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acrylamide gel medium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홍삼(紅蔘) 사포닌이 Aspergillus flavus의 발육(發育)과 Aflatoxin 생산(生産)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Growth of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 박효진;박재림;송동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9-156
    • /
    • 1985
  • A. flavus NRRL 3357의 발육(發育)과 발암물질(發癌物質)인 aflatoxin 생산(生産)에 최적 조건(條件)을 부여하여 홍삼(紅蔘) 사포닌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배양한 균체(菌體)의 발육(發育)과 aflatoxin 생산능력(生産能力)을 조사하였다. Aflatoxin 정량은 HPLC를 이용하였고 균체발육(菌體發育)은 건조균체(乾燥菌體) 측정법(測定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균체발육(菌體發育)은 대조군(對照群)과 큰 차이가 없었고 배양 4일째에 최대 발육을 나타내었다. Aflatoxin 생산능력(生産能力)은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aflatoxin $B_1$$G_1$이 각각 대조군(對照群)의 31.6%, 2.12%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균체발육(菌體發育) 및 독소생산(毒素生産)에 의한 배지(培地)의 변화(變化)는 거의 대등한 차이를 보이나 대조군(對照.群)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전기영동(電氣泳動)은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였으며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 발육(發育)한 균체(菌體)단백질 패턴의 intensity는 대조군(對照群)보다 낮게 나타났다. A. flavus 균체(菌體)단백질은 비교적 낮은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들의 생성이 많았다. 따라서 홍삼(紅蔘) saponin은 invitro 실험(實驗)에서 aflatoxin $B_1$$G_1$의 생성(生成)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holiota highlandensis 유래 laccase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의 최적화 (Optimizing Culture Conditions to Maximize the Production of Laccase from Pholiota highlandensis)

  • 최혜주;문수정;전숭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3-6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재비늘버섯(Pholiota highlandensis)의 리그닌 분해 활성을 확인하고, laccas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재비늘버섯 균사체로부터 laccase를 생산하기 위한 배지조건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합성 배지 중에서 Coriolus versicolor 배지(2% dextrose, 0.4% peptone, 0.6% yeast extract, 0.046% KH2PO4, 0.1% K2HPO4, 0.05% MgSO4·7H2O)가 가장 높은 lac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Laccase생산에 대한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Coriolus versicolor 배지의 조성 중에서 탄소원, 질소원, 인산원, 무기염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원, 질소원, 인산원, 무기염은 각각 2% fructose, 0.4% peptone 및 0.6% yeast extract, 0.05% NaH2PO4, 0.05% MgSO4·7H2O의 경우에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균주는 몇 가지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 laccase 생산이 유도되었고, guaiacol을 첨가할 경우 25℃에서 11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이 최대치(114.1 U/ml)에 도달하였다. 또한 본 균주의 laccase 생산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8.0과 35℃를 나타내었다. 최적 조건에서 배양된 균사체 배양 상등액을 Native-PAGE로 전기영동한 후 ABTS를 기질로 사용하여 활성염색을 수행한 결과, 약 90 kDa 부근에서 laccase 활성을 가지는 1개의 밴드를 확인하였다.

Serratia plymuthica AL-1이 생산하는 chitinase에 의한 대파 흑색썩음균핵병균의 생육억제 (Growth Inhibition of Sclerotium Cepivorum Causing Allium White Rot by Serratia plymuthica Producing Chitinase)

