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ktonic copepod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시화호에서 하계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 홍현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65-271
    • /
    • 2014
  •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섬모충류의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 실험을 병행하였다. 희석실험에서 섬모충류는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104%를 하루에 소비하였으나, 요각류 Acartia sinjiensis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섬모충류의 초식압은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초식자인 $>20{\mu}m$ 빈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형동물플랑크톤에 의해 섬모충류의 개체수가 강하게 지배되는 시기에는 섬모충류의 실제 초식압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화호에서 요각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춘계와 하계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되며,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질산염 첨가에 따른 중형폐쇄생태계 내 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The Effect of Enhanced Nitrate Input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Plankton Community in a Mesocosm)

  • 강정훈;김웅서;신경순;장만;황근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341-349
    • /
    • 2005
  • Temporal variation of the natural planktonic commun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as investigated by using low floating enclosed bags (3.2m deep and 2,500 li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nriched nitrate on the planktonic community in the spring (March-April) of 2002. Prior to beginning the incubation, the bags were placed in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itrate, which consisted of control (ambient water) and experimental mesocosms (final concentration of $12{\mu}M$). The nitrate concentration in the experimental mesocosms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mesocosm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ANOYA, p<0.001). Following the addition of nitrate, abundance and chi-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peaked on Day 1, when diatoms established the peak in the experimental mesocosms. Diatoms consisted mainly of Thalasxiosira decipiens, Pseudo-nitzschia pungem, Leptocylindrus danicu, Thalassionema nitzschioides, Chaetoceros pseudocrinitus and Actinoptychus senariu. However, the peak did not lead to the difference in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mesocosm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inoflagellates began to increase soon after the diatoms decreased in all mesocosms. Copepods, as a dominant group in the rnosozooplankton community, showed no immediate peak in relation to the nitrate addition, but only their own developmental process from the eggs to adult stag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bottom-up control from enriched nitrate via phytoplankton to adult copepods was not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 abundance of the planktonic community. This might stem from the relatively low nitrate availability of phytoplankton at no N-limited seawater and the weak coupling between rapidly sunken diatoms and copepods through the water column.

우포늪의 미소갑각류 군집 동태: 강우량 및 이화학적 요인이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에 미치는 영향 (Microcrustacean Community Dynamics in Upo Wetlands: Impact of Rainfall and Physiochemical Factor on Microcrustacean Community)

  • 최종윤;김성기;나긍환;정광석;김현우;김태규;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40-346
    • /
    • 2012
  • 미소갑각류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우포늪에서 2001년부터 2010년 동안 2주 간격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시간 동안, 총 10속의 지각류가 동정되었으며, 서식 형태에 따라 구분된 부착성 지각류(Alona, Camptocercus, Simocephalus, Diaphanosoma, Sida)와 부유성 지각류(Bosmina, Ceriodaphnia, Daphnia, Moina, Scapholeberis)의 연 출현이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성 지각류는 봄과 가을 시기에 높은 밀도로 나타났으며, 부착성 지각류는 여름 시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요각류 성체와 유생 또한 부착성 지각류와 유사한 계절적 분포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유성 지각류는 강우량과 이화학적 요인과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이화학적 요인 중 수온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n=120, p<0.01). 특히 부착성 지각류 중 Chydoridae는 강우량 및 수온과 양의 상관관계를(n=120, p<0.01), 용존산소와 전기전도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n=120, p<0.05). 요각류 군집은 강우량(n=120, p<0.01) 및 수온(n=120, p<0.05)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우포에서 강우량은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일만 쇄파대에 나타나는 부유성 요각류의 주야 수평이동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Surf Zone of Yongil Bay, Korea)

  • 서해립;유옥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7-536
    • /
    • 1996
  • 동물플랑크톤이 쇄파대에서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가를 연구하면서, 부유성 요각류 일곱 종의 주야 수평이동 양상을 조사하여 비교했다.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서 수심 1m 되는 곳의 표층과 저층과 해변가 세 곳을 썰매형 네트로 채집했다(총시료수=108개). 쇄파대 요각류 집단은 일곱 종 (Acartia hudsonica, Fseudodiaptomus marinu, Paracalanus indicus, Calanus sinicus, Oithena similis, Sinocalanus tenellus, Labidocera bipinnata)이 우점했다. 쇄파대 요각류의 주${\cdot}$야간 생물량 차는 약 세 배였다. 표층에서 채집한 전체 요각류와 우점하는 일곱 종의 생물량은 주간보다 야간에 모두 유의하게 많았다. 하지만, 저층에서 주${\cdot}$야간 생물량의 차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쇄파대 요각류의 약 $90\%$가 주야 수평이동하는 것을 밝혔다. 조금때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불었지만, 표층에서 야간에 요각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가 해류에 따라 수동적으로 운반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여 헤엄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요각류는 상대 조도의 변화에 따라 광반응 행동을 하고, 그래서 야간에 쇄파대에 모였다가 주간에 흩어지게 하는 주야 수평이동이 나타난 것 같다. 주야 수평이동은 요각류가 시각 포식자와 마주칠 기회를 줄일 것이다. A. hudsonica가 개체발생 단계별로 이동시각을 달리한 것은 발생단계에 따라 광반응 행동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먹이를 둘러싼 종내 경쟁을 줄일 것 같다. 요각류 이동 자료에서 A. hudsonica, P. indicus, O. similis, S. tenellus 네종은 한 시간 이상 유영속도를 $20m\;h^{-1}$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쇄파대에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바로 알려면, 주야 생물량이 매우 다르므로 주간과 야간 채집을 함께 해야 한다.

