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owing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3초

벼 무경운 직파 논에서 뚝새풀 발생밀도에 따른 잡초 발생 (Weed Occurrence According to the Density of Water Foxtail in No-tillage Seeding Rice Paddy Fields)

  • 성기영;박태선;조현숙;서명철;전원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0-284
    • /
    • 2012
  • 벼 무경운 직파 재배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쟁기 및 로타리 경운을 생략함으로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이점이 있다. 또 토양 및 토양수분을 보전하고 논 표층에 토양유기물을 축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벼 무경운 재배 논에서 동계에 많이 발생하는 뚝새풀로 인함이다. 본 시험에서 벼 무경운 재배를 한 논에서 동계에 뚝새풀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피복정도가 식양질에서 97.6%, 사양질에서 95.2%로 아주 심하게 발생을 하였다. 이로 인해 벼룩나물, 황새냉이, 개갓냉이, 선씀바귀 등 월년생 잡초나 숙근초의 발생이 줄어들었으며, 그리고 봄철 일찍 발생하는 1년생 잡초 좀명아주, 여뀌 뿐 아니라, 관개 후 논에서 발생하는 피, 알방동산이, 물달개비, 밭뚝외풀 등의 1년생 하계 논잡초들의 발생도 줄어들었다. 결론적으로 벼 무경운 직파 시 동계에 발생하는 뚝새풀로 인해 하계 논잡초 발생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새만금 간척지일대 염습지 생태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Halophytes -)

  • 김창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3-471
    • /
    • 2009
  • A study on vegetation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s and the surrounding regions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efforts to determine the expected ecological changes in the salt marshes, to restore their vegetation, to explore the restoring force of halophyte, to examine the community mechanism and, ultimately, to rehabilitate marshy land vegetation along the lakeside, coastal dune and salt marshes of the Saemangeum Project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ve species such a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ster tripolium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estuary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halophyte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o find out the strategies of plants for survival and the cause of forming community structure, a research was made as for appearance ratio of biomass, root lengths and germination. With regard to biomasses of halophyte, the biomass of Suaeda japonica increases rapidly, while Salicornia herbacea adopts a strategy of unstable growth pattern by which the biomass increases slowly in parallel with its slow speed of growth since initial appearance of young sapling. In contrast, Suaeda asparagoides,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choose to adapt themselves to environment promptly by being transformed into life form of annual or biennial plant, a pattern that is presumed to be favorable and stable for survival in the later stage of growth. In short, there is a sharp distinction among the 5 species: i.e. Suaeda japonica that begins to grow fast in the length of surface and underground section but slows down from the mid-stage on; Salicornia herbacea that grows slowly in the beginning step but starts to step up from the middle onward;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growing slowly in the initial stage but fast later on;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turns from the constant growth in the beginning to rapid growth in the later period.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into status of growth and influencing factors of Suaeda japonica in the sowing field that is most widely prevalent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as a sort of ecological pioneer in the salt marshes showed that the average size of grass lands, density and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 in the natural sowing field as well as in the plowing field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as well as physico-chemical features of the soil as the season progresses from June to October of a year.

