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yrrole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5초

자기 집합 단분자막 개질 금 전극을 이용한 수용액 중 폴리피를 성장에 관한 In-situ EQCM 연구 (In-situ EQCM Study on Growth of Polypyrrole Films Using Gold Electrodes Modified with Self-Assembled Monolayers in an Aqueous Solution)

  • 서경자;전일철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43-152
    • /
    • 2002
  • Self-assembled monolayer(SAM)로 변형된 금 전극 위로 폴리피롤의 전기화학적 석출 과정을 수용액 상태에서 in-situ EQCM (Electrochemical Quartz Crystal Microbalance)과 ex-situ AFM (Atomic Force Microscopy)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금 전극에서 cyclic voltammetry로 살펴본 폴리머의 석출은 산화 제한 전위 (anodic limiting potential) 값에 매우 의존적이었으며 주사 횟수에는 의존하지 않았다. 제한 산화 전위가 0.8V (vs Ag | ArCl) 이상일 때 폴리머의 석출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주사 횟수가 증가하면서 질량의 비이상적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폴리피롤 필름의 rearrangement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1-dodecanethiol SAM 전극과 thiophene SAM전극에서는 폴리머가 3차원적으로 성장하며 필름의 rearrangement를 수반하였지만 BPUS $(Bis(\omega(N-pyrrolyl)-n-undecyl)disulfide)$ SAM 전극에서는 2차원적인 layer-by-layer 성장을 하고 필름의 rearrangement는 관찰되지 않았다. 폴리머가 급격하게 전극 면으로 석출되면 사슬 모양과 도너츠 모양의 폴리머를 만들며, 정류 상태에 이르면서 주름잡힌 폴리머 필름이 생성되는 것이 원자 힘 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y) 이미지로 관찰되었다.

중성 수용액에서 폴리피롤의 전기화학적 성장시 발생하는 점탄성 변화에 미치는 음이온 효과 (Anion Effects on Changes in Viscoelasticity of Polypyrrole during Electrochemical Growth in Neutral Aqueous Solutions)

  • 배상은;이승용;백세환;김영상;이치우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6-69
    • /
    • 1999
  • 수용액에서뿐만 아니라 유기용매에서도 폴리피롤이 전기화학적으로 전극표면에서 잘 성장한다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근래에 들어서 폴리피롤을 산업적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많지만 기본적인 물리적 그리고 화학적 성질은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 특히, 폴리피롤의 미세유변학적 성질은 전기화학적 수정결정 진동자법이 알려지기 이전까지 거의 무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중성 수용액에서 폴리피롤을 전기화학적으로 성장시킬 때 발생하는 폴리피롤의 점탄성도 변화를 전기화학적 수정결정 진동자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KPF_6$$KCIO_4$중성 수용액에서 합성된 막이 $KCI,\;KNO_3,\;KBr,\;KBF_4,\;K_2SO_4$, sodium tosylate(NaOTs), sodium dodecyl sulfate (SDS) 각각의 중성 수용액에서 합성된 막보다 점탄성도가 더 크며 폴리피롤의 전극 표면에서의 성장 속도가 SDS중성 수용액에서 가장 빠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중성 수용액에서 합성한 폴리피롤이 비완충 수용액에서 합성한 막보다 탄성도가 더 컸다

Polycarbonate/Polypyrrole 전도성 복합체의 제조와 전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olycarbonate/Polypyrrole Conducting Composite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 김용주;김남인;이완진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923-928
    • /
    • 1999
  • 침전중합에 의하여 polycarbonate(PC)/polypyrrole(PPy) 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산화제로서 $FeCl_3$를 단량체로서 pyrrole를 용매로서 chloroform을 사용하였다. PPy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은 감소하였다. PPy의 함량이 25 wt %일때 전기전도도는 0.23 S/cm까지 향상되었다. 전도성 복합체의 대기중의 산화안정성, 전기전도도의 온도의존성, 몰포로지, 그리고 기계적 물성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 PDF

Nylon6,6/Polypyrrole 전도성 복합체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Nylon6,6/Polypyrrole Conducting Composite)

  • 이완진;김효용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281-286
    • /
    • 1999
  • Nylon6,6를 matrix로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인 polypyrrole (PPy)과의 전도성 복합체를 블렌딩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PPy를 화학적으로 중합시키는데 있어서 $FeCl_3$를 산화제로 사용하였으며, dopant로서 camphorsulfonic acid (CSA)와 dodecylbenzenesulfonic acid (DBSA)와 같은 알킬 벤젠 술폰산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전도성 복합체에 대하여 dopant의 종류에 따라 또는 PPy의 함량에 따라 전기전도도 및 몰포로지 그리고 기계적 물성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PPy 착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으며, 알킬사슬의 길이가 긴 DBSA로 도핑된 25 wt % PPy 착체와 nylon6,6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0.64 S/cm까지 향상되었다.

