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glyco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Polyethylene Glycol의 미생물학적 분해 (Microbial Degradation of Polyethylene Glycol)

  • 이종근;이상준;이재동;박송희;박재림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9-334
    • /
    • 1986
  • PEG 6,000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균을 하천수와 하천부끔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증 분해능이 우수한 EL-033 isolate-를 Micrococcus sp. 로 동정하였다, Micrococcus sp. EL-033은 mono-ethylene g glycol플 세외한 di-, tri-, tetra-ethylene glycol파 분자량 6,000까지의 PEG닫을 분해하였으며 그 중합도가 높윤 수복 생 앙상태까 좋은 분해특성을 가AI고 있였으며. PEG 20, 000에 대해서도 약간의 분해능음 가지고 있었다. 최적 배지 조성은 PEG 6,000 0.2% $K_2HPO_4$, 0.1% $NaH_2PO_4{\cdot}12H_2O0.1%MgSO_4{\cdot}7H_2O$0,1 %, polypeptone 0,1 %, $MgSO_4$, 0,05 % (pH7,5) 이었다. 생장 최적조건에서 PEG 6,000의 분해는 대수증식기인 48시간 배양하였을때 90%이상의 분 해융플 나타내있으며,72시간 후에 거의 완전히 분해되었다.

  • PDF

PEG(Polyethylene glycol)처리에 의한 국내산 주요 소경재의 치수 안정화에 관한 연구 (Dimensional Stability of Domestic Small-diameter Timbers Treated with Polyethylene Glycol)

  • 권구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0-47
    • /
    • 2002
  • PEG처리에 의한 국내산 주요 소경재 다섯 수종(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의 치수안정성을 조사하고, 목재내의 PEG분포를 X선회절법에 의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시수종 모두 PEG 30%의 수용액에서 좋은 치수안정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PEG농도 증가에 따라 PEG처리 목재의 중량증가율과 벌킹효과가 증가하였는데 침엽수재가 활엽수재에 비해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X선회절 결과, 잣나무는 만재와 조재 모두 2𝜃 = 19°와 2𝜃 = 23° 부근에서 PEG결정유래의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X선회절 결과는 잣나무재내에 신갈나무재보다 더 많은 양의 PEG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치수안정성이 큰 이유를 설명해 주는 증거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다공성 PVDF 막의 polyamide 계면중합법처리를 통한 나노 중공사 복합막 제조 연구 (Study on the Hollow Fiber Nano-composite Membrane Preparation onto the Porous PVDF Membrane Surfaces using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 강수연;조은혜;김일형;김정식;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4권2호
    • /
    • pp.107-112
    • /
    • 2014
  •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의 소수성 중공사막 표면에 계면중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iperazine (PIP)과 trimesoyl chloride (TMC)의 농도변화, polyethylene glycol (PEG)의 함량변화에 따라 막을 제조하였으며, 막의 특성 평가를 위해 100 ppm의 NaCl, $CaSO_4$, $MgCl_2$ 용액과 NaCl과 $CaSO_4$를 혼합하여 제조한 300 ppm의 공급액에 대한 막의 투과도와 배제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MC를 사용하여 계면중합하였을 때 막의 투과도와 배제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0.1~1 wt%로 TMC 농도를 변화시켜 가며 실험을 수행한 결과 0.1 wt%일 때 NaCl 100 ppm에 대해 투과도 48.3 LMH ($L/m^2{\cdot}hr$)와 배제율 5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annealing처리와 piperazine에 PEG를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처리하지 않은 막에 비해 투과도는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모습을 나타냈지만 배제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