  • 김진호;최용화;강상재;김영훈;주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0-98
    • /
    • 2003
  • 대파 흑색썩음균핵병균 (Sclerotium cepivorum)에 길항력을 가진 Serratia plymuthica L-1의 길항 메카니즘을 조사한기 위해 S. plymuthica L-1이 생산하는 세포외 chitinase를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olloidal chitin이 함유된 배지에서 생산된 S. plymuthica L-1 chitinase는 $(NH_4)_2$$_2$$SO_2$ 40~70% precipitation, affinity adsorption,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200 column filtration 과정을 통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chitinase는 7.3% 회수율과 19.8의 정제도를 나타내었으며, 전기영동시 단일밴드를 얻었으며, 분자량은 55kDa로 나타났다. 정제된 chitinase의 최적 pH 및 온도는 5.5, $55^{\circ}C$이었고, 온도안정성 조사에서 정제효소는 $50^{\circ}C$까지 90%의 잔존활성을 유지하였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하게 효소활성이 실활되었다. $Ca^{2+}$, $Mn^{2+}$, $Mg^{2+}$ 등의 이온은 대략 20군 이상의 효소를 활성화시켰으나 $Cu^{2+}$이온은 약 80%의 효소활성을 억제시켰고, SDS, p-CMB, MIA 등도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였으며, colloidal chitin에 대한 Km값은 3.26 mg/$m\ell$로 나타났다. 정제효소에 의한 각종 병원균에 대한 생육 억제정도는 흑색썩음균핵병균, 고추 검은무의병균, 고추 탄저병균, 도라지 줄기마름병균, 고추 흰별무늬병균, 오이 균핵병균, 수박 덩굴쪼김병균 등에는 길항력을 나타내었으나 고추 역병균과 무 모잘록병균에서는 길항력이 아주 낮게 나타났다. 정제 chitinase에 의해 대파 흑색썩음균핵병 S.. cepivorum의 균사는 팽창과 균사 끝의 용균, 분해 및 변색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chitinase 기능과 Iysozyme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Keratinase 생산균 Bacillus subtilis SMMJ-2의 변이주 분리와 효소학적 특성 비교 (Isolation of Mutant Strains from Keratinase Producing Bacillus subtilis SMMJ-2 and Comparision of Their Enzymatic Properties)

  • 고희선;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429-436
    • /
    • 2010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얻은 keratinase 효소의 활성이 높은 균주 Bacillus subtilis SMMJ-2를 UV 조사에 의해 개량하여 mutant No. 2를 얻었으며, keratinase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 탄소원, 최적 질소원의 조건 하에서 본 효소를 대량생산하여 정제하고, 야생주와 변이주 간의 효소활성의 변화 및 정제된 효소 간의 효소화학적인 성질을 비교하였다. Mutant No. 2의 keratinase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각각 glucose와 soybean meal로 나타나, 야생주의 경우와는 최적 질소원을 달리했으며, 효소활성에 있어서는 야생주보다 40% 정도 상승하였다. 변이주의 효소가 야생주의 효소보다 높은 배양온도에 대하여 더 안정적인 활성으로 생산되며, 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 pH는 7.0으로, 비교적 효소생산이 가능한 pH 영역대은 6~9로 나타났다. Bacillus subtilis SMMJ-2와 mutant No. 2에서 생산된 keratinase는 DEAEsephacel 크로마토그래피법와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최종 정제되었다. 정제과정 중 DEAE-sephacel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나타나는 2개의 효소피크는 Bacillus subtilis SMMJ-2의 메인 효소피크의 위치와 mutant No. 2에서의 메인 효소피크의 위치가 전환되어 나타났다. SDS-PAGE 상에서의 각각의 효소 분자량은 B. subtilis SMMJ-2의 경우에 28 kDa, mutant No. 2의 경우에 42 kDa 로 추산되었다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 정제 및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증식활성 (Purification of Xylogone sphaerospora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이희정;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59-163
    • /
    • 2008
  •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44 units/ml, 정제배율 56.27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42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합도 3과 4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3과 4의 예상되는 구조는 본 연구실에서 확보하고 있는 standard glucomannooligosaccharides에 의한 TLC에서 나타나는 Rf value 상으로 1차적으로 확인하고, Aspergillus niger 5-16 유래 정제 ${\beta}$-mannanase를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 pattern을 TLC로 해석한 결과 D.P. 3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G-M)로,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3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M-G-M)로 예상하고 있다. B. longumm, B. bifidum, B. infantis,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3과4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3과 4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4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3.9배의, D.P. 3을 처리한 경우에도 2.7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reve의 경우에서도 D.P 4에서 2.47배, D.P 3에서 2.0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있어서는 D.P. 4의 경우 2.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4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3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포성숙의 대사에 관한 생화학적인 연구 II. 돼지 난소내 중여포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조성 및 동일여포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Biochemical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follicular maturation II. Protein composition and stenoid concentration in individually isolated medium-sized follicular fluid of pig ovary)