Testing of Agricultural Tractor Engine using Animal-fats Biodiesel as Fuel

  • Kim, Youngjung;Lee, Siyoung;Kim, Jonggoo;Kang, Donghyeon;Choi, Honggi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3호
    • /
    • pp.208-214
    • /
    • 2013
  • Purpose: Performances of a tractor diesel engine fueled by three different animal fats biodiesels were evaluated comparing with light oil tractor in terms of power, fuel consumption rate, exhaust gases, particulate matter amount and field work capacity. Methods: Animal fats based on pig biodiesel were manufactured manually and tested for its engine performance in the tractor diesel engine and fuel adoptability in the field works. Four different fuels, three different content of biodiesel (BD20, BD50, BD100) and light oil, were prepared and tested in the four strokes diesel engine. Power output, fuel consumption rate and exhaust gases of the four fuels in the diesel engine were compared and discussed. Results: Power output of light oil engine was the greatest showing 5.3% difference between light oil and BD100, but 0.37% better power than BD20 engine power. Less exhaust gases of $CO_2$, CO, $NO_X$ and THC were produced from animal fats biodiesel than light oil, which confirmed that biodiesel is environmental friendly fuel. For fuel adoptability in the tractor, biodiesel engine tractor showed its fuel competitiveness comparing with light oil for tractor works in the faddy field. Conclusions: With four different fuel types of animal-fats biodiesel, performances of a four cylinder diesel engine for tractor were evaluated in terms of power, exhaust gases, particulate matters (PM) and field work capac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the engine performances including power output and exhaust gases emission rate. No significant power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various fuels including light oil on the engine running, however, amounts of noxious exhaust gases including $CO_2$ and $NO_X$ decreased as biodiesel content increased in the fuels. Field performances of animal-fats biodiesel tractor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plowing and rotary operation in the field. Tilling and rotary performance of light oil tractor and BD20 tractor in the field were compared, in which about 10% travelling speed difference on both operations were monitored that showed light oil tractor was superior to BD20 tractor by 10%. Animal-fats can be an alternative fuel source replacing light oil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an environmental friendly fuel to nature.

토양침적에 의한 $^{137}C_s$ 농작물 오염평가 모델 (Model for predicting the $^{137}C_s$ contamination of an agricultural plant following a soil deposition)

  • 전인;금동권;강희석;최용호;이한수;이창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65-372
    • /
    • 2006
  • [ $^{137}C_s$ ]의 토양침적으로 인한 농작물 오염 평가를 위한 동적격실모델이 제시되었다 토양침투(percolation), 쟁기질에 의한 토양혼합(soil mixing), 뿌리흡수(plant uptake), 용출(leaching to a deep soil), 토양고착(fixation to a clay mineral)이 모델에서 고려된 $^{137}C_s$의 주요 이동경로이며 $^{137}C_s$의 토양이동에 대한 토양특성(pH, 점토함량, 유기물함량, 이온교환성 K 농도)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Absalom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다른 토양특성을 가진 17종류의 논토양에서 2년 연속 벼를 재배하면서 수행한 $^{137}C_s$ 모의침적실험으로부터 구한 벼에 대한 $^{137}C_s$ 전이계수를 모델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측정된 벼의 $^{137}C_s$ 전이계수는 pH와 점토함량 변화에는 뚜렷한 경향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유기물함량의 증가 또는 이온교환성 K 농도의 감소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측정된 전이계수는 모델에 의한 예측치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값을 가졌다.

  • PDF

IT 융합기술을 적용한 동바리 붕괴사고 방지를 위한 건설공사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Construction System to prevent Dongbari Collapse by applying IT Convergence Technology)

  • 전경덕;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3-120
    • /
    • 2020
  • 건설공사에 있어 산업재해라고 불리는 안전사고는 사고 발생시에는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상의 피해, 사회적으로도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어 건설공사의 공신력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초고층, 대심도, 다양한 용도의 복합건축물이 시공이 많아짐에 따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의 위험은 계속 증가 될 수 있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중 가장 많이 시공되는 아파트 공사는 세대구성 부분은 층별로 보가 없는 벽식 구조로 설계와 시공이 되고 저층부에서는 기둥과 보가 있는 라멘 구조로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부 하중을 견디기 위한 전이보 또는 전이 스라브가 라멘구조 상부에 설치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공시 가설재로 설치되는 시스템 동바리는 타설작업 및 양생시 붕괴 사고가 언제든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T 융합 기술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시스템 동바리 붕괴가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시공 중 발생 될 수 있는 많은 변수를 각각의 사례별로 적용하여 시스템 동바리 안정성을 확인 하고 전도방지 예측 시스템의 모델을 제안 하고자 한다.

