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accharide

검색결과 1,295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동자개속 및 퉁가리속 4종 어류의 난모세포에서 여포세포의 발달과 변형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Oocyte' Follicle Cell for Korean Four Sillurid Fishes of Liobagrus and Pseudobagrus (Pisces: Silluriformes))

  • 백현아;박종영;김치홍;김종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119
    • /
    • 2007
  • 메기목 어류인 퉁사리 Liobagrus obesus,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꼬치동자개 P. brevicopus에 대한 난모세포의 여포세포의 발달과 변형과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4종의 난모세포는 바깥의 theca cell과 안쪽의 여포세포(granulosa cell)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여포세포는 초기 난모세포에서는 편평세포로 구성 되었으나 난황물질형성 동안 단층의 입방상피, 단층의 원주세포로 대체되면서 난황구후기에는 원주세포에 의해서 분비되는 물질로 채워지게 된다. 4종이 이러한 과정이 비슷하지만 분비된 물질(부착구조)의 형태는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로 젤라틱막 구조로서 퉁가리속의 퉁사리 및 자가사리에서 나타나며 이들의 성분은 polysaccharides와 mucoproteins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두 번째인 과립형태는 동자개속의 눈동자개와 꼬치동자개에서 볼 수 있으며 이들은 mucoprotein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이러한 부착물질의 아래 부분에 존재하는 방사대는 얇은 바깥층과 두꺼운 내부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이며, 이들의 두께는 $0.6{\sim}3.1{\mu}m$로 나타났다.

Effects of Non-starch Polysaccharide-degrading Enzymes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of Growing Pigs Fed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 Ao, X.;Meng, Q.W.;Yan, L.;Kim, H.J.;Hong, S.M.;Cho, J.H.;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632-1638
    • /
    • 2010
  • Two experiments with growing pig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distinct multienzyme preparations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In Exp. 1, a total of 96 pigs ($29.7{\pm}0.69\;kg$) were utilized in a 42-day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trial using four dietary treatments: CON (control diet), ENDO (control+0.10% Endopower), NSPase1 (control+0.10% NSPase) and NSPase2 (control+0.20% NSPase). Endopower was a commercial multienzyme preparation which contained ${\alpha}$-galactosidase, galactomannase, xylanase and ${\beta}$-glucanase. NSPase mainly contained ${\alpha}$-1,6-${\beta}$-galactosidase, ${\beta}$-1,4-mannanase and ${\beta}$-1,4-mannosidase. There were six replication pens per treatment with four pigs per pen. Pigs fed NSPase1 diet had a higher ADG (p<0.05) and G:F (p<0.05)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among the multienzyme treatments (p>0.05). Compared with CON, apparent digestibility of DM was increased (p<0.05) by ENDO treatment. N digestibility was improved (p<0.05) in response to multienzyme treatment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lood urea nitrogen (BUN) was higher (p<0.05) in ENDO treatment than in CON and NSPase1 treatment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hile the glucose level improved (p<0.05) due to ENDO and NSPase2 treatments. In Exp. 2, four ileal-cannulated, growing barrows ($20.17{\pm}1.31\;kg$)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and randomly assigned to 1of 4 treatments (same as Exp. 1) with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Enzyme supplementations improved the majority of apparent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ies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NSPase1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s well as N digestibility and partially improved apparent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fed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By-product of Tropical Vermicelli Waste as a Novel Alternative Feedstuff in Broiler Diets

