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mixture

검색결과 889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Mixed Treatment of Nitrogen Fertilizer and Zeolit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Hot Pepper

  • Park, Jun-Hong;Park, Sang-Jo;Kwon, Oh-Heun;Choi, Seong-Yong;Park, So-Deuk;Kim, Jang-E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4-49
    • /
    • 2015
  • Urea has been the most useful N-source, due to lower cost per unit of N. But nitrogen use efficiency of urea may be reduced because of losses from agricultural system by volatilization of ammonia to atmosphe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itrogen efficiency and growth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by mixed treatment with nitrogen and zeolite. They were treated with N $161kg\;ha^{-1}$, N $230kg\;ha^{-1}$, nitrogenzeolite mixture (NZM) $161kg\;ha^{-1}$, NZM $230kg\;ha^{-1}$ and N $0kg\;ha^{-1}$, respectively.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fter experiment, soil pH decreased but available $P_2O_5$, EC and total nitrogen increased in nitrogen-zeolite mixture treatment. $NO_3-N$ content in the soil showed the highest level in NZM $230kg\;ha^{-1}$. NZM $161kg\;ha^{-1}$ treatment increased growth and yield of hot pepper compared to urea alone. Nitrogen utilization efficiency of hot pepper plant was 47.15% at the treatment of NZM $161kg\;ha^{-1}$, while 36.74% at N $230kg\;ha^{-1}$. These results showed that application of mixture of nitrogen and zeolite had positive influenc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nitrogen utilization and increase of red pepper yield.

현장 실험을 통한 단층형 매립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서 석탄회의 효과 검토 (Evaluation on the Effect of Coal-ash as Landfill Cover Material of Mono-Layer Cover System through the Field Scale Test)

  • 윤성욱;강신일;진혜근;김필주;김순오;유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7호
    • /
    • pp.81-91
    • /
    • 2010
  • 기존의 최종복토시스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층형 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서 석탄회(저회)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현장대형토조시험을 수행하였다. 산업부산물의 관련 활용규정에 준하여 석탄회를 일반토사와 혼합하여 현장에서 설치한 대형토조에 채워 넣어 관측기간동안(2007년 7월~2008년 2월) 단층형 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 서 그 활용성를 일반토사만을 채운 처리구 그리고 일반토사에 건설폐기물을 혼합한 처리구와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토사에 석탄회를 적용시킨 처리구가 매립지의 복토재로서 우선시 되는 수분저류능력과 식물의 생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Vegetation Changes and Yields of Tall Fescue-based Mixture Pas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Jeong Sung Jung;Se Young Lee;Mirae Oh;Hyung Soo Park;Bae Hun Lee;Ki Choon Choi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9-205
    • /
    • 2023
  • Pasture formation and management are crucial to avoid yield reduction. This experiment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all fescue-centered mixed-seeding combinations on yield and vegetation changes in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for two years, from September 2020 to October 2022.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in three replication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control (C), tall fescue-based mixture-1 (T-1), and tall fescue-based mixture-2 (T-2). The tall fescue (TF), orchard grass (OG), perennial ryegrass (PRG), Kentucky bluegrass (KBG), and white clover (WC) were used. The emergency rate of grasses (70.0 to 73.3%) did not differ among mixed seeding combinations. Overwintering rates (81.7 to 83.3%)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The plant height of grasses was similar at each harvest date, with the highest height (86.2 cm) recorded in the second harvest of the first year, followed by that (58.4 cm) in the third harvest of the first year; it was least (38.9 cm) in the fourth harvest of the second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y matter yield of grasses among the mixed seeding combination treatments in the first, third, or fourth harvests of the first year (p>0.05). For second-year grasses, dry matter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harvest date among the treatments (p>0.05). Based on mixed seeding ratio, orchard grass showed the highest yield at 70% in the C treatment, followed by tall fescue at 80% and 60% in the T-1 and T-2 treatments, respectively, in the first harvest after s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value between treatments (p>0.05),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harvest (p<0.05). Therefore, it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through mixed seeding combinations centered on tall fescue.

Dose analysis of nearby residents and workers due to the emission accident of gaseous radioactive material at the spent resin mixture treatment facility

  • Jaehoon Byun;Seungbin Yoon;Hee Reyoung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2호
    • /
    • pp.4543-4553
    • /
    • 2023
  • The dose from a possible accident at a microwave-based spent resin mixture treatment facility that was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Wolsong nuclear power plant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safety prior to its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e dose to which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are likely to be expose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tmospheric dispersion and deposition factors using the XOQDOQ code. The highest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were 1.349E-05 s/m3 (workers) and 1.534E-06 s/m3 (residents). The highest doses due to emissions from the mock-up tank before operation were 1.91E-06 mSv (workers) and 1.78E-07 mSv (residents). Even after 3 h of operation, emissions from the mock-up tank had the greatest impact ranging from 4.63E-08 to 1.24E-06 mSv (workers) and 2.74E-10 to 1.16E-07 mSv (residents), respectively. The doses were 7.09E-09-4.55E-07 mSv and 4.18E-11-4.25E-08 mSv at 4-5 h of operation, and the maximum doses after operation reached 5.69E-07 mSv and 5.31E-08 mSv for the workers and residents, respectively. Even at the exclusion area boundary (EAB), 4.76E-08-9.51E-07 mSv (annual dose:9.52E-05–1.90E-03 mSv/y) was below the dose limit of the EAB, and the safety of the facility installation inside the NPP was confirmed.

