, C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시함량 변화 및 분해속도를 동력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종합 비타민 액제의 제조에 있어서 지용성 비타민의 가용화를 위하여 계면활성제인 polysorbate 80과 용해보조제인 프로필렌글리콜을 병용하므로써 첨가제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 종합 비타민 액제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가속시험에서 heterogenous solution system에서의 반응 기작이 그대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비타민 A는 zero-order, 비타민 $B_1$과 C는 first-order kinetics에 따르는 분해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Arrhenius식을 이용하여 구한 비타민 A, $B_1$, 및 C의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26.27, 21.67 및 23.50 kcal/mol이고 상온$(25^{\circ}C)$에서의 유효기간은 각각 1493, 449 및 639일 이었다. 그리고 비타민 $B_2$ 광퇴색 속도식은 first-order kinetics의 분해양상을 나타내었으나 광희색 반응에 미치는 비타민 $B_2$ 초기농도$(C_0)$ $0.544{\times}10^2{\sim}1.632{\times}10^{-2}M$의 영향을 고려하여 비타민 $B_2$의 광퇴색 반응은 다음과 같은 속도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frac {dc}{dt}}=K_{c}\;{\frac C{C_0}}$ $K_c\;:\;C_0$에 따르는 상수 비타민 $B_6$의 안정성은 인공광원보다 태양광선에 의한 비타민 $B_6$의 광분해가 촉진되었고 그리고 태양광선에 의한 계절에 따른 분해는 모두 비슷하였다. 한편 용기에 의한 비타민 $B_6$의 광분해는 폴리에틸렌용기>갈색유리병>투명유리병 순으로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종합비타민 액제 설계의 안정성의 기초적 실험에 기여되리라고 사료된다.

  • PDF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키토산 코팅 처리 Solid Lipid Nano-particle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Chitosan Coated Solid Lipid Nano-particles Containing 7-Dehydrocholesterol)

  • 이근수;김태훈;이천일;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6
    • /
    • 2005
  • 불안정한 생리활성물질들은 외부 환경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캡슐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 $D_3$의 전구체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HC)은 일반인의 표피 각화세포에서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발현을 단백질과 mRNA의 수준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7-DHC의 국소용 피부 제제로의 이용은 낮은 용해도와 화학적 불안정성 때문에 이용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 7-DHC는 나노에멀젼(NE), 고형 지질 나노 입자 (SLN) 그리고 키토산이 코팅된 고형 지질 나노 입자(CASLN)에 봉입하였다. NE와 SLN은 지질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의 호모제나이져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CASLN은 SLN 분산액에 키토산을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양(+)의 제타전위를 나타내었다. NE, SLN, CASLN 속에서 7-DHC의 안정도를 각각의 온도조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인하였다. 열분석과 X선 회절 분석은 지질의 결정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 CASLN은 기존의 SLN보다 불안정한 7-DHC를 효과적으로 봉입함으로서 안정성을 개선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