  • 윤용달;이창주;도병록;김종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69
    • /
    • 1990
  • 포유류의 난소내 여포의 폐쇄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정상과 폐쇄를 형태적으로 판정한 돼지의 난소내 개개 중여포의 여표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단백질을 방사면역측정법과 SDS-전기영동으로 각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rogesterone은 여포성숙기의 여포액내 폐쇄여포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testosterone의 경우 황체기의 정상여포 및 여포성숙기의 폐쇄여포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estradiol은 여포성숙기의 폐쇄여포에서 정상여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여포액내 존재하는 단백질의 SDS-PAGE 결과, 혈청에 존재하지 않는 4종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난소주기에 따라 112K, 141K의 단백질이 확인되었고, 폐쇄여포액내 특이하게 존재하는 23K, 24K의 단백질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난소주기에 따라 여포액재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단백질의 조성이 서로 같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포의 폐쇄기작에 있어서도 난소주기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폐쇄여포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의 생리적인 역할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검정곰팡이의 형태분화에 따른 세포외성효소의 신생적생합성에 관한 연구 (Biosynthesis of the extracellular enzymes in de novo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Aspergillus niger)

  • 김종협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0
    • /
    • 1978
  •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의 액침배양과 액체표면배양을 통한 동조적 형태분화에 있어서 체외효소인 단백질분해효소, 알파 및 굴루크아밀라제의 신생적 생합성 상황을 연구하였다. 굴루크아미라제는 경자(phialide)가 성숙하는 단계 즉 포자 형성의 전단계에서만 그 활성이 왕성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들은 분생자병의 성장단계에서 활성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경자의 성숙단계에서는 활성이 극히 활발하였다. 알파아밀라제는 경자의 성숙시기와 포자형성기에서 활성이 활발하였으며 그 활성은 장기간 지속 되었다. 알파아밀라제의 활성은 포자형성 기간중 계속 증가하였으므로 신생적으로 생합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포도당배지에서 많은 량이 생합성되었고, 또 포도당량의 고갈에 즈음하여 그 생합성이 개시되었으므로 이 효소는 구성적 효소이며 이화 대사물의 억제작용(catabolite repression)을 받는 효소라고 할 수 있다. 포리아크릴아미드 젤(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한 전기영동으로서 포자형성기와 그 전단계의 균체로부터 다양하고 선명한 세포외성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었다. 균사형성기나 포자발아기의 균체로부터는 극소수의 선명치 못한 분리상을 얻었다. C-14 우라실이 균체의 RNA핵산으로 섭취되어 들어가는 비율과 C-14 굴루탐산이 균체 단백질으로 섭취되어 들어가는 비율은 포자형성전기에서 왕성하였으며 포자형성 기간중에는 극히 저조하였다. 알파아밀라제의 신생적 생합성과 포자형성이 일치하는 현상은 유전인자의 표현과정이 내포되는 분화(포자형성)라는 점에서 볼 때 의의와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1.9 eV)와 $e_g$ $(2.8{\sim}3.0\;eV)$로의 전이 즉, $O^{2-}(2p){\rightarrow}Mn^{4+}(3d)$$O^{2-}$에서 $Mn^{3+}$ 이온의 $t_{2g}$ (2.3 eV)와 $e_g$ ($3.4{\sim}3.6$ eV)로의 전이 즉, $O^{2-}(2p){\rightarrow}Mn^{3+}(3d)$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1.6, 1.8, 1.9 eV 부근에서 관측된 좁은 에너지 영역의 흡수구조 들은 팔면체 $Mn^{3+}$ 이온 내에서의 d-d 결정장(crystal-field) 전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흡수구조는 Ni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강도가 감소한다. x = 0.6의 경우 $e_g$ 상태와 관련된 CT 전이구조 들이 $t_{2g}$ 상태와 관련된 전이구조 들에 비하여 큰 폭으로 감소하는데 이것은 Jahn-Teller 효과에 의해서 격자상수가 tetragonal 구조로 확장됨에 따라 $e_g$ 상태와 $O^{2-}(2p)$ 상태 간의 파동함수 중첩이 감소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의 영향(影響)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마. total ginsenosides의 분해반응시(分解反應時)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E_a$)는 17.7kcal/mole이었고

