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latelets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35초

Thermal post-buckling behavior of imperfect graphene platelets reinforced metal foams plates resting on nonlinear elastic foundations

  • Yin-Ping Li;Gui-Lin She;Lei-Lei Gan;H.B. Liu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6권4호
    • /
    • pp.251-259
    • /
    • 2024
  • In this paper, the thermal post-buckling behavior of graphene platelets reinforced metal foams (GPLRMFs) plate with initial geometric imperfections on nonlinear elastic foundations are studied. First, the governing equ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FSDT) of plate. To obtain a single equation that only contains deflection, the Galerkin principle is employed to solve the governing equation. Subsequentl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xisting literature, thereby verifying the correctness and reliability of this paper. Finally, considering three GPLs distribution types (GPL-A, GPL-B, and GPL-C) of plates, the effects of initial geometric imperfections, foam distribution types, foam coefficients, GPLs weight fraction, temperature changes, and elastic foundation stiffness on the thermal post-buckling characteristics of the plat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GPL-A distribution pattern exhibits the best buckling resistance. And with the foam coefficient (GPLs weight fraction, elastic foundation stiffness) increases, the deflection change of the plate under thermal load becomes smaller. On the contrary, when the initial geometric imperfection (temperature change) increases, the thermal buckling deflec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current research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articl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hermal stability analysis of GPLRMFs plates.

Thrombin성 혈소판응집에 대한 Amitriptyline, Sertraline 및 Chlorpromazine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Amitriptyline, Sertraline and Chlorpromazine on the Thrombin-induced Aggregation of Platelets)

  • 최상현;이영재;신경호;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9-311
    • /
    • 1995
  • 혈소판은 혈전기전의 중요요소로, monoamine성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있어서 신경계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우울약물인 amitriptyline (AMT)과 sertraline (SRT)의 혈소판응집 억제와 이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 물질의 함량변동 및 단백인산화에 대한 영향을 chlorpromazine (CPZ)과 비교연구함으로써, 이들 약물의 혈소판응집 억제작용의 효능을 검정하고, 항 혈소판 및 항우울 작용기전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RT, CPZ 및 AMT은 thrombin (0.25 unit/ml)에 의한 혈소판응집을 억제하였으며, 각각의 IC50은 $4.37{\times}10^{-5}\;M$, $5.76{\times}10^{-5}\;M$$1.15{\times}10^{-4}\;M$이었다. 이러한 억제효과는 A23187$(1.0\;{\mu}M)$및 PMA(320 nM)에 의한 혈소판응집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thrombin은 혈소판응집과 아울러 thromboxane $B_2$$prostaglandin\;E_2$ 생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arachidonic acid 생성은 CPZ, AMT 및 SRT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CPZ, AMT 및 SRT은 cAMP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SRT, AMT $(1{\times}10^{-4}\;M)$ 및 CPZ $(3{\times}10^{-5}\;M)$은 cGMP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Ins(1,4,5)P_3$ 함량은 thrombin 부하 후 10초 이내에 정점에 도달한 후 45초 이후까지 유지된다. CPZ과 AMT은 혈소판의 $Ins(1,4,5)P_3$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thrombin에 의한 증가도 유의하게 증강시킨다. SRT은 혈소판의 $Ins(1,4,5)P_3$을 증가시키나, thrombin 부하 후 증강되지는 않았다. $Ins(1,4,5)P_3$ 증가에 이어서, $[Ca^{2+}]_i$은 thrombin 부하 후 20초에 최고점에 이르며, 이러한$[Ca^{2+}]_i$, 증가는 세 약물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혈소판 단백인산화에 대해서, thrombin은 $41{\sim}43\;kDa$ 및 20kDa 단백인산화를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AMT, SRT 및 CPZ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CPZ, AMT 및 SRT 등의 세 약물은 유의한 항응집효과와 thromboxane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약물에 의한 protein kinase C 활성억제 및 $Ins(1,4,5)P_3$의 함량증가는 각각 이들약물의 항응집효과 및 항우울성 작용기전과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신규 항암성 화합물 아크리플라빈과 구아노신 복합체를 흰쥐에 근육주사시 아크리플라빈의 체내분포 (Distribution of Acriflavine in Rats Following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Acriflavine and Guanosine, a Potential Antitumor Agent)

