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ic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5초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한 그릭 요거트의 항산화 활성 변화 (Antioxidant Activity of Greek-style Yogurt with Stevia Leaf Extracts)

  • 윤지우;김하나;하태준;박서희;이세미;안성일;주진우;김거유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는 열수 추출과 에탄올 추출법으로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물을 그릭 요거트에 당으로 0.5%, 1% 비율로 첨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측정법을 통해 환원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능이 증가하였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더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그릭 요거트 에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능성이 함유된 발효유로서 에탄올 추출법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김영완;김태훈;안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0-546
    • /
    • 2018
  •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과 이에 속하는 flavonoid 함량,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고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 환원력, 간 조직의 microsome 생체막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beta}$-Carotene 탈색화 정도를 비교검토하였다. 그라비올라 잎의 수율은 수용성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1.76%),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그라비올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높았으나 페놀성 화합물에 속하는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미네랄 함량은 Ca, K, Mg, Na, Mn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BHT 0.05%와 가장 근접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Fe와 Cu의 환원력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Cu/Fe 환원력 활성이 매우 강하였다. 그러나 간 조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TBA법으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다. ${\beta}$-Carotene bleaching에서 높은 lipid perox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라비올라 잎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유색미 색소체 및 페놀성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항변이원성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with Content of Pigments and Phenolic Compounds of Colored Rice Seeds)

  • 강미영;신수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68-974
    • /
    • 2003
  • 국내 외에서 수집 재배한 23품종 유색미의 색소 및 페놀성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고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과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색소의 함량은 LK 1-3-6-12-1-1>LK ID 2-7-12-1-1>Elwee>Mutumanikam>IR 1544-38-2-2-1-2-2>wx 124-163-45-7-1-1-1, LK 1A-2-12-1-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폴리페놀화합물의 양은 IR 17491-5-4-3-3 품종이 현미 100g 당 0.244g으로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LK 1-3-6-12-1-1>LK ID2-12-1>Elwee>Mutumanikam>IR 1544-38-2-2-1-2-2, LK IA-2-12-1-1 등의 순이었다. 유색미 품종별 색소의 함량은, 유색미 함유 생리활성 성분 중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정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색도상의 lightness는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과 정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redness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부의 상관성을 보였다.

가지-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ggplant-cheongyeolsodokum)

  • 윤종문;김동인;이지혜;한소정;김하은;김현정;남규우;박지연;지경엽;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5-13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8가지 한약재(가지, 금은화, 감초, 천궁, 당귀, 황련, 치자, 연교)로 구성된 가지청열소 독음의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효과적인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약재의 구성과 비율은 동의보감에 수록된 청열소독음(淸熱蘇毒飮) 처방을 변형시켜 사용하였고 추출은 열수와 70% 에탄올로 하여 동결건조 분말화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라디칼 소거능력(DPPH, $ABTS^+$, superoxide),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활성능력,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조사하였고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LPS (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NO)생성 저해력과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염증 관련 단백질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2)의 발현 저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지청열소독음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고 화장품을 위한 효과적인 성분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품질과 항산화 기능성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Juices Marketed in Korea)

  • 황인욱;김창섭;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00-705
    • /
    • 2011
  •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는 사과주스 제품(혼탁형 4종, 청징형 4종)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폴리페놀 성분 조성을 조사하였다. 적정산도는 0.299~0.556 범위로 제품형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가용성 당질 함량은 $10.03\sim13.00\;^{\circ}Brix$로서 클라우디형이 높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40.47~119.17 g/L이었으며 청징형이 높았다(p<0.05). 사과주스의 색도 및 탁도는 혼탁형이 청징형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타민 C 함량은 0.74~1.22 g/L 범위로 형태에 따른 큰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혼탁주스(1.13~1.42 g/L)가 청징주스(0.12~0.32 g/L)보다 4~12배 정도 많았다. 사과주스의 폴리페놀화합물은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quercitrin, phloridzin을 포함하여 9 종이 HPLC로 분리되었으며, 총 함량은 혼탁주스(319.37~985.63 mg/L)가 청징주스(92.88~214.39 mg/L)보다 높게 나타났다. DPPH 방법으로 측정한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혼탁주스($1490.92\sim1676.02{\mu}M$ GAE)가 청징주스($326.22\sim648.28{\mu}M$ GAE) 보다 강하였으며, FRAP 방법에서도 혼탁주스($3278.52\sim5115.22{\mu}M$ TE)가 청징주스 ($423.86\sim1506.16{\mu}M$ TE)보다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과 HPLC로 분석한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상관성(r>0.95)이 있었으며, 색도 또한 항산화 활성과 상관성이 높았다(r>0.95).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onge cake with cabbage powder)

  • 김숙영;김기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4-302
    • /
    • 2017
  • 양배추 분말 첨가량을 0-15%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물리적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관능적 특성 및 제조적성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품질특성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비중, 굽기손실율은 증가하였고, 케이크 crumb과 crust의 색도, 부피지수, 비용적은 감소하였다. 대칭성지수, 균일성지수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은 감소하였으며 탄력성, 점착성, 부서짐성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케이크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등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색상, 향미, 조직감은 대조구보다 양배추 분말 5-1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맛은 양배추 분말 5% 첨가구가 5.18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10% 첨가구가 5.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양배추 분말 5% 첨가구가 비중, 부피지수, 비용적, 경도, 응짐성 등이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생리활성 증가로 인한 항산화 활성과 맛에서 대조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양배추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 제조를 위한 양배추 분말의 첨가 범위는 5-10%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최적 첨가량은 5%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및 신경세포(神經細胞) 보호효과(保護效果)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amisoyo-san)

