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morpholog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Endemic Sapindales in Korea)

  • 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21
    • /
    • 1982
  •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 11과(科) 15속(屬) 50종(鍾) 6변종(變種) 2품종(品種)의 화분(花粉)에 대(對)한 적도면립상(赤道面粒状) 극면립상(極面粒状), 크기(극축(極軸)의 길이, 적도면(赤道面) 지름), 발아일(發芽日)의 형태(形態)(길이와 폭(幅), 공구(孔口), 표면(表面)무늬, 벽(壁)두께, 외표벽(外表壁)과 내표벽(內表壁)의 대(大), 소(小) 관계(關係), 기타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 11과(科) 15속(屬)에 대(對)한 화분검색표(花粉檢索表)를 만들 수 있었다. 2)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의 화분형(花粉形態)를 기준(基準)으로 4개의 주형(主型)과 5개의 부형(副型)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3) 화분립(花粉粒)의 형태(形態)는 다양(多樣)하였으며 적도면(赤道面) 입상(粒状), 발아구형(發芽口型) 및 크기, 표면(表面)무늬, 벽(壁) 두께 등(等)에서 분류학적(分類學的)으로 중요(重要)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4) 화분립(花粉粒)은 시로미과(科) 사립(四粒)이었고 다른 과(科)는 모두 단립(單粒)이었으며 크기는 대부분(大部分) 중립(中粒)이었다. 5) 단풍나무속(屬)은 화분(花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하여 신나무군(群), 청시닥나무군(群), 당단풍군(群), 비군도단풍군(群)으로 나눌 수 있었다. 6) 시로미과(科)(사립상(四粒状)), 회양목과(科)(다산공구형(多散孔溝型)), 봉선화과(科)(네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直六面體))의 화분형태(花粉形態)는 무환자나무목(目)의 다른과(科)에 비하여 특이(特異)하였다.

  • PDF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땅비싸리속(屬)(콩과(科))의 화분형태(花粉形態)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Indigofera(Fabaceae) in Korea)

  • 성은숙;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13-22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육하는 땅비싸리속 6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립은 단립이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아장구형이고, 발아구는 삼공구형이고, 표면무늬는 DMIP상이거나 VPPS상이었다. 본 속은 mesocolpium, apocolpium 그리고 구구 주변의 표면무늬에 따라 Decora, Kirilowii, Koreana 화분형으로 구분되었다. 염색체 수와 mesocolpium 표면무늬에 연관성이 있고, Decora와 Krilowii 화분형은 Koreana 화분형에서 분지된 듯 보인다.

  • PDF

Comparison of Pollen Morphology Responded by High Temperature i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and Mung Bean (Vigna radiata)

  • Hye Rang Park;Eun Ji Suh;Ok Jae Won;Jae-Sung Park;Jin Hee Seo;Won Young Han;Ki Do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0-150
    • /
    • 2022
  • Plant reproduction associated with crop yields is highly vulnerable to global climate change components such as high and cold temperatur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ason-high exposure to temperature treatments in pollen morphology on Adzuki bean (V. angularis) and Mung bean (V. radiate). V. angularis and V. radiata were treated at high temperatures in the high temperature gradient greenhouse designed to cause temperature deviation. The pollen shapes treated at high temperature were compared by an electron scanning microscop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bnormal pollens morphology at high temperature was the least in V. radiata, and V. angularis was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abnormal pollen morphology atT4 (Con +5~6℃) varied according to the cultivars of V. angularis. Therefore, the differences in Vigna species or cultivars with thermo-tolerance in pollen morphology to high temperature are projected to occur in the changeable future climate.

  • PDF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Variation in Pollen Grains of Quercus Subgenus Lepidobalanus Endl. in Korea

  • Kim, Sang-Yong;Kim, Kae hwan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17-28
    • /
    • 2002
  • Palynological characters such as pollen grain polar axis length (PL), pollen equatorial diameter (ED), colpus length, colpus width, and P/E ratio of six species of Quercus subgenus Lepidobalanus Endl. from Korea were studied. A significant interspecific variation, unequal distances between the species, and various degree of intraspecific variations were found. The taxonomic value of the pollen morphology parameters measured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parameters measured and ploidy level of the Quercus species studied.

  • PDF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단풍나무속(屬)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cer L. in Korea)

  • 김계환;박준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72-486
    • /
    • 1996
  •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 19종 1변종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의 화분에 대하여 4가지형 화분검색표를 작성할 수 있었다. 2.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의 화분을 발아구 형태와 표면무늬에 의하여 단풍나무형, 청시닥나무형, 네군도단풍형 그리고 설탕단풍형의 4가지 화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3. 화분립의 발아구 형태는 3구형 또는 3공구형이었으며, 표면무늬는 유선상, 난선상, 망상 등으로 나타났다. 4. 화분형태 parameters의 상관분석 결과, 극축의 길이와 발아구의 길이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 PDF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the Woody Fabaceae in Korea)

