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it sand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산사.해사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Pit Sand and Sea Sand as the Fine Aggregate in Concrete)

  • 윤상대;신의근;배수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45
    • /
    • 1993
  • Due to the recent shortage of river sand resulting from a rapid growth of concrete construction, sea sand and pit sand are increasingly used in stead. It is , however, well noted that non-washed sea sand used in reinforced concrete causes to corrode reinforcing steel and to incur cracks in concrete, and thus eventually result in damage to concrete. Moreover, many sources of pit sand in our country are randomly used without experimental research for its applicability to concrete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activate the usage of pit sand and sea sand for concrete construction to solve the recent shortage of river sand. Followings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 1)Physical properties of pit sand and sea sand, 2)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n the weight of pit sand passing through No.200 sieve, 3)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n the chloride content of sea sand, 4) Compressive strengths of concrete using pit sand and sea sand, respectively, 5)Corrosion propagatio in reinforcing steel on the chloride concent, of sea sand, and 6)etc.

  • PDF

준설하천의 웅덩이 적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es of Minning Pit in the Dredged Channels)

  • 장창래;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7호
    • /
    • pp.657-6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도준설 및 골재채취에 의한 교란하천의 적응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이동상 실내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하상경사 및 골재채취를 위한 준설 규모의 변화에 따른 하도의 응답 특성을 분석하였다. 웅덩이의 되메우기가 진행 중일 때에는 웅덩이의 이동속도는 일정하지만, 되메우기가 완료된 후에는 웅덩이(pit)의 이동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웅덩이가 되메워지는 동안에 웅덩이의 수중 안식각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하상경사가 급할 경우에, 웅덩이가 되메워지는 시간과 이동속도가 증가하였다. 골재채취에 의한 하천준설의 규모가 증가하게 되면, 웅덩이의 되메워지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웅덩이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적응시간이 증가하였다. 무차원 마찰속도가 증가하면 무차원 웅덩이 깊이는 감소하고 무차원 웅덩이 이동속도가 증가하였다. 웅덩이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무차원 웅덩이 깊이가 감소하였다. 무차원 사주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웅덩이의 이동속도가 증가하였다. 상류에서 발달한 사주의 이동이 편향되면, 흐름이 집중되는 사주의 선단부의 위치에 따라 웅덩이의 형상이 변형되어 하류로 이동하였다.

산사 및 해사를 사용한 모르터, 콘크리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ortar and Concrete Using Pit Sand and Sea Sand)

  • 윤상대;배수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07-115
    • /
    • 1993
  • 최근 건설공사의 급증으로 인한 하천골재의 고갈로 콘크리트용 대체골재로서 해사\ulcorner선사 등이 대구되고 있다. 그러나 해사는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중의 철근부식 촉진에 따른 콘크리트의 균열발생 등 조기 노후화현상으로 내구성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고, 산사는 국내 연구실적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지역적으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어 이들에 관한 제반 공학적 특성 및 활영방안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사\ulcorner해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 및 해사의 염분함량과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에 따른 철근부식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수치모의를 이용한 준설하천의 웅덩이 적응에 관한 연구 (Numerical Modelling of the Adjustment Processes of Minning Pit in the Dredged Channels)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0호
    • /
    • pp.921-932
    • /
    • 2010
  • 본 연구는 하천의 골재채취 혹은 하천준설로 인하여 교란된 하천의 적응과정을 하도의 평면변화에 적합하도록 일반좌표계 상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흐름의 운동량 방정식에서 이류항은 CIP (Cubic Interpolated Pseudoparticle)법을 적용하였으며, 확산항은 중앙차분법을 적용하였다. 하천준설 혹은 골재채취에 의해 형성된 웅덩이는 초기에 웅덩이 상류 지점에서 급격한 두부침식이 발생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웅덩이는 상류에서 공급되는 유사에 의하여 되메워지고, 일정한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거의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였다. 웅덩이 하류에서는 하상저하가 지속되고 있다. 수치모의 결과는 이러한 과정을 잘 모의하였다. 하상경사가 급할 경우에, 웅덩이의 변화에 대하여 되메워지는 시간이 짧고, 웅덩이의 이동속도가 빠른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치모의 결과는 실내실험 결과에 잘 일치하였다.