  • Rungcharoen, P.;Therdthai, N.;Dhamvithee, P.;Attamangkune, S.;Ruangpanit, Y.;Ferket, P.R.;Amornthewaphat,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1732-1741
    • /
    • 201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rmicelli waste (VW) and effect of VW inclusio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In experiment 1, VW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vermicelli industry in Thailand to analyze nutritional composition. Vermicelli waste contained 9.96% moisture, 12.06% CP, 32.30% crude fiber (CF), and 0.57% ether extract (EE), as DM basis. The ratio of insoluble:soluble non-starch polysaccharide (NSP) was 43.4:8.9. A total of 120 chicks (6 pens per treatment and 10 chicks per pen) were fed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or 20% VW substituted diet to determine th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corrected for nitrogen retention ($AME_n$) of VW. The $AME_n$ of VW was $1,844.7{\pm}130.71$ kcal/kg. In experiment 2, a total of 1,200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for 42-d growth assay. There were 300 chicks with 6 pens per treatment and 50 chick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contained 0%, 5%, 10%, or 15% VW, respectively. Al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From 0 to 18 d of age chicks fed VW diets had higher (p<0.001) feed conversion ratio (FCR)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No difference was observed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 (19 to 42 d). Chicks fed VW diets had lower relative weight of abdominal fat (p<0.001) but higher relative weight of gizzard (p<0.05) than those of chicks fed the control diet.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increased ileal digesta viscosity (p<0.05) and intestinal villus height of chicks (p<0.001). For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ssay, there were 4 metabolic cages of 6 chicks that were fed experimental treatment diets (the same as in the growth assay) in a 10-d total excreta collection.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linearly decreased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M and CF.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보습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Moisturizing Effect of Fermented Puer Tea Extract)

  • 김인영;조춘구;한사라;방영배;이일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2-2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발효 보이차 잎을 고농축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여, 화장품 산업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수득율은 17.9%이었으며, 총 폴리페놀량은 37.5%, 탄닌 7.5%, 다당체류 25%, 기타 22%, 수분 8%가 함유되어 있었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항산화 (in-vitro)활성은 30mg/mL에서는 $33.7{\pm}1.8%$, 50mg/mL에서는 $39.4{\pm}2.2%$의 소거효과를 보였다. 비교군인 초산토코페롤과 녹차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율(in-vitro)은 1 mg/mL에서는 $102.9{\pm}9.9%$, 5 mg/mL에서는 $111.5{\pm}9.9%$, 10 mg/mL에서는 $122.7{\pm}12.2%$, 30 mg/mL에서는 $131.5{\pm}13.7%$의 높은 합성능을 보였다 (*p-value£0.05, n=3). 8시간 후의 피부보습효과(in-vivo)는 비교군보다 38.5%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 보습력은 도포전보다 32.7% 상승하였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은 화장품산업에서 보습효과를 가진 원료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막걸리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에 미치는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 조장원;이영경;이영철;김영찬;신광순;남소현;홍희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8-2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특성을 검토한 결과, 막걸리 조 다당체(RWW)의 neutral sugar 함량은 87.3%, uronic acid 함량은 2.5%, protein 함량은 10.2%이었다. RWW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마우스 RAW 264.7 macrophage에서 세포증식 및 면역유도 cytokine 분비활성을 나타내었다. RWW를 1, 10, $100{\mu}g/mL$ 농도로 macrophage에 처리하여 면역자극을 유도한 결과 모든 처리 농도에서 IL-6, IL-12, TNF-${\alpha}$의 분비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막걸리 유래 다당체는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와 macrophage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RWW를 통해 cytokine 분비를 유도, 조절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Y 정수장 세라믹막 여과공정 최적 운영인자 평가 (The Study on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of Ceramic MF Membrane Process in Y Water Treatment Plant)

  • 유상준;안효원;박성한;임재림;홍성철;이병인
    • 멤브레인
    • /
    • 제24권3호
    • /
    • pp.201-212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도입된 Y 정수장의 세라믹막 고도정수처리를 위한 최적 운영 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제성과 수질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세라믹막 여과성능을 지속 유지할 수 있는 최적 운영조건을 도출한 결과, Y 정수장의 평상시 수질 조건에서 막역세척으로 인한 배출수 발생량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막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 여과지속시간(역세척 주기)은 시설용량($16,000m^3$/일) 기준 시 4.0시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화학세척(CIP)에 따른 막차압 회복력을 조사한 결과, 구연산을 이용한 산세정을 통하여 철, 망간, 알루미늄 등의 막 파울링을 일으키는 무기오염물질은 제거되지만 막회복률은 낮았다. 반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한 알칼리 세정을 통해서는 막 운영 초기 막차압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차압을 발생시키는 파울링 주요 원인물질은 친수성 고분자 유기오염물인 polysaccharides로 조사되었으며, 화학세척(CIP)시 막성능 회복률은 세척약품 온도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크며, 온도가 높은수록 막성능 회복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한 갈조류 바이오 에탄올 생산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Brown algae by Enzymic Hydrolysis)