  • PDF

비장적출(splenectomy)이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lenectomy on Development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신호준;임경일;최림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56-164
    • /
    • 1985
  • 자유생활아에마중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Naegleria fowleri영양형 $5{\times}10^4$개를 생쥐의 비강내 로 감염시켜서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받생시켰다. 그런 과정중 비장을 적출하여 그 영향에 대하여 생쥐의 체중과 수술후 회복기간별로 뇌수막염에 의한 사망율과 평균생존기간을 비교하였다. 또 생쥐의 혈청중 면역확산법으로 항체의 형성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각 실험군에서 채취한 혈청을 전기영동법을 실시하여 혈청단백질분획을 바교하였다. 본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생후 3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1주일 후에 N. fowleri로 감염시킨 실험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100%, 85%,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7.3일, 7.5일, 7.8일이었다. 2. 생후 3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3주일 후에 N. fowleri를 감염시킨 실험 I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95%, 95%,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12.1일, 11.5일, 11.5일이었다. 3. 생후 5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1주일 후에 N. fowleri를 감염시킨 실험 II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95%, 90%,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8.1일, 8.3일, 8.6일 이었다. 4. 원발성 아에바성 뇌수막염이 발생된 생쥐의 혈청을 면역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항원-항체 복합체의 2중으로 된 침강대를 관찰하였다. 5. 혈청단백질분획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1)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를 감염 시키기 전에 채취한 혈청중, 대조군에서 분획 III, IV 이 sham군과 비장적출군에 비하여 다르게 나타났다. 2)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을 감염시켜서 뇌수막염을 발생시킨 생쥐의 혈청에서는 대조군과 sham군의 분획 II, III, V가 비장적출군과 달랐다. 3)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를 감염시키기 전에 채취한 혈청과 감염시킨 후 뇌수막염에 의하여 사망하기 직전에 채취한 혈청사이에서는 분획 I, III, N, V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병원성이 강한 N. fowleri 영양형을 생쥐의 비강내로 떨어뜨려 원말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었고, 비장을 적출하면 혈청 단백칠분획에는 차이를 나타낼지라도 생쥐의 사망율과 평균생존기간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로부터 Laccase의 최적생산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the Laccase Production from Fomitopsis pinicola Mycelia)

  • 박나오미;박상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2-68
    • /
    • 2009
  •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로부터 lacc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합성 배지 중 MCM이 가장 높은 laccase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CM의 조성을 2% dextrose, 0.4% peptone, 0.05% $NaH_2PO_4{\cdot}H_2O$, 0.05% $CaCl_2$로 각각 대체하였을 때 효소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F. pinicola로부터 lacc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지조건은 2% dextrose, 0.4% peptone, 0.05% $NaH_2PO_4{\cdot}H_2O$, 0.05% $CaCl_2$이다. 이상의 배지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8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이 최대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ABTS를 기질로 사용한 activity staining을 통해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laccase 활성의 분자량이 43-55 kDa임을 확인하였으며, 배양액 중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pH 3.0과 $80^{\circ}C$이었다.

Pseudomonas sp. PY002에서 Exotoxin A의 생성에 미치는 철 이온의 영향과 Exotoxin A 유전자의 클로닝 (Effect of Ferrous Ion on the Formation of Exotoxin A from Pseudomonas sp. PY002 and Cloning of it's Gene)

  • 최선아;김호상;최지영;강정숙;김춘성;김덕례;김영주;여명구;박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12
    • /
    • 1999
  • Pseudomons sp. PY002의 exotoxin A 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P.aeruginosa PAO1의 anti-exotoxin A와 immunoblot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배지내에 유용 가능한 철이 고갈됨에 따라 exotoxin A의 발현양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CAS 배지에 점적한 배양 상층액에서 siderophore의 발현양도 증가함을 보였다. P.sp.PY002 의 genomix library를 제조하여, exotoxin A를 분비하는 2개의 클론을 선별하려 pETA23과 pETA42 로 명명한 후, 반응성이 강한 Peta42를 선발하였다. pETA 42는 약 1.7kb 크기의 insert를 가지며, 양쪽 말단에 cloning site 인 pstI site 가 존재하며 2개의 NcoI, 1개의 PvuII, 1개의 SstI , 3개의 SmaI, 1개의 KpnI, 3개의 HaeII, 1개의 EcoRI site가 존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