준설하천에서 직렬로 배열된 웅덩이의 적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es of a Series of Mining Pits in the Dredged Channels)

  • 장창래;이기하
    • 생태와환경
    • /
    • 제44권4호
    • /
    • pp.385-395
    • /
    • 2011
  • 본 연구는 하천준설 및 골재채취로 인하여 2개의 웅덩이가 직렬로 발생하였을 때, 이동상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웅덩이의 적응과정과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웅덩이의 되메우기 과정은 웅덩이 상류에서 발달한 사주의 영향을 받지만, 웅덩이 하류에서는 웅덩이에서 유사가 포착되어 사주가 발달되지 않았으며, 하상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었다. 웅덩이의 되메우기가 진행될 때, 웅덩이의 이동속도는 거의 일정하며, 웅덩이의 수중 안식각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웅덩이의 되메우기가 거의 완료되면서, 웅덩이의 이동속도는 증가하고, 웅덩이에서 수중 안식각은 작아졌다. 웅덩이와 웅덩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면, 2차 웅덩이 하류에서 미부침식이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웅덩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웅덩이의 이동속도는 감소하였다. 이것은 웅덩이가 되메워지는 데 시간이 증가하고, 웅덩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 웅덩이의 깊이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웅덩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웅덩이 깊이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무차원 웅덩이의 길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감소하지만, 웅덩이와 웅덩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웅덩이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잔골재 특성에 따른 콘크리트 건조수축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ling for Prediction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ccording to Properties of Aggregate)

  • 박도경;양극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3-77
    • /
    • 2006
  • Drying Shrinkage has much complexity as it has relations with both internal elements of concrete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experiments on Concrete Drying Shrinkage are carried out in this study under simplified circumstances applying temperature & Humidity test chamber which enable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fy. Comparative analyses have been mad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sequences aiming at modelling for prediction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nd making out measures to reduce it. As a result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was measured to increase by average $10{\times}10^{-5}$ in proportion to additional 4% increase in fine aggregate ratio, when water/cement ratio constant.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in pit sand concrete increased 20% higher than measured when in river sand under the condition of 90-day material age. 6.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in sea sand concrete increased $10%{\sim}15%$ higher than measured when in river sand. The results of prediction of Rate of Drying Shrinkage by Response Surface Analysis are as fellow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Drying Shrinkage in concrete was over 90%.

경기만 조류성 사퇴위에 설치한 원등물체 주변 침식 및 퇴적현상 (Scour development around an artificial cylinder on tidal sand ridg in gyeonggi bay, Korea)

  • ;최진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20
    • /
    • 1992
  • 강조류하의 인공 구조물 주변 해저 침식 및 재퇴적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1987년 8월 24일 부터 9월 26일 까지 경기만에 발달한 조류성 사퇴위에서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공구조물(원통 물체) 주변에 발달한 침식 구조는 전체적으로는 타원형으로 접시모양을 하고 있으며, 후류 및 이차류에 의한 복합 침식작용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연속적인 침식구조 크기 측정자료를 이용 산술적으로 침식율$(1.5-20m_3/day)$및 재퇴적율(0.13-0.18gr/cm/sec)를 추정하였다.