  • 이성목;최인순;김성구;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83-488
    • /
    • 2009
  • 본 연구는 갈조류인 다시마, 모자반, 톳을 효소적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이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수분해 효소 분리 및 바이오 에탄올 생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효소는 해수 및 채취한 갈조류 시료에서 분리하였으며, 갈조류의 주요 다당류인 alginate와 laminaran에 대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시마, 모자반, 톳에 대한 직접적인 갈조류 가수분해 효과를 확인 하였다. 조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alginate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laminaran에서도 일부 활성을 보였다. 갈조류의 전처리에서 환원당의 생성은 외분비 효소와 전체 조효소에서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기질로는 다시마에서 최대 1.90 g/L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모자반과 톳에서의 가수분해가 12 h 안에 완료되는 것에 비해 다시마는 72 h 동안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에탄올 발효는 환원당 생성량과는 무관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처리 방법에 따라 갈조류 다당류의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또한 전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갈조류 에탄올 발효에서 기질로 다시마를 이용했을 때 에탄올 생산 수율이 가장 높았다. 다시마를 이용한 발효에서는 발효균주 및 효소처리에 따른 에탄올 생산량이 대략 0.90 g/L로 유사하게 나왔다. 모자반에서의 에탄올 생산은 발효균주를 Saccharomyces cerevisiae로 하였을 때 최대 0.14 g/L로 확인 되었으며, 톳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발효에서 에탄올생산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으며, Pachysolen tannophilus 에서만 0.09 g/L의 에탄올 생산이 생산되었다.

Cisplatin의 신장독성에 대한 영지추출물 복합제제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Ganopoly and Ganopoly/C+ on nephrotoxicity induced by cisplatin in rats)

  • 김대근;김근중;주성민;김용익;최호승;금경수;김원신;고익괴;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5
    • /
    • 2003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Ganopoly(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and Ganopoly/C+(70% Ganopoly + 30% chitosan) on cisplastin-induced nephrotoxicity was investigated in Sprague-Dawley rats. A single dose of cisplastin(5 ㎎/㎏) 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fter pretreatment of saline, Ganopoly and Ganopoly/C+ for 7 days. The nephrotoxicity and renal function were manifestated by the changes of body weight, blood pressure, biochemical changes and solute in urine and plasma. After the treatment of CDDP(cis-dichlorodiamineplatinum), a significant elevation of kidney weight, serum urea, cretinine, urine volume for 24 hours, urine magnesium, and a severe or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lood pressure, creatinine clearance, urine osmolarity, serum albumin, etc. The nephrotoxicity was further confirm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glutathione S-transferase(GSH) in urine and kidney homogenate, GSH,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catalase in kidney tissue. And also the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kidney homogenate. These signs of nephrotoxicity was ameliorated by the pretreatment and consecutive administration of Ganopoly and Ganopoly/C+ for 14 days after the Lp. injection of CDDP on 7th day after pretreatment of Ganopoly and Ganopoly/C+. The amelioration of nephrotoxicity was evidenced by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urea and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improvement of other index of renal function. An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were partially recovered in kidney tissue of rats treated by CDDP and the administration of Ganopoly and Ganopoly/C+. These results indicate the cispastin induced nephrotoxicity is due to an impairment of tubular reabsorption systems enhanced by necrosis of proximal tubule, and the Ganopoly and Ganopoly/C+ has a partial protective effect on nephrotoxicity induced by CDDP. The polysacchride of Ganoderma lucidum may improve the therapeutic index of nephrotoxicity induced by CDDP. However, it is need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for confirming the therapeutic effect.