볍씨 코팅 및 규산복토에 따른 벼 무논점파재배 농가실증시험연구 (Farmer's Field Trial of Different Coating and Covering Materials on Rice Growth and Yield in Wet Hill Seeded Rice)

  • 박광호;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85-92
    • /
    • 2015
  • 농가 포장에서 코팅소재별 벼 생육 및 수량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무처리, 철분코팅, 규산복토, 철분코팅 + 규산복토 처리에서 파종 후 44일, 77일에 경수와 초장을 조사하였으며, 간장, 수장, 이삭수, 벼알수, 등숙비율과 무게 등의 수량 구성요소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43일에 조사된 경수는 철분코팅 36.7개, 규산복토 32.8개, 철분코팅 + 규산복토 30.3개, 무처리 30.2개 순으로 나타났고, 초장은 철분코팅 + 규산복토 38.2cm, 무처리 37.7cm, 철분코팅 37.3cm, 규산복토 36.7cm 순으로 나타났다. 2. 파종 후 75일에 조사된 주간의 1m 이내 경수는 철분코팅 1537개, 규산복토 152개, 무처리 147개, 철분코팅 + 규산복토 141개 순으로 나타났으며, 초장은 규산복토 87.4cm, 철분코팅 + 규산복토 85.7cm, 무처리 85.4cm, 철분코팅 83cm 순으로 나타났다. 3. 벼 성숙기 간장은 규산복토 85.5cm, 철분코팅 + 규산복토 84.3cm, 무처리 83.3cm, 철분코팅 종자 82.5cm 순으로 나타났다. 4. 수장은 철분코팅 + 규산복토 21.0cm, 규산복토 20.8cm, 무처리 20.7cm, 철분코팅 20.6cm 순으로 나타났으며, m2당 이삭수는 철분코팅 32,503개, 무처리 29,646개, 규산복토 31,813개, 철분코팅 + 규산복토 28,896개 순으로 나타났다. 5. 등숙비율은 철분코팅 94.5%, 철분코팅 + 규산복토 93.9%, 규산복토 93.6%, 무처리 93.2% 순으로 나타났다. 6. 단보당 쌀수량은 철분코팅 591kg, 규산복토 580kg, 철분코팅 + 규산복토 571kg, 무처리 539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살균제 처리에 따른 인삼의 지상부 병해 방제효과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with Fungicides against Diseases of Ginseng Plant)

  • 김주형;이선욱;민지영;배영석;신명욱;김선보;김명기;연초롱;임진영;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64-169
    • /
    • 2007
  • 잿빛곰팡이병은 6월 초순부터 작은 수침상의 병반이 잎에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점무늬병은 7월 초순부터 초기의 병반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두 가지의 병 모두 7월말과 8월 초에 강우일수가 많아지면서 병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탄저병 역시 강우가 많아지는 8월 초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까지 발생량이 계속 증가하였다. 인삼의 지상부 병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하여 살균제 처리 체계를 확립하고자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살균제를 정해진 시기에 7회 처리하고 3종의 식물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인삼 살균제 처리 체계는 병진전 곡선면적에 기초하여 계산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 점무늬병, 탄저병에 대해서 61.7, 78.8, 70.5%의 효과를 보였다. 인삼 살균제 처리 체계에서 1차 처리에서 carbendazim/diethofencarb 합제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방제가가 36.7%로, 5차 처리에서 difenoconazole을 처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점무늬병의 방제가가 28.9%로, trifloxystrobin을 6차 처리에서 처리하지 않으면 탄저병에 대한 방제가가 44.4%로 크게 감소하였다.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icrobial Population, Methane Emission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In vitro