  • PDF

반폐쇄적 여자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에 따른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emi-enclosed Yeoja Bay, Korea)

  • 문성용;김희용;이미희;정진호;유세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4-65
    • /
    • 2023
  •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semi-closed Yeoja Bay, Korea from February, April to August, and November 2021. Out of a total 49 species of zooplankton were collected with a predominant of neritic copepods (mainly Paracalanus orientalis, Acartia omorii, Acartia ohtsukai, Centropages abdominalis, Ditrichocorycaeus affinis, and Oithona sp.), accounting for 58.9% of the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The diversity indices indicated a relatively highest in July, suggesting that diversity is influenced by seasonal temperature, N. scintillans, and neritic copepods species. A cluster analysis with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four groups of zooplankton communities. The February sample clustered into Group A, having the lowest mean total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consisting mainly of N. scintillans located the whole region. Cluster Group B from the spring season (April to May) and contained the species diversity with some neritic copepods. Cluster Group C from the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mainly comprised P. orientalis, A. ohtsukai, Oithona sp., and hydromedusae. Cluster Group D from the autumn season (November) mainly comprised P. orientalis, Temora discaudata. Redundancy analysis indicated that abundanc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salinity, and pico chlorophyll-a concentr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lanktonic larvae (such as branchyura larvae) and some copepods (including A. omorii, A. ohtsukai, C. sinicus, and C. abdominalis) were significantly vulnerable to zooplankton community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ico chlorophyll-a concentrations.

해양 부유성 요각류인 Calanus sinicus와 Acartia clausi(A. omorii)의 포식 행동 (The feeding behavior of the marine planktonic copepod, Calanus sinicus and Acartia clausi(A. omorii))

  • 신경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8
    • /
    • 1992
  • 요각들은 Calanus sinicus와 Acartia clausi(A. omorii)의 먹이섭취 양상을 파악 하기 위하여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변화와 시간경과에 따른 먹이섭취율 및 여과율의 변 화를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두종의 요각류들의 여과율은 먹이농도가 증가에 따라서 감소했으며, 평균 여과율은 C. sinicus가 2.42 ml/copepod/hr,이고, A. clausi가 3.37 ml/copepod/hr. 이였다. 먹이섭취율은 먹이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변동은 있지만 수 평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에 따른 요각류들의 여과율은 주기성 을 보이지 않고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 clausi 는 어떤 시간의 경과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신물플랑크톤의 농도변화에 따른 요각류의 먹 이섭취율과 여과율의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측정된 값들은 다소 차이를 보였 다. 그리고 시간경과에 따른 조사에서 두종의 요각류들은 불연속적인 포식활동을 전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한해협 부유성 요각류의 계절별 수직분포 (Season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Korea Strait)

  • 이창래;이평강;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5-533
    • /
    • 1999
  • 사계절 수층별 채집에서 요각류는 총 40속 96개 분류군이 동정되었다. 가을철에 가장 많은 종류가 대마난류를 통해 동해로 유입되고 있었다. 정점별로는 모든 계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NOVA, p>0.05) 각 계절의 수심별 비교에서는 여름철과 겨울철에 중 저층에서 다소 많은 분류군이 동정되었다. 요각류의 총 개체수는 종수와는 달리 봄철에 가장 많은 163.8 개체/$m^3$가 분포하였다. 가장 풍부했던 봄철에는 저층 부근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저층보다는 표충에서 가장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집괴분석을 통하여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한 결과, 대한해협에 출현하는 요각류는 공동출현과 배타적 출현 의 두 그룹이 분명하였다. 각 그룹은 계절변화에 따라 수층별 분포양상이 달랐다. 동해 냉수가 대한해협 저층에 유입되는 계절에 대하여 물리적 자료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결과가 있는데 [여름(Cho and Kim, 1998)과 겨울철 (Lee et al., 1998)], 요각류 분포 자료를 바탕으로한 이 연구에서는 여름철에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나 남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변화를 보이는 수온 구조이지만 여전히 수온이 부유성 요각류의 분포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서식처의 공동 혹은 배타적 이용과 같은 생물학적 상호관계 역시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Role of Heterotrophic Protists in the Planktonic Community of Kyeonggi Bay, Korea

