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sson regression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6초

ZAM 모형을 이용한 청주시 간선가로 구간의 사고모형 개발 (Developing the Accident Models of Cheongju Arterial Link Sections Using ZAM Model)

  • 박병호;김준용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43-49
    • /
    • 2010
  • 본 연구는 청주시의 가로구간 교통사고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가로구간의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전체 322개 세부구간으로 분리된 간선도로의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ZAM 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ZAM 모형의 일종인 ZIP(zero inflated Poisson model)과 ZINB(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의 적합성을 결정하는 Vuong 통계 값과 과분산계수 ${\alpha}$의 t 통계 값을 바탕으로 개발된 다양한 모형을 평가한 결과, 포아송, 음이항, ZIP 및 ZINB 회귀모형 중 ZINB 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ZINB 모형은 t, ${\rho}$${\rho}^2$값 (0.63)의 관점에서 보면, 다른 모형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모형으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ZINB 모형의 사고 요인은 교통량, 진출입구 수 그리고 중앙분리대 길이로 분석된다. 교통량과 진출입구 수는 사고발생에 '+'요인, 그리고 중앙분리대 길이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을 이용한 보험설계사들의 이직횟수 적합 (Fit of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us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 전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5호
    • /
    • pp.1087-1097
    • /
    • 2017
  • 본 연구는 계수자료 (count data)를 반응변수로 갖는 포아송회귀 모형, 음이항회귀 모형, 영과잉 포아송회귀 모형,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의 4 모형의 비교를 통해 보험 설계사들의 이직횟수 적합을 위한 최적모형을 찾고자 한다. 보험설계사 이직횟수의 분산이 평균보다 큰 과대산포가 존재하고 0인 경우의 비중이 높을 경우에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을 적합하는 것이 타당함을 보여주고 보험 설계사들의 이직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로그우도값, AIC, SBC 등을 고려하여 보험설계사 이직횟수 적합을 최적의 모형은 영과잉 이항모형과 음이항회귀모형의 결합인 영과잉 음이항 모형이 선택되었다. 영과잉 이항모형에 포함된 변수로는 성별, 총 보험설계사 근무연월, 교차모집 설계사 등록, 보유고객 수, 소속회사 유형이었고, 음이항회귀 모형에 포함된 변수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채널경영만족, 총 보험설계사 근무연월, 현 직장에서 근무연월, 소속회사 유형이었다.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의 적합결과, 이직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현 직장에서 근무연월, 총 보험설계사 근무연월, 소속회사 유형, 채널경영만족, 직무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청년인턴 이직횟수 결정요인 분석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job changes)

  •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387-39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청년인턴 DB와 고용보험 DB를 사용하여 중소기업 청년인턴의 이직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직횟수는 음수가 아닌 정수 값만 가지는 계수 데이터 (count data)이므로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계수 데이터에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포아송 회귀모형,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 음이항 회귀모형,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 등 4개의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최적모형으로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이 선택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 (비인턴집단)에 비해서 처리집단 (인턴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경험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작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경험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여자에 비해서 남자가 유의하게 이직횟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규모가 클수록 이직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회전교차로의 추돌사고 모형 개발 (Developing Rear-End Collision Models of Roundabouts in Korea)

  • 박병호;백태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1-157
    • /
    • 2014
  • This study deals with the rear-end collision at roundabou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s of rear-end collision in Korea.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developing the appropriate models using Poisson, negative binomial model, ZAM, multiple linear and nonlinear regression models, and statistical analysis too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uong statistics and overdispersion parameters indicate that ZIP is the most appropriate model among count data models. Second, RMSE, MPB, MAD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ests show that the multiple nonlinear model is the most suitable to the rear-end collision data. Finally, such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traffic volume, ratio of heavy vehicle,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 lane, number of crosswalk and stop line are adopted in the optimal model.