  • PDF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Rubber/Polypyrrole 전도성 복합체의 제조와 전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NBR/Polypyrrole Conducting Composite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 정미옥;허양일;이완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3호
    • /
    • pp.188-195
    • /
    • 2000
  • Host Polymer인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NBR)과 전도성 고분자인 Polypyrrole (PPY)과의 복합체를 유화 중합법으로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의 유화제 중에서 dodecyl sodium sulfate (DSS)를 사용하여 중합하였을 때 복합체의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합체 필름은 압축성형법으로 제조되었으며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전도성고분자의 함량과 온도에 따라 4단자법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PPY 함량이 25wt%일 때 1.17S/cm까지 증가되었으며 percolation threshold는 PPY의 함량 l5wt% 근처에서 나타났다.

  • PDF

Aging Studies on Conducting Polypyrrole

  • Kaynak, Akif
    • Fibers and Polymers
    • /
    • 제2권4호
    • /
    • pp.171-177
    • /
    • 2001
  • Change of tensile propertie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icrowave shielding of electrochemically synthesized polypyrrole films with time are presented. Highly doped films had good electrical stability, retaining high microwave reflectivity throughout the aging period. Lightly doped films were less stable and partially reflective and absorptive of microwaves. FT-IR spectral observations revealed a progressive increase in intensity of an unsaturated conjugated carbonyl peak, which was not observed in the highly doped films, suggest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opant had an influence on mechanism of degradation of conductivity.

  • PDF

Electrical Capacitance of Polypyrrole-Perchlorate and Polypyrrole-Naflon Film Electrodes

  • 엄재웅;백운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4호
    • /
    • pp.349-352
    • /
    • 1996
  • Electrical capacitance at the interface between electrolyte solution and conducting polypyrrole film electrode was measured by a simple electrochemical method. The polymer films were electro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perchlorate (PPy-ClO4) or Nafion (PPy-Nafion) anions as the dopant ions. Both polymers exhibited large double layer capacitances which were slightly potential dependent within the potential range where the polymers are conductive. The capacitanc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olymer thickness. The specific capacitance were about 10 Fg-1and 44 F g-1 for PPy-Nafion and PPy-ClO4, respectively.

Low-impedance Tetrodes using Carbon Nanotube-Polypyrrole Composite Deposition

  • Kim, Minseo;Shin, Jung Hwal;Lim, Geunbae
    • 센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78
    • /
    • 2017
  • A tetrode is one of the neural electrodes, and it is widely used to record neural signals in the brain of a freely moving animal. The impedance of a neural electrode is an important parameter because it determines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recorded neural signals. Here, we developed a modification technique using carbon nanotube-polypyrrole composite nanostructures to decrease the impedances of tetrodes. The synthesis of the carbon nanotube and polypyrrole nanostructures was performed in two steps. In the first step, randomly dispersed carbon nanotubes and pyrrole monomers were gathered and aligned on the tetrode electrode. Next, they were electro-polymerized on the electrode surface. As the applied time (step-1 and step-2) and the offset voltage increased, the impedances of the tetrodes decreased. The modification technique is, therefore, an important and useful of lowering the impedances of tetrodes.

Polypyrrole-Glucose Oxidase 효소전극의 배위자 크기에 따른 전기 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lypyrrole-Glucose Oxidase Enzyme Electrode Depending on Dopant Size)

  • 김현철;구할본;사공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5-748
    • /
    • 2001
  • We synthesized polypyrrole (PPy) by electrolysis of the pyrrole monomer solution containing support electrolyte KCl and/or p-toluene sulfonic acid sodium salt (p-TS).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was investigated using cyclic voltammetry and AC impedance. In the case of using electrolyte p-TS, the redox potential was about -0.3 V vs. Ag/AgCl reference electrode, while the potential was about 0 V for using electrolyte KCl. It is considered as the backbone forms a queue effectively by doping p-T 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e arranged regularly. That leads to improvement in the electron hopping. The AC impedance plot gave a hint of betterment of mass transport. PPy doped with p-TS has improved in mass transport, or diffusion. That is because the PPy doped with p-TS has a good orientation, and is more porous than PPy with KC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