  • 송석길;정연복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14
    • /
    • 2006
  • A 1 : 1 mixture of acriflavine (ACF; CAS 8063-24-9) and guanosine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possible antitumor agent in preclinical studies. Guanosine is known to potentiate the anticancer activity of some compounds.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trypaflavine (TRF) or proflavine (PRF)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mammals.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RF and PRF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ACF and guanosine) at a dose of 30 mg/kg ACF in rats. to analyze TRF and PRF levels in biological samples, we used an HPLC-based method. The calibration curves for TRF and PRF in the samples were linear over the concenration range of $0.05{\sim}200\;{\mu}g/ml$. The intra- and inter-day assay accuracies of this method were within ${\pm}15\%$ of norminal values and the precision did not exceed $15\%$ of relative standard diviation. The lower limits of quantitation were 50 ng/ml for both TRF and PRF. The distribution of TRF or PRF was determined by 48 h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at a dose of 30 mg/kg ACF. TRF and PRF were distributed as the following order; kidney>lung>liver>small intestine>muscle. Of the various tissues, TRF and PRF were mainly distributed to the kidney and lung.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tissues 24 h after i.m. administration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blood cells were comparable to those for the plasma.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both plasma and blood cells 12 h after i.m. administration were not detected. The number of the platelets in the 1 ml of the blood was calculated to be $0.183{\times}10^8/ml$ of blood. The PRF concentration in platelets was higher than that of TRF at initial times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However, both the TRF and PRF concentrations in the plateles 24 h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were below the quantifiable limit.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various tissues, plasma, blood cells, and plateles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24 h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at a dose of 30 mg/kg ACF.

개량된 방법에 의한 사람혈소판으로부터 TGF-$\beta$ 1의 분리 (Purification of TGF-$\beta$ 1 from Human Platelets by an Improved Method)

  • 신충건;김상국;문병조;김평현;전계택;남상욱;김장환;이종원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9-16
    • /
    • 1999
  •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TGF-$\beta$1)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는 관계로 의학적 치료제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혈소판추출, 젤여과,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역상 HPLC등 네 단계의 정제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정제공정을 이용한 TGF-$\beta$1을 값싸고 효울적으로 정제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얻어진 TGF-$\beta$1은 비환원조건하에서 SDS-PAGE를 행한 결과 구매된 TGF-$\beta$1 표준품과 일치한 위치에서 한 개의 band가 관찰되어 순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것이 Westem blot를 통하여 TGF-$\beta$1 항체와 결합하는 것으로부터 TGF-$\beta$1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mink lung epithelial cell line 을 이용한 성장저해 실험을 통해 정제된 TGF-$\beta$1이 구매되TGF-$\beta$1 표준품보다 조금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농축혈소판 10단위로부터 약 3.7$\mu$g의 정제된 TGF-$\beta$1이 얻어져 그 최종수율은 약 21%였다.

  • PDF

그래핀에 기초한 막의 구조와 물질 전달 성질 개관 (Architecture and Transport Properties of Membranes out of Graphene)

