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aprolactone) glycol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8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Elastic Hydrogels Based on Poly(ethylene glycol) and Poly(${\varepsilon}-caprolactone$) Blocks

  • Im, Su-Jin;Choi, You-Mee;Subramanyam, Elango;Huh, Kang-Moo;Park, Ki-Nam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363-369
    • /
    • 2007
  • Novel biodegradable elastic hydrogels, based on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lymer blocks, were synthesized via the radical crosslinking reaction of diacrylates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PEG and PCL diols were diacrylated with acryloyl chloride in the presence of triethylamine, with the reaction confirmed by FT-IR and $^1H-NMR$ measurements. The diacrylate polymers were used as building-blocks for the syntheses of a series of hydro gels, with different block compositions, by simply varying the feed ratios and molecular weights of the block components. The swelling ratio of the hydrogels was controll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lymer blocks. Usually, the swelling ratio increases with increasing PEG content and decreasing block length within the network structure. The hydrogels exhibited negative thermo-sensitive swelling behavior due to the coexistence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lymer components in their network structure, and such thermo-responsive swelling/deswelling behavior could be repeated using a temperature cycle,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swelling ratio. In vitro degradation tests showed that degradation occurred over a 3 to 8 month period. Due to their biodegradability, biocompatibility, elasticity and functionality, these hydrogels could be utilized in various biomedical applications, such as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systems.

"솔보포빅"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효소 안정화에 관한 연구 (Stabilization of Enzyme in "Solvophobically" Controlled Polymer Microcapsules)

  • 김용진;김진웅;김준오;김진우;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3
    • /
    • 2006
  • 본 연구는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주위 환경, 특히 열로부터 효소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소 안정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poly(${\epsilon}-caprolactone$) (PCL) 마이크로 캡슐로, 파파인 효소를 모델 효소로 하여, poly(propylene glycol) (PPG) 층이 코어 효소층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공촛점 현미경 및 장기 열 안정도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파파인 효소가 소수성 PPG로 둘러쌓여 있고, 배타적 볼륨 효과(exclusive volume effect)에 의해 안정화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향상된 효소의 열 안정도는 소수성 사슬이 긴 PPG를 사용할수록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효소와 PPG 계면 사이에서 PPG 층이 파파인 효소를 효과적인 형태 고정(conformational anchoring)을 통해 안정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pH-Induced Micellization of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s Containing Sulfamethazine

  • Shim, Woo-Sun;Lee, Jae-Sung;Lee, Doo-S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44-351
    • /
    • 2005
  • pH-sensitive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coupling reaction of sulfamethazine and amphiphilic diblock copolymer, and their micellization-demicellizat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Sulfamethazine (SM), a derivative of sulfonamide, was introduced as a pH responsive moiety while 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D,L-lactide) (MPEG-PDLLA) and 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D,L-lactide-co-{\varepsilon}-caprolactone$) (MPEG-PCLA) were used as biodegradable amphiphilic diblock copolymers. After the sulfamethazine was carboxylated by the reaction with succinic anhydride, the diblock copolymer was conjugated with sulfamethazine by coupling reaction in the presence of DCC.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mean diameter of the micelles were examined at various pH conditions through fluorescence spectroscopy, dynamic light scatter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or MPEG-PDLLA-SM and MPEG-PCLA-SM solutions, the pH-dependent micellization-demicellization was achieved within a narrow pH band, which was not observed in the MPEG-PDLLA and MPEG-PCLA solutions. The micelle showed a spherical morphology and had a very narrow size distribution. This pH-sensitive block copolymer shows potential as a site-targeted drug carrier.

선형 및 분지 구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 검토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near and Branched Copolymers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varepsilon}-caprolactone)$)

