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b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사상설 진균 Aspergillus nidulans의 Phospholipase B 유전자(plb A)의 클로링 (Molecular Cloning of a Putative Gene Encoding Phospholipase B (plbA) from Aspergillus nidulans)

  • 홍사현;조은민;송승은;엄치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9-194
    • /
    • 2008
  • Phospholipase B(PLB) families는 phospholipase(PL), lysophospholipase(LPL) 그리고 lysophospholipase-transacylase(LHA)의 활성을 공유하고 있는 효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성 진균인 Aspergillus nidulans에서 최초로 lipase motifs를 보유하고 있는 단백질 Phospholipase B를 인코딩하는 유전자(plb A)를 클로닝하였다. plb A는 다양한 PLB 효소들의 lipase 보존영역들의 염기서열 정보에 근거하여 제작한 probe를 이용하여 A. nidulans genomic DNA library로 부터 분리하였다. Phospholipase B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626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고 있었다. PlbA는 Penicillium notatum의 PLB와는 72%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생물유래의 PLA와는 낮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anufacture)

  • 채명희;박나영;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67-1272
    • /
    • 2006
  • 매실리큐르 제조 후 생성되는 매실 부산물을 10%, 20% 농도로 식빵 제조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발효팽창력과 굽기손실율은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부피는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 10% 첨가한 반죽의 L값은 대조구와 유사하였고, 2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빵 표면의 L값은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는 감소하였다. b값은 매실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빵 내부의 색도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은 10% 첨가구의 hardness와 strength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20% 첨가구는 증가하였다. Cohesiveness와 springiness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는 매실 과육 10% 첨가구의 기호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색택, 씹힘성, 빵의 부드러운 정도(softness)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매실 과육 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에 비해 기호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Optimization of efficient protocorm-like body (PLB) formation of Phalaenopsis and Dendrobium hybrids

  • Soe, Khaing Wah;Myint, Khin Thida;Naing, Aung Htay;Kim, Chang Ki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179-183
    • /
    • 2014
  • Optimization of the protocorm-like body (PLB) formation of Phalaenopsis and Dendrobium hybrids wa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and different parts and division sizes of the PLB. For both genera, the base part was the best for the proliferation of PLBs, yielding the highest number of PLBs on a PGR-free medium for Phalaenopsis and medium containing $0.1{\mu}M$ NAA and $10.0{\mu}M$ BAP for Dendrobium. As regards the division size, four-division sections resulted in a higher PLB formation efficiency for Phalaenopsis, while two-division sections produced a higher PLB formation efficiency for Dendrobium.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will be applicable to efficient PLB formation of other Phalaenopsis and Dendrobium orchids.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sil(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Maesil Liqueur Manufacture on Kimchi Fermentation)

  • 채명희;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83-788
    • /
    • 2006
  • 매실 리큐르 제조 후 부산물로 폐기되는 폐매실을 식자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의 검토하기 위해 폐매실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매실 리큐르 제조후 부산물로 나오는 매실 분쇄 과육을 절임배추 무게에 10%, 20%를 첨가하여 $10^{\circ}C$에서 25일간 발효 중 젖산균수, 총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pH와 산도는 PLB 20% 첨가구는 발효 기간 동안 완만한 변화를 나타내어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김치 발효는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 리큐르 부산물 첨가에 의해 황색도는 증가였으나 적색도와 명도는 감소하였다. 발효 중 strongth와 hardness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Cohesiveness와 springiness, gumminess, brittleness 모두 매실 리큐르 부산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고, 발효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며, 감소하는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10일째의 김치의 기호성은 매실 리큐르 부산물 첨가김치의 맛과 색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김치의 조직감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우수하였다.

호접란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통한 조직배양묘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Phalaenopsis Clones by Basal Shoot Culture)