  • 야콥 부크하임;로만 비스;김창민;등명명;박형규
    • 멤브레인
    • /
    • 제26권4호
    • /
    • pp.239-252
    • /
    • 2016
  • 최근 2차원 나노 물질을 응용하여 수처리 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 노력의 한 가운데에 원자 두께를 가지고 있으면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층으로 쌓을 수도 있는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이 자리하고 있다. 이 총설에서 우리는 그래핀으로부터 만들 수 있는 두 가지 막 구조에 관한 기초 물질 전달 현상을 최근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다룬다. 그 물질 자체로 이미 물질 전달 차단성을 갖는 그래핀에 정확히 제어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면 아마도 원자 크기 수준으로 얇은 두께 때문에 그래핀 막은 같은 기공 크기의 어느 막보다도 빠른 궁극적 투과도를 나타낼 것이며, 이로부터 선택도를 담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막 분리 공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한 예로, 나노미터 이하의 기공을 가정한 초박막 침투성 그래핀 막에 대한 분자동역학 연구와 몇몇 초기 실험 결과들이 해수담수화 막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인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래핀 물질로부터 다른 구성을 가진 막을 설계할 수 있는데, 이 막은 적당히 산화된 그래핀 마이크로 판들을 무작위로 적층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그래핀 판 적층 간격을 나노미터 이하로 쉽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구조 역시 수처리 및 해수담수화 막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기존 막기술에 존재하지 않던 구조와 물질 전달 성질을 가짐으로써 두 종류의 그래핀 막은 앞으로 수처리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막 기술의 응용분야에서 효과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cGMP에 의한 VASP 인산화 기전을 통한 항혈소판 효과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has an anti-platelet effect via cGMP-dependent VASP phosphorylation in human platelets)

  • 노주예;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98-305
    • /
    • 2019
  •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은 항염, 항암, 항산화와 같은 효과를 갖는 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이하 CTE)의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 기전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CTE가 혈소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TE는 collagen으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 반응에서 cyclooxygenase-1 활성을 억제하고, 세포 내 칼슘 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thromboxane A2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phospholipase Cγ2와 syk의 인산화 반응을 억제하였으며, guanosine monophosphate (cGMP)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vasodilator-stimulated phosphoprotein(VASP)의 Ser239 위치를 인산화하여 항혈소판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지방 식이로 혈소판 활성화를 유도한 랫드에서 CTE를 경구 투여 하였을 때, 간독성 없이 콜라겐으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반응을 thromboxane A2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혈소판 효과를 보였다. 이는 in vivo와 in vitro에서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CTE는 항혈소판 작용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임을 제시하는 바이다.

Ginsenoside Rg3-enriched red ginseng extract inhibits platelet activation and in vivo thrombus formation

  • Jeong, Dahye;Irfan, Muhammad;Kim, Sung-Dae;Kim, Suk;Oh, Jun-Hwan;Park, Chae-Kyu;Kim, Hyun-Kyoung;Rhee, Man 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548-555
    • /
    • 2017
  •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has been used for several decades to treat many diseases, enhancing both immunity and physical strength.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ginseng, including its anticanc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se activities are mediated by ginsenosides present in the ginseng plant. Ginsenoside Rg3, an effective compound from red ginseng, has been shown to have antiplatelet activity in addition to its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Platelets are important for both primary hemostasis and the repair of the vessels after injury; however, they also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acute coronary diseases. We prepared ginsenoside Rg3-enriched red ginseng extract (Rg3-RGE) to examine its role in platelet physiology. Methods: To examine the effect of Rg3-RGE on platelet activation in vitro, platelet aggregation, granule secretion, intracellular calcium ($[Ca^{2+}]_i$) mobilization, flow cytometry, and immunoblot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rat platelets. To examine the effect of Rg3-RGE on platelet activation in vivo, a collagen plus epinephrine-induced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mouse model was used. Results: We found that Rg3-RGE significantly inhibite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Ca^{2+}]_i$ mobiliz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o reducing ATP release from collagen-stimulated platelets. Furthermore, using immunoblot analysis, we found that Rg3-RGE markedly suppress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rylation (i.e., extracellular stimuli-responsive kinase, Jun N-terminal kinase, p38) as well as the PI3K (phosphatidylinositol 3 kinase)/Akt pathway. Moreover, Rg3-RGE effectively reduced collagen plus epinephrine-induced mortality in mice.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ginsenoside Rg3-RGE could be potentially be used as an antiplatelet therapeutic agent against platelet-mediated cardiovascular disorders.