  • 성은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108
    • /
    • 2007
  • 콩과의 화분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분류학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 12속 31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콩과의 화분립 형태는 단립이었으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드물게 아장구형으로 나타났다. 화분립의 발아구는 적도면에서 일렬로 배열하는 삼공구형이거나 혹은 드물게,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목의 다른 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삼복개형이었다. 본 과는 표면무늬에서 평활상, 미세공상, DMIP상, 세공상, 다각형 세공상, MAP상, MPG상, PMAP상, VPPS상, VP상, 과립상, 난선상, 망상, 세망상과 같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화분학적 특징은 개느삼속이 고삼속으로 합병되어야 함을 지지하였고, 골담초속(Galegeae족)과 Sophoreae족 내 Sophora 그룹(Maackia, Sophora, Echinosophora)이 측정된 모든 특징과 표면무늬에서 서로 상당히 유사하였다. 발아구형, 화분립형태 그리고 표면무늬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콩과의 11속이 인지되었고, 한국에서 생육하는 목본 콩과의 속수준의 화분검색표와 싸리속의 화분형검색표가 작성되었다. 조사된 Coronilla속과 등나무속 내 분류군들이 표면무늬에 의해 구별이 가능했다.

한국(韓國)에 생육(生育)하고 있는 회양목과(科)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Buxaceae Growing in Korea)

  • 최태기;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93-201
    • /
    • 1991
  •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고 있는 회양목과(科)의 3속(屬) 2종(種) 4변종(變種) 1품종(品種)의 화분형태(花粉形態)를 광학(光學) 현미경(顯微鏡)과 주사형전자(走査型電子) 현미경(顯微鏡)을 이용(利用)하여 관찰(觀察)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화분형태(花粉形態)에 의(依)하여 속(屬) 수준(水準)의 화분(花粉) 검색표(檢索表)를 만들수 있었다. 2. 화분립(花粉粒)의 길이는 회양목속은 $21.9{\mu}m-28.3{\mu}m$, 수호초속은 $34.9{\mu}m-43.0{\mu}m$, Sarcococa는 $27.2{\mu}m-39.6{\mu}m$이었으며, Muri의 폭과 길이는 $0.3{\mu}m-4.6{\mu}m$, $0.9{\mu}m-4.3{\mu}m$, Lumen의 길이는 $0.4{\mu}m-2.4{\mu}m$이었다. 3. 표면(表面)무늬 형태(形態)는 회양목속(屬)은 망상(網狀), 수호초속(屬)과 Sarcococa는 사슬상(狀)이었다. 4. 발아구(發芽溝)는 3속(屬) 모두 다산공구형(多散孔溝型)이었다.

  • PDF

한국산 참나무아속 화분형태의 유사관계 및 종내변이에 관한 연구 (Similarty Relationship and Intraspecific Variation in Pollen Morphology of Korean Subgenus Lepidobalanus E$_{NDL}$.(Genus Quercus L.))

  • 김계환;김상용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38-48
    • /
    • 2000
  • 한국산 참나무아속 화분형태의 유사관계 및 종내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분립의 국축길이, 적도면 폭, 구의 길이, 구의 폭을 측정하고 화분립의 국축길이에 대한 적도면 폭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화분형태가 가장 유사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수종 중 화분립의 크기에 있어서 폭 넓은 변이를 나타내는 떡갈나무의 경우에는 polypoid와 (또는) aneuploid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참나무아속 수종들의 ploidy levels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pore-Pollen Specters of Deed Turnn Lake Terrace, Darkhad Depression, Mongolia

  • Punsalpaamuu, G.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9-41
    • /
    • 2003
  • Pollen and spores as well as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biological stability materials in which contains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As noted researcher Neishtadt in 1971, the lake and swamp deposits were developed only in Holocene period. The geological history of Darkhad depression which is situated in the Northern end of Mongolia from ancient time become under scientific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Our investigation was focused on pollen analysis of lake sediment of Darkhad depression which caused bottom of paleolake. In Mongolia the palynology science is beginning to develop since 1990 and in 2000 the laboratory of palynology was established at the department of Biology,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of Mongolia. Researchers from this laboratory working on pollen morphology of present flora in order to classify plants taxonomy. Another part of our investigation is mellitopalynology, which is studying of pollen grains in a honey. Although, this research has been extending by pollen analysis of sediment and lake deposits in past few years on the basis of high sensitive microscope and modem technology.

  • PDF

칠엽수과(科)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Hippocastanaceae)

  • 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51-258
    • /
    • 1997
  • 칠엽수과(科) 2속(屬)의 20종(種) 1변종(變種)에 대한 화분 형태를 광학현미경, 주사형전자현미경 그리고 투과형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화분립은 단립, 장구형 내지 아장구형, 등극성, 방사성 대칭, 발아구는 3공구형 혹은 3구형이며 내공구는 원형 또는 횡장형이다. 표면무늬는 유선상 혹은 자상이며, 골은 다양한 방향이다. 칠엽수과(科)의 화분을 발아구의 형태와 표면무늬에 의하여 hipppocastanum형, indica형 그리고 punduana형의 3가지 화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