  • 이성한;이진무;조정훈;이창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3
    • /
    • 2010
  • Purpose: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amisoyo-san(GMSY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GMSYS by assessing the DPPH free radical and the ABTS radical cation inhibition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TPC). To evaluate the effects of GMSYS in the human neuroblastoma cells, we measured the cell viabilities in SH-SY5Y cells treated with GMSYS. Then we observed the protective effects of GMSYS against 6-OHDA induced neurotoxicity in SH-SY5Y cells.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MSYS in the primary culture of mesencephalic dopaminergic cells, we counted the TH-immunopositive cells and measured the NO and TNF-$\alpha$ after the treatment of GMSYS and 6-OHDA. Results: The DPPH free radical and the ABTS radical cation inhibi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the IC50 were $133.60{\mu}g/m{\ell}$ and $106.20{\mu}g/m{\ell}$, respectively. The TPC was 0.78%.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GMSYS and the control in the cell viability of SH-SY5Y cells.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MSYS were shown in the co-treatment group at the low concentrations of $25{\mu}g/m{\ell}$ and the post-treatment group at all concentrations. After the treatment of GMSYS and 6-OHDA in the primary culture of dopaminergic cells, the TH-immunopositive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0.2{\mu}g/m{\ell}$ of GMSYS than the 6-OHDA group. The NO and TNF-$\alph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0.2{\mu}g/m{\ell}$ of GMSYS than the 6-OHDA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GMSYS has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especially in the mesencephalic dopaminergic cells. We suggest that GMSYS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depression related with the degeneration of dopamine neuron.

불로 구기 부위별 자유라디칼 소거효과에 관한 연구 (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of Bulro Kugi (Lycium chinense Mill) Fruit, Leaf and Root)

  • 김은혜;김현위;김수동;이보희;이철호;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0
    • /
    • 2005
  • 불로 구기의 부위별 열매, 잎, 뿌리의 라디칼 소거 효과를 연구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불로 구기열매, 잎, 뿌리에서 각각 $1,078.4{\pm}61.0mg/L$, $939.9{\pm}19.8mg/L$, and $3,792.2{\pm}106.6mg/L$의 함량은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구기열매, 잎, 뿌리에서 각각 $396.7{\pm}15.2$, $1,952.9{\pm}21.3$, and $425.3{\pm}13.5m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p<0.001) 열매에서는 p-coumaric acid 0.018 mg/100g, syringic acid 0.006 mg/100g이 검출되었고, 잎에서는 p-coumaric acid 0.068 mg/100g, syringic acid 0.064 mg/100 mg, procatechuic acid 0.05 mg/100 mg이 검출되었다. 뿌리에는 p-coumaric acid 0.178 mg/100 mg, syringic acid 0.046 mg/100 mg, caffeic acid 0.043 mg/100 g과 procatechuic acid 0.022 mg/100 mg이 검출되었다. 불로구기의 주요 폴리페놀 성분들은 p-coumaric acid과 syringic acid이었으며 잎에서는 열매에서 확인되지 않은 caffeic acid가 뿌리에서는 caffeic acid procatechuic acid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뿌리 0.29 mg/100 g, 잎 0.18 mg/100 g, 열매 0.03 mg/100 g의 순으로 뿌리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로 구기의 부위별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력은 잎, 뿌리, 구기열매가 각각 $60{\pm}0.1%$, $47.7{\pm}0.1%$, $21.6{\pm}0.1%$의 순으로 잎에서 가 장 높은 소거효과가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 소거능력은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력에 비해 효과가 약하나 뿌리에서 $34.6{\pm}0.1%$로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p<0.001).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 및 항산화 특성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 Type Far-Infrared Dryer)

  • 리혁;최용민;이준수;박종수;연광석;한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0-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컨베이어식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송풍속도와 건조온도에 따른 표고버섯의 건조특성과 건조제품의 색도변화를 조사하고 건조조건에 따른 표고버섯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력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고품질의 원적외선 건조 표고버섯 제품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컨베이어식 원적외선 건조의 경우 건조실 온도가 높고, 풍속이 증가할수록 건조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풍건조에 배해 건조시간을 약 $3\sim6.5$시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적외선 건조에 의한 표고버섯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력의 감소율은 $60^{\circ}C-0.6\;m/s,\;60^{\circ}C-0.8\;m/s,\;70^{\circ}C-0.6\;m/s$ 조건일 경우에만 열풍건조에 건조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조건에서는 열풍건조보다 손실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적외선 건조 내부의 건조조건을 저온 저속으로 결정한다면 표고버섯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열풍건조기에 비해 신속하고 색도의 변화가 최소화된 고품질의 표고버섯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로니아잎차의 덖음조건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및 카페인 함량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as well as Caffeine Content of Aronia melanocarpa Leaf Tea according to Pan-Roasting Conditions)

  • 박수진;정성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9-645
    • /
    • 2017
  • 본 연구는 아로니아 생잎과 여러 가지 덖음조건에 따라 아로니아잎차를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생잎에 비해 아로니아잎을 6회 덖은 경우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37.96 CE mg/g, 19.96 QE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6회 덖은 아로니아잎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각각 $IC_{50}$ 0.43 mg/mL 및 0.27 mg/mL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덖음조건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아로니아 생잎과 잎차 모두 카페인은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아로니아 잎차는 무카페인 차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로니아잎에 함유된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유용성분은 물론 항산화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덖음조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아로니아 잎은 카페인을 함유하지 않는 항산화 기능성 잎차 또는 바이오식품 소재로서 그 활용가치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