  • PDF

경기만 남부에 발달된 해저지형의 형태적 특징 및 해사채취에 의한 변화 (Morphological Features of Bedforms and their Changes due to Marine Sand Mining in Southern Gyeonggi Bay)

  • 금병철;신동혁;정섬규;장석;장남도;오재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37-350
    • /
    • 2010
  • This study conducted sedimentological and geophysical surveys for 3 years (2006-2008) in southern Gyeonggi Bay, Korea to elucidate temporal changes in subaqueous dune morphology on a sand ridge trending northeast to southwest that has been excavated by marine sand mining. The sand ridge (~20 m in height, ~2 km in width and 3~4 km in length) has a steep slope on the NW side and a gentle slope on the SE side, creating an asymmetric profile. Large (10~100 m in length) and very large (>100 m in length) dunes occurring on the SE side of the ridge show a northeastward asymmetrical shape, whereas dunes on the NW side destroyed by marine sand mining display a southwestward asymmetry. The comparison between Flemming (1988)'s correlation and the height-length correlation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idal current and availability of sand sediment are major controlling factors to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dunes. Depth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grain size) are not likely to be major controlling factors, but indirectly influence dune growth by hydrological and sedimentary processes. The length and the height of dunes decrease toward the southeastern trough away from the crest of the ridge. These features result from the decrease of tidal current and sediment availability. The length and the height of dunes on the southeast side decrease gradually over time. This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idal current and the decrease in sediment availability due to sediment extraction by marine sand mining. Marine sand mining has destroyed the dunes directly, causing irregular shapes of shorter length and lower height. The coarse fraction of suspended sediments is transported and deposited very close to the sand pit. By contrast, relatively fine sediments are transported by the tidal current and deposited over a wide range by the settling-lag effect, resulting in a decrease of sediment grain size in the area where suspended sediments are deposited. In addition, marine sand mining, decreases the height of dunes. Therefore, morph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unes around the sand pits will be significantly changed by future sand mining activities.

잔골재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건조수축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ling for Prediction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ccording to Aggregate Ratio of Concrete)

  • 박도경;윤여완;김광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1-77
    • /
    • 2004
  • Drying Shrinkage has much complexity as it has relations with both internal elements of concrete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experiments on Concrete Drying Shrinkage are carried out in this study under simplified circumstances applying temperature & Humidity test chamber which enable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mparative analyses have been mad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sequences aiming at modelling for prediction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nd making out measures to reduce it.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nder the condition of dry air appears to rise by about 20%-30% in proportion as the temperature rises $5^{\circ}C$ when the humidity was held below 10% compared under the condition of dry temperature & Humidity test chamber.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in pit sand concrete increased 20% higher than measured when in river sand under the condition of 90-day material age. A general formula with two variables is derived as follow ${\varepsilon}={\alpha}_1+{\beta}_1x_1+{\beta}_2x_2+{\beta}_3x_1^2+{\beta}_5x_2^2$. and also graphed in 3 dimensions, enabling to apply to actual design and predict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in concrete. The results of prediction of Rate of Drying Shrinkage by Response Surfac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Drying Shrinkage in Concrete was over 90%.

모래하천에서 식생 침입에 대한 육상곤충 군집의 반응 (Response of Terrestrial Insect Community to the Vegetation Invasion at a Sand-Bed Stream)

  • 조건호;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1호
    • /
    • pp.44-53
    • /
    • 2017
  • 대표적 모래하천인 내성천의 사주에서 식생 정착에 대한 지면 서식 육상곤충의 생물상과 생물군집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나지 사주와 식생 사주에서 함정법으로 곤충을 채집하여 종조성, 종다양성, 기능특성군 및 생물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내성천에서 육상곤충은 나지사주에 식생이 정착함에 따라서 서식 곤충의 종다양성은 증가하였으나 서식 밀도는 감소하였다. 특히 나지 사주에서는 강변길앞잡이, 동양알락방울벌레 등의 사주 지표성 곤충이 서식하였다. 사주의 곤충군집은 사주 식생의 피도에 따라서 나지사주와 식생사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모래하천의 나지 사주의 먹이망은 쇄설물 - 쇄설물 섭식자와 청소자 - 주로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포식자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식생 사주 먹이망은 식물 - 흡즙 초식자와 저작 초식자 - 포식기생자와 포식자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모래하천에서 나지 사주에 식생에 정착함에 따라서 종다양성은 증가하고 초식 먹이사슬로 변화하고, 나지 사주에 특이적인 곤충상과 쇄설물 기반 먹이사슬이 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