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ned impulse buy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의류 소비자의 충동구매와 마케팅 자극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ulse Buying and Marketing Stimulus Factors of Clothing Consumer)

  • 강경자;정수진
    • 복식
    • /
    • 제36권
    • /
    • pp.25-4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four impulse buying dimensions and planned buying, marketing stimulus factors in store, buying im-pulse and impulse buying of female consumer. The femal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e., college students, housewives and workingwomen. 408 women living in Kyung Nam were selected as respondents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verall impulses were stronger for college students and workingwomen than house-wives. The impulse buying dimensio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tus of women. 2. Buying impulse and impulse buying of clothing were more likely to be for college students and working women than housewives. 3. The display in the store gave the information to the three groups equally. These infor-mations helped to make the impulse buying. 4. The marketing stimulus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tus of respondents. Sensitive and aesthetic factors were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and workingwomen, and the utility of clothing were important for house-wives. The color of clothing, the discount of regular price and the low price had the same meanings to the three groups. 5. Impulse buying dimensions were effected by the marketing stimulus factors. 6. The fashionable products, the use of credit card, famous brand, gracious display of clothing and the kind services of salesman were the common factors that stimulate the consumer to buy the clothings. But the color and design of products had more effect on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discount of regular price and the utility of clothing were more important for the workingwomen. The color and the utility of clothing were stimulus factors for the housewives.

  • PDF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충동구매행동과 신용카드사용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Impulse Buying Behavior and Credit Card U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 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71-1582
    • /
    • 2004
  • 현대 소비자들의 충동구매행동은 보편적이고도 뚜렷한 현상으로 소비자행동 연구가들에 의해 계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더욱이 신용카드와 같은 마케팅 혁신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현금의 필요성을 없애주고 거래를 간편하게 해 줌으로써 전보다 더 쉽게 충동적인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자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충동구매행동과 신용카드사용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N=154)과 미국(N=194) 대학생 중 신용카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CFA), 다변량 분석(MANOVA), 다판별분석(MDA),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대학생과 미국대학생들은 충동구매행동 중 계획된 충동구매(Planned impulse buying), 상기된 충동구매(Reminded impulse buying), 순수충동구매(Pure impulse buying)에서 유사한 행동을 보였으나, 패션 지향적인 충동구매행동(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은 미국대학생이 한국대학생보다 더 많이 하였다. 신용카드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는 미국의 대학생들이 한국대학생보다 카드 빛 관련(Debt), 크레딧(Credit) 관련, 소비(Spending)를 위한 신용카드사용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충동구매행동과 신용 카드사용의 관계에서 한국대학생의 경우 쇼핑 등 소비를 위한 신용카드사용 경향이 많은 사람일수록 상기된 충동구매, 패션지향적인 충동구매, 순수충동구매행동을 많이 하였다. 미국대학생들의 경우 크레딧에 신경을 쓰고 소비를 위해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일수록 구매의도만 가지고 점포를 둘러보다가 충동적으로 구매결정을 하고 구매의도가 없었어도 제품을 보는 순간 필요에 의해 충동적으로 구매를 하기도 하였으며, 신용카드를 소비에만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패션지향적이거나 순수한 충동에 의한 구매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국가간 비교연구로 대학생들의 충동구매행동과 신용카드사용에서 국가간 유사성과 차이가 있음을 밝혀줌으로써 국내외 마케터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상품 범주별 온라인 구매도 -인터넷 동기와 온라인 구매성향 기능- (Online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Categories -The Functions of Internet Motivations and Online Buying Tendencies-)

  • 김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90-901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동기, 온라인 구매성향과 제품구매의도 사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온라인 상품 범주화의 기초 개념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미국 남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총 21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경로모델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인터넷 동기는 기분전환, 경제적, 정보적, 사회적 동기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온라인 제품은 구매의도에 따라 감각상품, 인지상품과 탐색상품의 3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경로모델의 추정결과, 인터넷 사용의 기분전환과 경제적 동기요인이 충동구매성향에 영향을 주는 반면, 경제적, 정보적, 사회적 동기요인은 계획구매성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구매의도에 있어서, 감각상품은 충동구매성향과 더 높은 관계를 나타낸 반면, 인지상품과 탐색상품은 계획구매성향과 더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인지상품은 경제적 동기에 근거한 계획구매성향에 의해 더 강한 효과를 보였으며, 탐색상품은 정보적 동기에 의한 계획구매성향에 의해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상품 범주에 따른 이론적 정립과적절한I-마케팅 전략의 관리적 측면이 논의되었다.

패션전문점(專門店)에 대한 소비자(消費者)의 애고동기(愛顧動機)와 구매행동(購買行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 패션전문점(專門店) 신용(信用)카드를 소유(所有)한 20대 여성(女性)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ustomer Patronage Motives of Females Aged 20 to 29 for Fashion Specialty Stores and Purchasing Behavior - Focusing on Fashion Specialty Store Charge Card Owners -)

  • 이상은;정성지
    • 패션비즈니스
    • /
    • 제1권3호
    • /
    • pp.71-81
    • /
    • 199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customer patronage motives of female aged 20 to 29 for fashion specialty stores and purchasing behavior and make comparison of patronage motives and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patronage groups as determined by level of patronizing fashion specialty stores. The subjects were females aged 20 to 29, owned at least one fashion speciality store charge card, and resided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distributed to 450 females. A sample of 409 femal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requency count and percentage, facto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 middle, low patronag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tronizing fashion specialty stores. In patronage motives, the high patronage group rated store attributes, service and merchandise assortment important. The middle patronage group considered merchandise assortment and convenience of shopping and payment important. The low patronage group regarded service important. In buying behavior, the high patronage group showed a strong orientation of planned purchase and impulse buying by merchandise. The middle patronage group had significantly a strong orientation of impulse buying by sales promotion. The low patronage group showed a strong orientation of planned purchase.