  • 빈철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75-380
    • /
    • 2003
  • 줄기기저부절편조직을 이용한 호접란 조직배양묘 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괴체 유도와 원괴체 증식의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치상조직별 원괴체 유도 성공률을 비교한 결과 줄기기저부절편조직에서 약 45%의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화경액아 배양으로 약 30% 정도의 성공률을 나타낸 반면 근단, 화경절간절편, 화경엽, 성숙엽의 경우에는 성공률이 1%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품종별 원괴체의 유도능력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1개 품종에서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한 결과 백색계 와 핑크계품종 모두에서 30%이상의 높은 원괴체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줄기기저부배양에서 줄기기저부를 절단하지 않고 천체조직을 치상하였을 경우 거대 원괴체가 유도되었는데 이 거대 원괴체는 진한 녹색으로 보통 원괴체의 3∼5배 정도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거대 원괴체를 증식하기 위해 절단하여 증식배지에 치상하였으나 새로 나온 원괴체는 정상적인 크기의 PLB로 유도되었다. 줄기저부배양에서 얻어낸 원괴체들은 증식과정을 거쳐 정상적인 조직배양묘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호접란 클론묘생산에 쓰일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의 하나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이용하여 원괴체를 유도 증식하고 플라스크묘를 만든 뒤 다시 그 묘의 줄기기저부절편을 이용하여 원괴체를 유도 증식하고 플라스크묘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에 응용함으로써 무한수의 조직배양묘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체계가 제시되었다.

다양한 배지종류, sucrose 농도 및 갈변억제물질 처리에 의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체계확립 (Establishment of prolife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of PLBs in Phalaenopsis by treatments of a variety of types of medium, sucrose concentrations and anti-browning agents)

  • 노희선;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23-228
    • /
    • 2014
  • 팔레놉시스 PLB (protocorm-like bodies) 조직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및 신초재분화 체계 확립을 위하여 다양한 증식배지,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의 효과, sucrose 농도 등이 PLB 증식과 신초 재분화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활성탄소, citric acid 및 ascorbic acid 등이 팔레놉시스 PLB 배양시 갈변화 현상을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난과 식물에서 증식배지로 널리 사용되는 VW, HCa, Orchimax 및 Kudson C 배지 중 VW 배지가 PLB 증식에서 타 배지와 비교해서 최소 1.3배에서 최대 2배의 증식효율 그리고 신초 재분화에서도 50% 이상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다. 최적 배지로 선정된 VW배지에 apple powder 및 banana powder를 첨가한 VWAB 배지를 기반으로 액체 및 고체배양에서 PLB 증식효율과 신초재분화율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Sucrose 농도를 0 ~ 50 g 처리한 실험에서는 PLB 증식과 재분화 효율 둘 다 10 g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갈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소, citric acid와 ascorbic acid를 처리한 실험에서는 활성탄소 1 g이 1.5%의 가장 낮은 갈변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향후 팔레놉시스 PLB를 이용한 대량증식 및 재분화 체계 확립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Same-Day versus Overnight Observation after Outpatient Pediatric Percutaneous Liver Biops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Kozlovich, Svetlana Yuryevna;Sochet, Anthony Alexander;Son, Sorany;Wilsey, Michael Joh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4호
    • /
    • pp.377-386
    • /
    • 2019
  • Purpose: Percutaneous liver biopsy (PLB), a diagnostic procedure to identify several hepatobiliary disorders, is considered safe with low incidence of associated complications. While postoperative monitoring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adults, selection of procedural recovery time for children remains at the discretion of individual operators. We aim to determine if differences exist in frequency of surgical complications, unplanned admissions, and healthcare cost for children undergoing outpatient PLB for cohorts with same-day vs. overnight observatio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children 1 month to 17 years of age undergoing ultrasound-guided PLB from January 2009 to August 2017 at a tertiary care, pediatric referral center. Cohorts were defined by postprocedural observation duration: same-day (${\leq}8$ hours) vs. overnight observation. Outcomes included surgical complications, medical interventions, unscheduled hospitalization within 7 days, and total encounter costs. Results: One hundred and twelve children met study criteria of which 18 (16.1%) were assigned to same-day observation. No differences were noted in demographics, anthropometrics, comorbidities, biopsy indications, or preoperative coagulation profiles. No major complications or acute hospitalizations after PLB were observed. Administration of analgesia and fluid boluses were isolated and given within 8 hours. Compared to overnight monitoring, same-day observation accrued less total costs (US $992 less per encounter). Conclusion: Same-day observation after PLB in children appears well-tolerated with only minor interventions and complications observed within 8 hours of procedure. We recommend a targeted risk assessment prior to selection of observation duration. Same-day observation appears an appropriate recovery strategy in otherwise low-risk children undergoing outpatient PLB.

