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 methacrylate resi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첨가된 PEMA (Polyethyl Methacrylate)레진 표면의 색안정성 및 항균평가 (The color stability and antibacterial of provisional polyethyl methacrylate (PEMA) resin with zirconia nanoparticles)

  • 김희선;이선기;장우형;박찬;임현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1호
    • /
    • pp.18-25
    • /
    • 2022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첨가된 PEMA (Polyethyl Methacrylate)레진 표면의 색안정성 및 항균평가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PEMA 레진의 모노머에 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각각 2, 4, 8 w/v%을 첨가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각각의 용액에 폴리머를 혼합하여 직경 15 mm, 두께 2 mm의 디스크 형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대조군은 PEMA 레진, 실험군은 2, 4, 8 w/v% 첨가한 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Z2군, Z4군, Z8군으로 나누었다. 시편의 표면거칠기 및 색안정성을 분석한 후,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를 이용하여 항균평가 하였다. 통계 분석은 Shapiro-Wilk normality test에서 정규성을 만족하는 경우 일원분산분석으로 통계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Tukey test을 이용하였고(P < 0.05),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비모수 검정인 Kruskal Wallis test를 시행하였다(P < 0.05). 결과: 표면거칠기 측정결과, Z2군, Z4군, Z8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색안정성 평가결과, Z2군, Z4군, Z8군은 자연치아의 색상 범위 내에 있었다. Z2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P. gingivalis 부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Z2군, Z4군, Z8군은 사멸된 박테리아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관찰되었다. 결론: 지르코니아 나노입자가 첨가된 PEMA 레진의 색상은 자연치아 범위 내에 있으며, P. gingivalis의 부착을 감소시킨다.

Wettability of denture relining materials under water storage over time

  • Jin, Na-Young;Lee, Ho-Rim;Lee, Hee-Su;Pae, Ahr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권1호
    • /
    • pp.1-5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Poor wettability of denture relining materials may lead to retention problems and patient discomfort.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valuate wettability of nine denture relining materials using contact angle measurements under air and water storage over time. MATERIAL AND METHODS. Nine denture relin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wo heat-curing polymethyl-methacrylate(PMMA) denture base materials: Vertex RS, Lang, one self-curing polyethyl-methacrylate(PEMA) chairside reline resin: Rebase II, six silicone relining materials: Mucopren soft, Mucosoft, $Mollosil^{{R}}$ plus, Sofreliner Touch, GC $Reline^{TM}$ Ultrasoft, Silagum automix comfort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Contact angles were measured using high-resolution drop shape analysis system(DSA 10-MK2, KRUESS, Germany) under three conditions(in air after setting, 1 hour water storage, and 24 hours water storage). Nine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material composition(Group 1: PMMA, Group 2: PEMA, Group 3: Silicone). Mean values of contact angles were compar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followed by a Scheffe's post hoc analysis($\alpha$=0.01). RESULTS. Contact angles of materials tested after air and water storag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1(PMMA), Group 2(PEMA), Group 3(Silicone). Heat-cured acrylic denture base resins had more wettability than silicone relining materials. Lang had the highest wettability after 24 hours of water storage. Silicone relining materials had lower wettability due to their hydrophobicity. Wettability of all denture relining materials, except Rebase II and $Mollosil^{{R}}$ plus, increased after 24 hours of water storage. CONCLUSIONS. Conventional heat-cured resin showed the highest wettability,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heat-cured acrylic resin is material of choice for denture relining materials.

적층가공과 절삭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 간의 인장결합강도 비교 (Tensile bond strength of chairside reline resin to denture bases fabricated by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 김효성;정지혜;배지명;김정미;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77-184
    • /
    • 2020
  •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의 인장 결합강도와 비교 및 평가하여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직접 첨상을 임상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열중합형 의치상 레진(Lucitone 199), 절삭가공용 의치상 레진(VITA VIONIC BASE), 적층가공용 의치상 레진(NextDent Base)을 이용해 가로 25 mm × 세로 25 mm × 높이 3 mm의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한 의치상 레진 시편을 30일간 37℃ 증류수에 보관한 뒤, 건조하여 자가중합형 polyethyl methacrylate (PEMA) 직접 첨상용 레진(REBASE II Normal)을 사용해 결합하였다.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용 의치상 레진을 실험군으로, 열중합형 의치상 레진을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각 군 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모든 시편을 24시간 동안 37℃ 증류수에 보관한 뒤 꺼내어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10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파절 양상을 관찰하여 접착 파절, 응집 파절, 혼합 파절로 분류하였다. 의치상의 제작 방법에 따른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Bonferroni's method)을 시행하였다 (α= .05). 결과:절삭가공용 의치상 레진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2.33 ± 0.39 MPa)는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2.45 ± 0.39 MPa)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 > .999). 적층가공한 의치상 레진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1.23 ± 0.36 MPa)는 나머지 두 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1). 열중합형과 절삭가공한 의치상에서는 혼합 파절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적층가공한 의치상에서는 혼합 파절과 접착 파절이 동일한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직접 첨상용 레진과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인장결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은 절삭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 열중합형 의치상보다 유의하게 낮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