답(沓) 이용도(利用度) 제고(提高)를 위(爲)한 조사(調査) 연구(硏究) (Investigation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Paddies in Korea)

  • 최범열;김영래;김문규;최창열;조재성;김달웅;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51-177
    • /
    • 1975
  • 충남지방(忠南地方)의 답이용도(沓利用度) 제고(提高)를 위(爲)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얻기 위(爲)하여 충남(忠南)의 입지적(立地的)인 조건(條件)과 아울러 답이용현황(沓利用現況) 및 답이용도(沓利用度)의 제고(提高)를 조해(阻害)하는 요인(要人)을 분석(分析)하고 보다 생산성(生産性) 높은 작업(作業) 및 경종체계를 모색(摸索)하였던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답전후작(沓前後作)을 기피(忌避)하는 일차적(一次的)인 원인(原因)은 논의 배수불량(排水不良)이었고 이차적(二次的)인 원인(原因)은 이앙기(移秧期)에 지장(支障)을 초래(招來)한다는 점(点)이었고 삼차적(三次的)인 원인(原因)은 노동력(勞動力) 부족(不足)이었다. 2. 답전후작(沓前後作)을 수행(遂行)하는 농가(農家)는 대부분영세농(大部分零細農)으로서 자가식량(自家食糧)을 대보를 위(爲)한 소규모재배(小規模栽培)가 많았으며 주작목(主作目)은 보리였다. 3. 충남(忠南)의 기조적(氣條的)인 조건(條件)을 고려(考慮)할 때 대체로 답전후작물(沓前後作物)의 수확기(收穫期)는 6월(月)10일(日)이 한계(限界)이며 수도(水稻)의 이앙기(移秧期)는 6월(月)25일(日)이 한계(限界)이다. 4. 답전후작(沓前後作)으로 보리를 파종(播種)할 경우(境遇) 경운전(耕耘前) 로타리살파(撒播)가 가장 능률적(能率的)이었을 뿐아니라 적은 경비(經費)가 소요(所要)되었다. 5 소득(所得)과 아울러 수확(收穫) 및 이앙작업소요기간(移秧作業所要期間)을 고려(考慮)할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으로 조생(早生)통일+올보리의 작부방식(作付方式)이 유리(有利)하였다.

  • PDF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기관(機関)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Efficient Utilization of Power-Tiller Engines)

  • 류관희;박금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1-7
    • /
    • 1984
  • The engines mounted on power-tillers are used as power source in various kinds of works such as plowing, harrowing, transporting, spraying, water pumping and threshing, etc. But the engines have not been used effectively from a standpoint of fuel consumption because of lack of proper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fue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s. Therefo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proper power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he power-tiller engines and various implem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ive, firstly, power requirement and pulley sizes for various implements, which are driven by the power-tiller engine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wheth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proper. Secondly, partload variable engine-speed test was conducted for 3 different sizes of diesel engines to measure to specific fuel consumption. Thirdly, the present power transmission systems were analyzed in terms of specific fuel consumption, and proper power transmission systems were suggested for various imp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wer requirement for each fixed-type implement of power-tiller varied from 1.5 ps to 11 ps according to its type and operating conditions, but generally in the range of 2.5 ps to 7 ps. 2. Each power tiller and implement were equipped with only one size of pully with few exeptions. With the present power transmission systems, the engines can't be utilized effectively in terms of fuel economy. The pulley size of engine or implement should be diversified to provide the optimum engine speed for different implements. 3. For a diesel eninge with the rated power output of 6 ps, the optimum engine speed to minimize specific fuel consumption was 2200 rpm for the power reguirement in the range of 6 ps or more, 1700 rpm in the range of 4 to 6 ps, and 1200 rpm in the range of 4 ps or less. 4. For a diesel engine with the rated power output of 8 ps, the optimum engine speed was 2200 rpm for the power requirement in the range of 7 ps or more, 1700 rpm in the range of 4.8 to 7 ps, and 1200 rpm in the range of 4.8 ps or less. 5. For a diesel engine with the rated power output of 10 ps, the optimum engine speed was 2200 rpm for the power requirement in the range of 8.4 ps or more, 1700 rpm in the range of 5.4 ps to 8.4 ps, and 1200 rpm in thr range of 5.4 ps or less. 6. Provided the existing implements are dirven by 8 ps diesel engines, the optimum size of engine pulley should be larger than 120mm for the works of requiring less than 4 ps and 90-110mm for the works requiring 4.5-6.5 ps in order to minimize fuel consumption.