호접란의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 시스템의 최적조건 구명을 위한 연구 (Approaches on Optimum Conditions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 나애실;빈철구;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0
  • 호접란의 형질전환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생제 kanamycin, hygromycin 및 spectinomycin 농도(0, 25, 50, 100, 200, and $400mg{\cdot}L^{-1}$)가 품종별 PLB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hygromycin은 $25mg{\cdot}L^{-1}$에서 모든 품종이 괴사하였으므로 형질전환 개체의 선발 항생제로는 hygromycin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P. 'Maki Watanabe'와 P. 'Brother Lawrence' 두 품종에서 형질전환체 선발을 위한 DL-Phosphinothricin (PPT)의 적정 농도는 $0.5mg{\cdot}L^{-1}$이었다. 형질전환시 가장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한 공동배양 일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은 Dtps. 'City Girl'과 A. 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2단계로 이루어졌다. 균주와 VW 배지의 1 : 10 현탁액에 균주와 PLB를 감염시킨 결과 1시간 처리구에서 PLB 생존이 가장 많았다. 그런 다음 공동배양한 결과 5일 배양에서 PLB 생존수가 가장 많았지만, 4일 이상의 공동배양할 경우 PLB 조직이 연화가 되고 약해져서 죽게 되었다. 따라서 오히려 3일 공동배양 기간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박테리아 균주의 종류가 호접란 PLB의 형질전환에 미치는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A. tumefaciens LBA4404(pTOK233)와 EHA105(pGA643)를 이용하였다. LBA4404 보다 EHA105로 감염시킨 PLB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 A. tumefaciens LBA4404(pTOK233)와 AGL1(pCAMBIA3301)을 이용한 형질전환 실험에서 치상된 PLB가 초기에 백변하는 정도가 LBA4404를 이용한 경우 눈에 띄게 빠르게 나타났고 새로운 PLB가 유도되는 정도도 매우 낮았다(1% 미만). 반면에 AGL1을 이용한 경우 40% 정도의 새로운 PLB 및 유식물체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 실험에서 최종적으로 hygromycin 저항성 식물체 11개체와 PPT 저항성 식물체 32개체를 얻어냈으나 진정한 형질전환체인지는 차후에 더 검정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철피석곡의 기내 Protocorm Like Bodys(PLBs) 재증식 및 신초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탄소원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arbon sources on proliferation and shoot formation of PLBs in Dendrobium candidum)

  • 장지우;김창길;;이도진;정미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9-16
    • /
    • 2019
  • 본 연구는 철피석곡의 PLB 기내 대량증식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소재활용 수요를 충족시키고 아울러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철피석곡을 보존하고 수행하였다. 종자유래의 PLB 재 증식에는 H3P4 기본배지에 NAA $0.1mg{\cdot}L^{-1}$과 kinetin $0.1mg{\cdot}L^{-1}$를 혼용한 배지가 가장 적합하였다. H3P4 기본배지 내 탄소원으로 sucrose $10g{\cdot}L^{-1}$를 첨가 했을 때 PLB의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재 증식된 PLB로부터 shoot 형성율은 1/4MS 또는 H1P2 배지에 sucrose를 $10g{\cdot}L^{-1}$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았고 shoot의 초장도 길어졌다.

Protocorm-like body를 이용한 호접란 형질전환 연구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by Using Protocorm-Like Body)

  • 허연재;김은영;양원태;이영병;이재헌;정영수;남재성;윤대진;이기환;김도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8-383
    • /
    • 2009
  • 본 연구는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호접란 형질 전환 시스템의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고, 호접란 PLB의 대량증식을 위한 배지 조성은 하이포넥스 기본 배지에 활성탄 1g/l, 티아민 0.1 mg/l 및 sucrose 30 g/l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PLB가 안정적으로 증식되었다. 계대 배양시 PLB 절단 방법이 PLB의 생존과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PLB 위쪽으로 부터 1/3 부위를 절단하여 계대 배양한 경우 90% 이상의 가장 높은 증식률을 나타났다. Agrobacterium 접종 시 균이 묻어 있는 침으로 PLB를 찔러 상처를 내는 d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Agrobacterium 배양액의 흡광도 값이 0.8일 때 형질전환 효율이 가장 높았고, 형질전환된 PLB의 선발은 1 mg/l 정도의 저농도 hygromycin을 함유한 배지에 계대배양 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호접란 형질전환체를 먼저 GUS assay를 통하여 선발하였고, 선발된 개체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GUS 특이적 primer와 probe로 PCR과 Sou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고 유전자의 도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GUS 염색된 형질전환체에서 정상적으로 GUS 유전자가 도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