  • Lee, Won-Je;Choi, J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1호
    • /
    • pp.46-55
    • /
    • 200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heterotrophic protists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on, abiotic and biotic factors were measured from January 1992 to February 1993. Microbial carbon biomass (mean212.9$^{\pm}$119.1 $^{\mu}$gC/1) was composed of 4.2% bacteria, 0.3% cyanobacteria, 12.l% autotrophic nanoflagellates, 6.6%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5.8 heterotrophic ciliates and 71.0% diatom and Mesodinium spp. The carbon biomass of heterotrophic protists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and ciliates) was highest in October 1992 (mean 37.8$^{\pm}$22.5 $^{\mu}$gC/1), and was low in August 1992 (mean 21.2$^{\pm}$10.8 $^{\mu}$gC/1) and in February 1993 (mean 19.5$^{\pm}$6.4 $^{\mu}$gC/1). However, the contribution of heterotrophic protists to total microbial carbon biomass was higher in January 1992 and February 1993 (about 21%) when the phytoplankton was dominated by nanoplankton than in August and October (about 9%) when large diatoms occurred in large numb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Kyeonggi Bay heterotrophic protists might play a more important role as prey for zooplankton and as consumers of bacteria & small phytoplankton in less productive seasons (especially winter) than in productive seasons (autumn), and that the classic trophic pathway from diatoms through copepods to fish might be dominant nearly every season.

  • PDF

메소코즘을 이용한 지각류, 요각류 및 패충류의 섭식 성향 분석;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의 믹싱모델 (R package SIAR)을 이용한 정량 분석 (Feeding Behavior of Crustaceans (Cladocera, Copepoda and Ostracoda): Food Selection Measured by Stable Isotope Analysis Using R Package SIAR in Mesocosm Experiment)

  • 장광현;서동일;고순미;;남귀숙;최종윤;김민섭;정광석;나긍환;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279-288
    • /
    • 2016
  •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먹이망 구조 해석 기법은 수생태계 연구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먹이원의 정량적 기여율을 분석하는 믹싱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델을 이용한 믹싱모델의 적용이 가능한 통계 패키지(R, SIAR package)의 사용방법을 제시하고, 사용 예로 저수지 및 메소코즘 배양조에서의 동물플랑크톤과 먹이원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섭식 성향 분석 방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저수지 및 대형하천 등에서 주로 우점하는 Daphnia galeata는 소형의 POM (<$50{\mu}m$)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영양화된 환경에서 녹조 발생시 먹이로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생태계 등에서 빈번히 출현하는 패충류의 경우 D. galeata와 유사한 섭식 성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습지 등에서 주로 출현하는 Simocephalus vetulus의 경우, 부착성 POM이 아닌 부유성 POM을 주로 섭식하며 Microcystis를 포함하는 대형의 POM (>$50{\mu}m$)을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연안에 출현하는 부유성 요각류의 종다양성과 주요 종의 분포특성 (Species Diversity of Planktonic Copepod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ts Major Specie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서민호;최서열;박은옥;정달상;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25-537
    • /
    • 2018
  • 각기 다른 해양 환경 특성을 보이는 서해, 남해, 동해, 제주연안역을 대상으로 춘계(5월)와 하계(8월)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의 군집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봄과 여름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는 총 73종이었으며, 이 중 연안종이 28종이었다. 봄(49종)에 비해 여름(58종)에 출현 종이 다양하였다. 요각류 출현 개체수는 봄과 여름 Chl-a 농도가 낮게 나타난 동해연안해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봄에 Chl-a 농도가 높게 나타난 서해연안해역에서 출현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름에 제주연안해역에서 Chl-a 농도가 $0.6{\mu}g\;L^{-1}$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봄에 한국 연안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는 Acartia hongi, A. ohtsukai, Paracalanus parvus s. l., Oithona similis 이었다. 여름에는 이들 종 이외에 A. omorii, A. pacifica, A. steueri,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Corycaeus sp., Pseudodaiptomus marinus, Tortanus forcipatus이었다. Paracalanus parvus s. l.은 봄에 조사 해역에서 최우점종 또는 차우점종으로 생태적 지위를 달리하였으나, 여름에는 전조사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요각류 군집특성은 수온, 염분, Chl-a 농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서해, 남해, 동해, 제주 4구역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