Bacillus subtilis을 이용한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Gene in Bacillus subtilis)

  • 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65-680
    • /
    • 1996
  • Bovine Pneumonic Pasteurellosis는 수송열(輸送熱)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질병으로서, 여러가지 요인의 복합적(複合的)인 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Pasteurella haemolytica A1이 가장 주요(主要)한 인자(因子)로 밝혀져 있다. P haemolytica A1은 leukotoxin(LKT), lipopolysaccharide(LPS), capsular polysaccharide 등 여러가지의 병원성인자(病原性因子)을 생성한다. 이들 인자중 LKT가 가장 중요한 병원성인자로 밝혀져 있다. 이에 본 실험은 P haemolytical A1의 LKT 유전자를 Bacillus subtilis에서 발현(發現)시킴으로서 LPS에 오염(汚染)되지 않은 LKT을 대량으로 생산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의 첫 단계(段階)로서 pLKT52 plasmid을 Sau3 A1의 제한효소을 이용하여 부분소화(部分消化)시킨 후 이 부분 소화(消化)된 유전자들로부터 3~5kb 크기의 유전자들을 순수분리하여 pUC18와 결합시킨 후 E coli NM522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이때 형질전환된 균주들은 LKT에 대한 단크론 항체인 MAb601을 이용하여 colony blot 법에 의해서 LKT 유전자 보유 및 발현여부(發現與否)을 조사하였다. 이들 양성 clone들은 제한효소분석(制限酵素分析), 염기서열분석(鹽基序列分析) 및 Western blot 등에 의해서 재확인(再確認)하였다. 총 9개의 양성 clone중 위의 방법에 의해서 한 clone을 선택(選擇)하여 lktCA insert를 재분리하여 shuttle vector에 subcloning 하였다. Subcloning된 LKT 유전자들은 shuttle vector의 종류(種類)(pHPS9, p602/20, pHPS9-Sac)와 각기(各其) 다른 종류(種類)의 B subtilis(spoO12A, BR121, WB3O, Raj1105) 숙주내(宿主內)에서 발현정도를 Western blot 법에 의해서 비교(比較)하였다. 이때 최적발현조건(最適發現條件)은 p602/20와 pBL1의 dual plasmid system을 이용하여 B subtilis spoO12A에서 2시간동안 IPTG로 발현을 유도(誘導)하는 것이었다. B subtilis에서 발현된 LKT을 visual 법과 neutral red uptake 법을 이용하여 소 폐포(肺胞) 대식구(大食求)에 대한 biological activity를 확인하였다. 발현된 LKT에 대한 LPS 오염은 LKT을 SDS-PAGE 후 silver stain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서 볼 때에 lktCA 유전자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p602/20는 B subtilis에서 매우 불안정(不安定)하였고, 발현된 LKT는 세균자체(細菌自體)에서 생성되는 protease들에 의해서 파괴(破壞)됨으로서 농도(濃度)가 매우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음 단계(段階)의 실험에서 해결되어야할 문제들이다.

  • PDF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류의 구조분석 (Structure Analysi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Unripe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 김석주;이경태;유원재;이성숙;김용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40-746
    • /
    • 2014
  • 꾸지뽕나무 미숙과를 50% 발효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추출용액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순차적으로 분액하여 수용성 조추출물을 얻었다. 수용성 조추출물을 분취용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실시하여 다당류(F1)를 분리하였다. F1을 가수분해하여 단당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glucose, galactose, arabinose, xylose 등 4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조성비는 6.1 : 1.8 : 3.1 : 1.0이었다. F1에 acetyl 기의 치환여부와 uronic acid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FT-IR로 측정하고 염산 가수분해 한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모두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 위치 확인을 위해 permethylation, 산 가수분해, 환원, silylation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얻은 partially methylated alditol silylate (PMAS)들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di-O-trimethylsilyl-2,3,4-tri-O-methyl xylose, 1,5-di-O-trimethylsily-2,3,4-tri-O-methyl arabinose, 1,4,5-tri-O-trimethylsily-2,3-di-O-methy arabinose, 1,3,5-tri-O-trimethylsily-2,4,6-tri-O-methyl glucose, 1,4,5-tri-O-trimethylsily-2,3,6-tri-O-methyl galactose, 1,4,5-tri-O-trimethylsily-2,3,6-tri-O-methyl glucose, 1,3,5,6-tetra-O-trimethylsily-2,4-di-O-methyl galactose, 1,3,5,6-tetra-O-trimethylsily-2,4-di-O-methyl gluc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조성비는 1.1 : 1.0 : 4.9 : 7.5 : 3.0 : 3.1 : 1.4 : 1.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