Claims Reserving via Kernel Machine

  • Kim, Mal-Suk;Park, He-Jung;Hwang, Chang-Ha;Shim, Joo-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9권4호
    • /
    • pp.1419-1427
    • /
    • 2008
  • This paper shows the kernel Poisson regression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laims reserving, where the row effect is assumed to be a nonlinear function of the row index. The paper concentrates on the chain-ladder techniqu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hain-ladder linear model.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better reserve estimates than the Poisson model. The cross validation function is introduced to choose optimal hyper-parameters in the procedure. Experimental results are then presented which indic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 PDF

청주.청원 지방부 신호교차로의 후미추돌 사고모형 (Rear-end Accident Models of Rural Area Signalized Intersections in the Cases of Cheongju and Cheongwon)

  • 박병호;인병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1-158
    • /
    • 2009
  • 본 연구는 지방부에서의 후미추돌사고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신호교차로의 후미주돌 사고특성을 분석하고 청주 청원에 대한사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도시부와 지방부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사고건수와 EF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이며, 독립변수는 교통량과 기하구조 요소들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건수를 종속변수로 이용한 포아송 회귀모형과 EFDO를 종속변수로 이용한 음이항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독립변수들은 중차량비, 교통량 합계 그리고 차량 유출입구 합계이며 음이항 회귀분석으로 나타난 요인은 주도로 폭, 교통량 합계 그리고 중차량비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지방부에서의 특정 독립변수는 주도로 폭과 중차량비 그리고 차량 유출입구 합계이다.

  • PDF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자전거사고 분석 (A Study of Bicycle Crash Analysis at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s)

  • 오주택;김응철;지민경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07
  •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자동차의 증가로 인해 도심지의 극심한 교통정체와 환경파괴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승용차위주의 교통수단을 승용차외의 대체교통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전거는 환경친화적인 그린교통수단(Green Mode)으로 세계 각국에서는 각광받고 있고, 국내에서도 자전거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하는 안전성 측면에서 자전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자전거 사고의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사고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들 개발된 모델들을 이용하여 자전거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설명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모델분석결과, 포아송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이 모델개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전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통량, 진출입구 수, 지형, 자전거도로, 학교, 주거지역, 교차로의 크기 버스정류장 등으로 분석되었다.

  • PDF

고령운전자 교통안전성 평가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Severity Evaluation Models for Elderly Drivers)

  • 김태호;이기영;최윤환;박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8-127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고령자 교통사고 인적요인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교통안전공단의 운전자적성검사(Simulation,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통사고영향 모형개발을 위해 포아송 및 음이항 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교통안전성 평가모형 분석결과, 고령운전자의 경우 선택적 주의능력, 속도예측능력, 주의배분능력이 교통사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비고령운전자의 경우 선택적 주의능력, 속도예측능력, 거리지각능력, 주의배분능력, 주의전환능력이 교통사고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의 사고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편으로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를 구분하여 교통사고 예방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방부 신호교차로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 for Evaluating Safety at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 김응철;이동민;김도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3-63
    • /
    • 2008
  • 일반도로구간에서의 사고발생건수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는 반면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건수는 현재까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교차로에서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에서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운영상의 조건 등을 분석하여 교차로의 설계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그 요인들과 사고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방부 4지 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교차로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교차로에서의 사고분석을 위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사고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모형들을 이용하여 차대차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모형분석결과, 포아송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이 모형개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좌회전 전용차로, 횡단보도, 제한속도, 조명시설, 교차각, ADT 등으로 분석되었다.

  • PDF

산업안전보건교육이 산업재해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n Occupational Accidents)

  • 장공화;하권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0-9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occupational acci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rom the 2012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sample is 7,010 persons working in relation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industry. An ANOVA test is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and need for education. Poisson regression i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occupational accidents. Results: The rate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 is 53.3% for periodic education on workers holding office positions, 68.3% for periodic education for workers not holding office positions, 60.3% for periodic education for persons holding managerial and supervisory positions, 65.5% for education provided upon hiring, 50.5% for education provided upon changes in work activities and 37.2% for special education. In the Poisson regression, these data strongly suggest that the probability of occupational accidents occurring with education implemented is much lower than without the implementation of any kind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onclusions: It is clear that implementation of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occupational accidents, although its application in domestic industry is insufficient. Thus, it is concluded that education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