  • 현훈;김문석;강길선;이종문;이해방
    • 폴리머
    • /
    • 제30권2호
    • /
    • pp.146-151
    • /
    • 2006
  •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그룹의 폴리카프로락톤(PCL)으로 이루어진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분자 구조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선형 및 분지 구조의 1-arm-PEG-PCL, 2-arm-PEG-PCL, 4-arm-PEG-PCL 및 8-arm-PEG-PCL 공중합체는 단량체 활성화제로서 Hcl $Et_2O$의 존재 하에 상온에서 카프로락톤$({\varepsilon}-CL)$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된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는 $^{1}H-NMR$, GPC, DSC 및 XRD의 측정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중합체의 가지 수에 따라 열적 특성 및 결정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공중합체의 수용액상에서의 미셀 특성은 $^{1}H-NMR$, 광산란기, 원자 현미경 및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공중합체의 가지 수가 증가할수록 임계 미셀 농도 값과 미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된 미셀의 형태는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 모두 구형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자 설계를 통해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각 공중합체의 분자 구조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수용액상에서 형성된 미셀의 거동을 검토하여 소수성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응용 (Application of Polycarbonate Diol Prepared with Carbon Dioxide in the Field of Waterborne Polyurethane)

  • 임재우;오형진;김영조;정광은;임진형;고영수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07-510
    • /
    • 2010
  •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를 크롬계 전이 금속촉매를 이용하여 교대 공중합하여 poly(cyclohexane carbonate) diol(PCCD)을 분자량 별로 제조하였다. 이산화탄소를 기반으로 한 폴리카보네이트(PCCD)의 응용분야 탐색을 위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제조를 위한 전구체로 적용하여 보았다. 상업화되어 사용중인 폴리카보네이트 디올과 신규 PCCD로 제조한 PUD의 내스크래치 특성과 열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CCD를 사용하여 제조된 PUD 필름의 내스 크래치성과 열분해온도는 PCD를 사용한 경우보다 떨어지지만, 유리전이온도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PCCD의 강직한 사이클로 헥산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외여과공정에서 양쪽성 고분자 나노파티클을 이용한 오염물 제거 (Removal of Pollutants using Amphiphilic Polymer Nanoparticles in Micellar-Enhanced Utrafiltration)

  • 심진기;노상일;이상봉;조계민;이영무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59-67
    • /
    • 2006
  • 생분해성 양쪽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수용액에 존재하는 소수성 오염물질(페놀, 4-니트로페놀, 벤젠, 톨루엔) 및 중금속($Cs^{+},\;Mg^{2+},\;Cu^{2+},\;Ni^{2+},\;Cr^{3}$)을 제거하였다. 친수성을 띤 단량체로써 분자량이 서로 다른(1,100 그리고 5,000)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PEG)를 이용해 합성하였다. 투과실험 결과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작은 MPEG를 이용해 합성한 경우보다 분자량이 큰 MPEG를 사용하였을 때 더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외여과공정을 이용해 오염물 없이 생분해성 나노파티클을 투과한 결과 나노파티클 용액의 농도가 100 mg/L 이상인 경우 나노 파티클 제거율은 98% 이상이었다. 소수성을 나타내는 오염원 제거시 소수성이 큰 오염원일수록 더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또한 금속이온의 경우는 3가, 2가, 1가 이온의 순서로 제거율이 높았다.

온도감응 및 생분해성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락타이드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Thermosensitive and Biodegradable 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caprolactone and 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s)

  • 서광수;박종수;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11-217
    • /
    • 2004
  • 메톡시 폴리(에털렌 글러콜)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카프로락톤 그러고 락타이드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를 수용액 상에서 온도에 따른 솔-젤 전이 현상을 연구하였다. 폴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MPEG-PCL)은 HCI${\cdot}Et_{2}O$촉매 존재 하에서 실온에서 반응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카프로락톤기 개환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락틱 에시드) (MPEG-PLLA)는 촉매로서 stannous octoate를 사용하여 톨루엔에서 115${\circ}C$에서 중합을 실시하였다. 합성된 블록 고분자는 $^1$H-NMR, IR 그리고 GPC 뿐만 아니라 수용액상에서의 온도 감응성 상전이 형상을 관찰함으로써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소수기의 사슬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솔-젤 전이 온도가 증가하였고 상전이 곡선은 낮은 농도로 급격한 기울기의 증가가 일어났다. 인체온도에서 젤 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블록 공중합체 MPEG-PCL과 MPEG-PLLA를 수용액에 20 wt% 농도로 준비하여 쥐에 주입한 후 신체에서의 젤 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블록 공중합체가 약물과 단백질의 주사형 이식형제제 등의 생체용 재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Novel pH/Temperature Sensitive Hydrogels of Poly (ethylene glycol)-Poly (caprolactone) -Poly (${\beta}-amino\;ester$) (PAE-PCLA-PEGPCLA-PAE) Biodegradable Polyester Block Copolymer