발효마늘 추출물의 항혈전 및 심혈관개선 효과 (The Effects of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Cardiovascular Improvement of Fermented Garlic Extrac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67-57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발효 마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및 심혈관개선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심혈관 질환(CVD)의 발생률은 선진국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CVD는 현재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을 나타내고 있다. 천연물 및 대체의학은 CVD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은 항염증제, 항산화제 및 항혈소판 활동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이다. 우리는 발효 과정에서 생산된 생리활성 화합물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제품의 발효 제제가 발효되지 않은 형태보다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쥐 혈소판으로부터 표준 광투과 응집 측정법 및 생체외 과립 분비를 사용하여 시험관내 및 생체외 혈소판 응집 분석을 통해 이들 화합물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발효된 조제물이 시험관내 및 생체외 양쪽에서 혈소판 응집이 보다 강력하고 유의적인 억제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마찬가지로, 조밀한 혈소판 과립으로부터의 ATP 방출은 발효되지 않은 조제-처리된 쥐의 혈소판과 비교하여 발효된 조제-처리된 쥐 혈소판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발효 과정이 발효중에 생산된 활성 화합물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한 결과 시험관내 및 생체외에서 혈소판 기능에 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 제품은 혈소판 관련 CVD에 대한 강력한 치료제로서 항혈소판 및 항혈전제로 사용될 수 있다.

Antiplatelet Activity of [5-(2-Methoxy-5-chlorophenyl)furan-2-ylcarbonyl]guanidine (KR-32570), a Novel Sodium/hydrogen Exchanger-1 and Its Mechanism of Action

  • Lee Kyung-Sup;Park Jung-Woo;Jin Yong-Ri;Jung In-Sang;Cho Mi-Ra;Yi Kyu-Yang;Yoo Sung-Eun;Chung Hun-Jong;Yun Yeo-Pyo;Park Tae-Kyu;Shin Hwa-Sup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375-383
    • /
    • 2006
  • The anti platelet effects of a novel guanidine derivative, KR-32570 ([5-(2-methoxy-5-chlorophenyl) furan-2-ylcarbonyl]guanidine), were investigated with an emphasis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its inhibition of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KR-3257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ggregation of washed rabbit platelets induced by collagen $(10{\mu}g/mL)$, thrombin (0.05 U/mL), arachidonic acid $(100{\mu}M)$, a thromboxane (TX) $A_2$ mimetic agent U46619 (9,11-dideoxy-9,11-methanoepoxy-prostaglandin $F_2,\;1{\mu}M$) and a $Ca^{2+}$ ATPase inhibitor thapsigargin $(0.5{\mu}M)$ ($IC_{50}$ values: $13.8{\pm}1.8,\;26.3{\pm}1.2,\;8.5{\pm}0.9,\;4.3{\pm}1.7\;and\;49.8{\pm}1.4{\mu}M$, respectively). KR-32570 inhibited the collagen-induced liberation of $[^3H]$arachidonic acid from the platele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ith complete inhibition being observed at $50{\mu}M$. The $TXA_2$ synthase assay showed that KR-32570 also inhibited the conversion of the substrate $PGH_2$ to $TXB_2$ at all concentrations. Furthermore, KR-3257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a^{2+}]_i$ mobilization induced by collagen at $50{\mu}M$, which is the concentration that completely inhibits platelet aggregation. KR-32570 also decreased the level of collagen $(10{\mu}g/mL)$induced secretion of serotonin from the dense-granule contents of platelets, and inhibited the NHE-1-mediated rabbit platelet swelling induced by intracellular acidif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platelet activity of KR-32570 against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s mediated mainly by inhibiting the release of arachidonic acid, $TXA_2$ synthase, the mobilization of cytosolic $Ca^{2+}$ and NHE-1.

Bovine과 Caprine유(乳)로부터 Glycomacropeptide 분리: 트립신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억제 효과 (Separation of Glycomacropeptide from Bovine and Caprine Milk: Effect of Its Tryptic Hydrolysate on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 김상범;류진수;기광석;이왕식;이현준;양승학;김현섭;최충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25-33
    • /
    • 2009
  •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pm}2.36$, $37.98{\pm}1.27$$31.19{\pm}1.87{\mu}g/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