  • Kim, E.T.;Kim, C.H.;Min, K.S.;Lee,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06-81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ethanogenesis and rumen microbial diversity in in vitro. Plant extrac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ormwood, Allium sativum for. Pekinense; Garlic, Allium cepa; Onion, Zingiber officinale; Ginger, Citrus unshiu; Mandarin orange, Lonicera japonica; Honeysuckle) were obtained from the Plant Extract Bank a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before morning feeding from a fistulated Holstein cow fed timothy and commercial concentrate (TDN; 73.5%, crude protein; 19%, crude fat; 3%, crude fiber; 12%, crude ash; 10%, Ca; 0.8%, P; 1.2%) in the ratio of 3 to 2. The 30 ml of mixture, comprising McDougall buffer and rumen liquor in the ratio of 4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serum bottles containing 0.3 g of timothy substrate and plant extracts (1% of total volume, respectively) filled with $O_2$-free $N_2$ gas and capped with a rubber stopper. The serum bottles were held in a shaking incubator at $39^{\circ}C$ for 24 h. Total gas production in all plant extracts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otal gas production of ginger extract was highest (p<0.05). The methane emission was highest (p<0.05) at control, but lowest (p<0.05) at garlic extract which was reduced to about 20% of methane emission (40.2 vs 32.5 ml/g DM). Other plant extracts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methane emissions (wormwood; 8%, onion; 16%, ginger; 16.7%, mandarin orange; 12%, honeysuckle; 12.2%). Total VFAs concentration and pH were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Acetate to propionate ratios from garlic and ginger extracts addition samples were lower (p<0.05, 3.36 and 3.38 vs 3.53) than that of the control. Real-time PCR indicted that the ciliate-associated methanogen population in all added plant extracts de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while the fibrolytic bacteria population increased. In particular, the F. succinogens community in added wormwood, garlic, mandarin orange and honeysuckle extract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others. The addition of onion extract increased R. albus diversity, while other extracts did not influence the R. albus community. The R. flavefaciens population in added wormwood and garlic extracts decreased, while other extracts increased its abundance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ant extracts used in the experiment could be promising feed additives to decrease methane gas emission from ruminant animals while improving ruminal fermentation.

생물학적 살선충제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선중;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2-168
    • /
    • 2012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군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C-9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을 대상으로 포트실험을 통해 선충치사 효과의 지표인 난낭수 감소를 검토한 결과, 균밀도가 $7.0{\times}10^3cfu\;g^{-1}$인 A. thaumasia Nema-1 곰팡이 제제 $5,000mg\;kg^{-1}$을 처리 시 뿌리혹 선충의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35% 감소하였다. 포식성 곰팡이 Nema-1 제제와 균밀도가 $8.5{\times}10^5cfu\;g^{-1}$인 B. subtilis C-9 세균 제제 각각 $5,000mg\;kg^{-1}$ 혼합 처리구에서는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67% 감소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 된 계피추출물 제제 $10mg\;kg^{-1}$$5,000mg\;kg^-$의 Nema-1과 C-9 제제와 혼합하여 처리 하였을 때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84%이상 감소하였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24mg\;kg^{-1}$은 난낭수가 26% 감소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가을철에 숙기가 다른 연맥과 유채 품종의 혼파가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of Different Maturity Groups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Oat and Rape in the Fall)

  • 이성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5-360
    • /
    • 1998
  • 본 연구는 가을철에 숙기가 다른 연맥과 유채품종의 혼파가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1998년 우석대학교 초지시험포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맥은 Foothill 조합군이 Swan 군보다 초장이 약간 길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유채의 초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Foothill 조합은 Ember나 Akela가, Swan 조합은 Ramon이 길었다. 2. 연맥에서 Swan의 건물수량이 Foothill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채는 Foothill과 Swan과 조합한 처리구에서 모두 Akela의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조단백질 함량과 조단백질 생산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Swan 조합보다 높았으며, 연맥 Foothill과 Swan 조합과는 모두 유채 Akela 조합이 Ramon이나 Ember 조합보다 높았다. 4 연맥 Swan의 ADF와 NDF 함량은 Foothill 보다 약간 높았으며, 유채는 Foothill에서는 ADF는 Ramon과 NDF는 Akela와 조합이, Swan은 Ember와의 조합이 높아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5. IVDMD 함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84.5%로 Swan 조합보다 약간 높았으며, 연맥 Foothill과는 유채 Ember가, 연맥 Swan과는 유채 Akela 조합이 높았다. 또한 가소화 건물생산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ha당 3,578kg로 Swan 조합보다 약간 높았으며, 또한 Foothill과 Swan 조합에 서 각각 유채 Akela 조합이 약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가을철 단경기에 연맥은 Foothill과 유채는 Akela를 같이 혼파하여 재배 이용하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사료가치도 약간 높으며 건물수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생물학적 선충 방제제를 이용한 고구마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의 방제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진광;최원호;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5
    • /
    • 2011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시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Pseudomonas putida C-5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의 선충치사 효과를 검토한 결과, A. thaumasia Nema-1 곰팡이 배양액 $5,000mL\;L^{-1}$을 처리 시 방제효과는 72시간 후에 55%이었으나, 포식성 곰팡이 Nema-1과 P. putida C-5 세균 배양액 각각 $5,000mL\;L^{-1}$ 혼합 처리구에서는 65%로 상승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계피추출물 $50mg\;L^{-1}$$5,000mL\;L^{-1}$의 Nema-1과 C-5 배양액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72시간 경과 후의 치사율은 89%로 상승되었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50mg\;L^{-1}$의 방제가 17%와 님오일 $2,000mL\;L^{-1}$의 방제가 57%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