  • PDF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ption Propensity and Determinants of Purchasing According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Baby Boomers and Millennials: Application to Franchise Customers

  • Roh, Hyun-Sik;Lee, Sung-Ho;Kim, Sung-Hoon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1호
    • /
    • pp.31-44
    • /
    • 2020
  • Purpose: The baby boomers and the millennials, who make up the largest share of the market, are showing the gap in their differentiated cultural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onsumption propensity and purchasing determinants of the baby boomers generation and the millennials generation, which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key pillar in shaping the market based on the cultural dimension model theory of h(=>H)opstead,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baby boomers and the millennials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he pre-test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to 12, 2019,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to 25. A total of 230 copies were recalled, and the final 21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consumption propensity between the baby boomers and the millennials differed in resource saving purchase propensity and impulse buying propensity. The baby boomers showed higher resource saving purchase propensity than the millennials, while the millennials showed higher impulse buying propensit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s to purchasing only in the evaluation factor. Results of gender differences by generation, baby boomers differed in their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nd women were higher. The millennials generation differed in resource saving purchase propensity and awareness propensity for others, all higher in men. In determinants to purchasing, the baby boomers did not differ in gender, and the millennials did differ in product factors. A canonical correlation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by boomers and the millennial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propensity and determinants to purchasing. Also,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s the biggest link between impulse buying propensity and evaluation factor. The millennials generation showed the biggest link between resource saving purchase and product factors. Conclusions: This study compared consumption propensity and determinants to purchasing of baby boomers and millennials on the basis of Hopstead's cultural dimension model theory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present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orrect understanding and specific marketing strategy among generation.

대형 할인 마트의 인쇄 쿠폰 발행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nted-Saving Coupon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 Behavior in Major Discount Store)

  • 이광숙;곽보선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1-33
    • /
    • 2012
  •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printed-saving coupons distributed by major discount store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Those consumers having used printed-saving coupon in major discount store in Daejeon were selected as respondents. 121 copies were retreated from 150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or respondents' characteristics,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of analysis, and $X^2$ test of multi-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hypothesis were utili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1) the way of using coupon is respective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ge group, marital status, term of coupon, and the number of using coupon; 2) Attributes of coupon partially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s. Only shopping cost cutting is insignificant, while keeping convenience, impulse buying, scheduled purchasing are significant. The most effective variable is scheduled purchasing, keeping convenience, and impulse buying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sion of consumers. Therefore, offering printed-coupon by major discount store is useful tool to induce consumers to planned purchasing.

유통점포별 충동구매의 결정요인에 대한 경험적 접근 (An Experiential Approach to the Determinants of Impulse Buying Based on Store Type)

  • 윤성준;이동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3호
    • /
    • pp.1-25
    • /
    • 2008
  • 본 연구는 Schmitt (1999)가 제시한 전략적 경험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사전 쇼핑 경험, 점포 내에서의 선호경험, 그리고 점포분위기에 대한 반응으로 구성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시간적인 관점에서 백화점, 대형마트, 인터넷점포의 3개 점포를 대상으로 점포별 쇼핑의 사전경험의 정도와 이에 따른 선호 쇼핑경험에 대한 관계, 그리고 선호 쇼핑경험과 충동구매행위와의 관계를 검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쇼핑경험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명, 실내색상, 실내장식, 제품진열과 같은 점포내 분위기에 대한 감성적 반응과 충동구매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경험적 차원에서 선호경험과 충동구매간의 조절역할에 대해서 조사한다. 세부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마트에서는 사전쇼핑경험수준에 따라 인지적 쇼핑경험이 감성적 경험보다 더 선호되었으나, 백화점의 경우에는 사전 경험이 많을수록 감성적 경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고객이 선호하는 쇼핑경험과 충동구매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정결과 감성적 쇼핑경험은 충동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반면 인지적 쇼핑경험은 충동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감정반응이 감성적 (인지적) 쇼핑경험과 충동구매간 관계를 조절한다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는데 백화점에서는 제품진열이 감성적 경험과 충동구매와는 부(-)의 조절역할을 보였으며, 실내장식은 인지적 경험과 충동구매 간에 부(-)의 조절역할을 하였다. 대형마트에서는 실내색상이 감성적 경험과의 부(-)의 조절역할을 하였고, 제품진열은 정(+)의 조절 역할을 하였다.

  • PDF

여대생의 소비성향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purchase motive of cosme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임새미;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67-28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소비성향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화장품 업체 및 연구 교육기관에게 마케팅 분야 발전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6개월 이내에 화장품을 구매한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설문조사로 총 506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으로 사용하였다. 소비성향은 평소 메이크업 정도, 평균 화장품 구매 횟수, 화장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 주로 화장품을 구매하는 장소에 따라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동기는 피부 최대 고민, 평소 메이크업 정도, 평균 화장품 구매 횟수, 화장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 주로 화장품을 구매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구매동기 특징을 볼 수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소비성향의 하위요인별 자원절약 성향, 계획구매 성향, 타인의식 성향, 충동구매 성향은 화장품 구매동기의 제품변환 동기, 경제적 동기, 타인지향동기, 탐미추구 동기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소비방향과 구매행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참조하여 고객심리를 이용한 제품 및 마케팅전략의 향후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화장품 업체 및 연구기관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