  • Huynh Dai Phu;Lee Doo-Sung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63-263
    • /
    • 2006
  • Poly (ethylene glycol)(PEG) - Poly (${\varepsilon}-caprolactone(CL)$) - Poly (D,L lactide(LA) (PCLA-PEG-PCLA) was synthesized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to form temperature sensitive hydrogel triblock copolymer. The triblock copolymer was acrylated by acryloyl chloride. ${\beta}-amino$ ester was used as a pH sensitive moiety, in this study ${\beta}$- amino ester obtained from 1,4-butandiol diacrylate, and 4, 4' trimethylene dipiperidine, it have pKb around 6.6. pH/temperature sensitive penta-block copolymer (PAE-PCL-PEG-PCL-PAE) was synthesized by addition polymerization from acrylated triblock copolymer, 1,4-butandiol diacrylate, and 4, 4' trimethylene dipiperidine.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iblock and penta-block co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1H-NMR$ spectroscopy and gel permeation spectroscopy. Sol-gel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PAE-PCL-PEG-PCL-PAE block copolymers were investigated by remains stable method. Aqueous media of the penta-block copolymer (at 20 wt%) changed from a sol phase at pH 6.4 and $10^{\circ}C$ to a gel phase at pH 7.4 and $37^{\circ}C$. The sol-gel transition properties of these block copolymers are influenced by the hydrophobic/hydrophilic balance of the copolymers, block length, hydrophobicity, stereo-regularity of the hydrophobic of the block copolymer, and the ionization of the pH function groups in the copolymer depended on the changing of environmental pH, respectively. The degradation and the stabilization at pH 7.4 and $37^{\circ}C$, and the stabilization at pH 6.4 and $10^{\circ}C,\;5^{\circ}C,\;0^{\circ}C$, of the gel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oxicity experiment show that the penta block copolymer can be used for injection drug delivery system. The sol?gel transition of this block copolymer also study by in vitro test ($200{\mu}l$ aqueous solution at 20wt% polymer was injected to mouse). Insulin loading and releasing by in vitro test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sulin can loading easily into polymer matrix and release time is around 14-16days. The PAE-PCL-PEG-PCL-PAE can be used as biomaterial for drug, protein, gene loading and delivery.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BA types tri-block copolymers derived from p-dioxanone, ${\varepsilon}-caprolactone$ and poly(ethylene glycol)

  • Remant Bahadur K.C.;Bhattarai Shanta Raj;Aryal Santosh;Khil, Myung-Seob;Kim, Hak-Yong;Lee, Douk-Rae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55-255
    • /
    • 2006
  • Polymeric nanoparticles are recognized as promising drug carriers [1]. Here, novel tri-block copolymers based on poly PPDO, PCL and PEG were synthesized and employed for the formulation of reproducible polymeric nanoparticles [2]. To estimate the feasibility of the polymer to form polymeric nanoparticles,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co-solvent evaporation technique. Polymeriz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polymer were analyzed by different physico-chemical techniques. Existence of hydrophobic domains as a core of nanoparticles was characterized by $^{1}H-NMR$ spectroscopy, and further confirmed by fluorescence technique using pyrene as probe.

  • PDF

Quercetin과 Rutin을 함유하는 PCL-b-PEG 고분자 미셀의 특성 및 피부 흡수에 관한 In vitro 연구 (Physical Characteristic and In vitro Transdermal Delivery of PCL-b-PEG Micelles Containing Quercetin and Rutin)

  • 임규남;김선영;김민지;박수남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420-4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rutin을 함유하는 poly(${\varepsilon}$-caprolactone)-b-poly(ethylene glycol) 미셀을 제조하여, 활성물질(quercetin, rutin)의 in vitro 피부 흡수 증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입자크기는 PCL-b-PEG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셀의 초기 입자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분자 미셀의 표면 전위(Zeta potential)는 비교적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고분자 미셀의 피부 흡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액 상태의 활성물질을 미셀의 대조군으로 하여 Franz cell을 이용한 투과실험을 진행한 결과 용액 상태보다 미셀에서 더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인체 피부 일차자극 실험(patch test) 결과 어떠한 피부 자극도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