  • PDF

토양조사 자료 실용화(實用化)를 위한 우리나라 논 토양의 형태형(形態型) 구분 (Classification of Morphological types of the Korean Paddy Soils for Practical Use of Soil Survey Results)

  • 정연태;정석재;현근수;손연규;조영길;윤을수;조국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7-84
    • /
    • 2001
  •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의 결과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분포지형(分布地形), 토성(土性), 배수등급(排水等級) 등을 종합한 논 토양의 형태형(形態型)을 구분하였다. 우리 나라 논 토양의 형태형은 37형(型)으로 구분되었고, 분포면적이 많은 형태형은 곡간지 식양질반습답(埴壤質半濕畓)(Lfi : 약 224천ha), 곡간지 식양질 건답(乾畓)(Lfd : 약160천ha), 곡간지 사양질(砂壤質) 반습답(半濕畓)(Lmi : 약112천ha), 곡간지 역질건답(礫質乾畓)(Lkd : 약 93천ha)등의 순으로 곡간(谷間) 및 선상지(扇狀地) 토양의 비중이 높았다. 논 토양의 답리작, 비닐하우스, 또는 녹비배재 가능성등을 형태형별로 추천하였고, 아울러 생고나 퇴비, 심경, 객토 또는 배수 대상지, 침식위험성, 벼의 중간낙수 필요성, 환원장해 우려정도 등을 구분하여 관리기술로 추천하였다. 각종 시험연구가 진전(進展)될수록 더욱 정밀(精密)한 토양관리(土壤管理) 기술의 추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 PDF

봄철 논습지를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자원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s of Shorebirds Diets during Spring Migration Stopovers in Korean Rice Fields)

  • 남형규;김명현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52-460
    • /
    • 2017
  • 내륙에 위치한 논 습지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수조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원을 제공하는 중간기착지로, 도요물떼새류들의 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풍부한 대형저서생물들을 취식하는 도요물떼새류는 중간기착지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원을 쉽게 바꿀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기착지에서 그들의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취식지에 서식하는 잠재적 먹이원의 종류와 분포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서부지역 논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 위치한 농경지의 잠재적인 먹이원과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였고, 잠재적인 먹이원의 분포가 다양한 벼 재배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잠재적 먹이원은 총 10목 15과 19종의 대형저서생물로 나타났으며, 실제 먹이원은 대형저서생물에서 9목 9과로 나타났고, 미꾸리류나 새섬매자기 괴경도 섭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먹이원의 분포는 논갈이나 써레질과 같은 경작으로 형성된 토양의 상태와 농약 사용 유무에 의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먹이원의 종류(대형저서생물, 잔존볍씨, 씨앗)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분포가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추후 논습지를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보전 관리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고농서를 통한 조선시대의 도작기술 전개과정 연구 II. 고대중국의 도작기술 개요 탐색 (Transition of Rice Cultural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I. Investigation of Rice Culture Practice in Ancient China)

  • 이숭겸;구자옥;이은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0-285
    • /
    • 1991
  • 우리나라 고대농업과 기술을 형성하는 데 직접간접으로 기간역할을 해 왔던 고대중국의 도작기술은, 이미 한전농법과 농본관(정신)을 기원전에 완성하였으며, 특히 심경과 정수 및 토양비옥도 유지를 위한 경전법을 중심으로 도작기술이 발전되었고, 따라서 이앙법, 정조식 심종법, 철제농기구 사용, 수리를 위한 피당 축조기술이 앞섰고, 다양한 지역에서 재해를 회피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품질공급을 위하여 벼 품종의 분화가 잘이루어져 왔다. 또한 중국농업의 발상지가 화북이었기 때문에 인희지광의 특성에 맞는 조방적 도작기술로서 화경수누법과 세역법이 태동되었고, 한무제와 ‘참위’학자들의 음역오행설이 농업관과 연계되면서 파종이나 작목선택에 대한 기술이 만술적으로 발달한 경향도 있었다. AD 6세기경의 $\ulcorner$제민요술$\lrcorner$부터 14세기의 왕복 $\ulcorner$농서$\lrcorner$에 이르기까지 도작기술은 지속적, 상가적으로 분화발달되어 왔으나 원대 이후에는 정체된 경향이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여말 농업과 $\ulcorner$농사직설$\lrcorner$시대가 시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