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peronyl butoxid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Cypermethrin과 Piperonyl butoxide가 rat의 독성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permethrin and Piperonyl Butoxide on Toxic Response in Rats)

  • 정규혁;홍사욱
    • 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9-79
    • /
    • 1990
  • The aim of this experiment is to observe the toxicity of cypermethrin[S, R- -cyano-3-phenoxybenzyl-(1R, 1s, cis, trans)-2,2-dimethyl-3-(2,2-dichlorovinyl) cyclopropane carboxylate]and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piperonyl butoxide on the cypermethrin toxicity. In cypermethrin (CYP) treated group, the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LT, LDH, glucose in serum were remarkably elevated. The content of cytochrome P-450 and activity of NADPH-cytochrome c reductase in renal microsomal fraction were increased but those in hepatic microsomal fraction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y of aniline hydroxylase and ATPase in liver were decreased. In the case of CYP plus piperonyl butoxide (PB) treated group, AST, ALT, LDH and glucose were more increased. Cytochrome P-450 and NADPH-cytochrome c reductase in liver and kidney were supressed and aniline hydroxylase and ATPase in liver were more decreased. Especially, in the case of CYP plus PB 100 mg/kg treated group, hepatic TBA value was increased but activity of glucose-6-phosphatase was remarkably depressed.

  • PDF

Primisulfuron, Imazethapyr와 Piperonyl Butoxide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옥수수의 생장(生長) 및 ALS산소(酸素)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imisulfuron and Imazethapyr Treated with Piperonyl Butoxide on Growth and Acetolactate Synthase Activity in Several Corn Cultivars)

  • 박인철;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3-340
    • /
    • 1998
  • Primisulfuron 또는 Imazethapyr와 Cytochrome P-450 저해제인 PBO의 혼합처리가 옥수수의 생장 및 ALS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ioneer 3751 IR은 Primisulfuron과 Imazethapyr에 Imazethapyr에 높은 내성을 보인 반면, Pioneer 3751과 찰옥 2호는 감수성을 보였다. 2. Pioneer 3751 IR은 Primisulfuron과 PBO혼합처리에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어 PBO혼합처리에 따른 영향은 적었으나 Pioneer 3751,수원 118호와 찰옥 2호는 PBO혼합처리에 따라 생장 저해가 PBO무처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Pioneer 3751 IR의 생장은 Imazethapyr와 PBO 혼합처리에 따른 영향은 적었으며 Pioneer 3751과 수원 118호, 찰옥 2호는 생장저해가 심하였으나 PBO혼합처리 에 따른 약해 상승작용은 크지 않았다. 4. ALS효소 활성은 Prirnisulfuron은 $0.01{\mu}M$에서부터, 그리고 Imazethapyr는 $1{\mu}M$에서부터 Pioneer 3751 IR 품종을 제외한 3품종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Primisulfuron과 PBO혼합처리에 의하여 Pioneer 3751 IR과 Pioneer 3751에서는 활성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고 수원 118호와 찰옥 2호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Imazethapyr와 PBO의 혼합처리에서는 4품종에서 모두 약간 억제되었다.

  • PDF

생쥐에서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한 ${\alpha}$-Endosulfan의 시험관내 대사시험 (in Vitro Metabolism Study of ${\alpha}$-Endosulfan with Microsomal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

  • 김인선;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63-467
    • /
    • 1995
  • 생쥐(Balb/C) 간과 신장의 microsomal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한 ${\alpha}$-endosulfan의 시험관내 대사시험을 수행하였다. ${\alpha}$-Endosulfan은 endosulfan lactone(EL), endosulfan hydroxyether(EHE), endosulfan alcohol(EA), endosulfan sulfate(ES), endosulfan ether(EE) 그리고 ${\beta}$-endosulfan(${\beta}$-E) 등으로 대사되었으며 주요 대사산물은 간에서 EL(13.2%) 및 EA(11.5%)이었으며 신장에서 EA(17.4%) 및 EHE(19.3%)이었다. Microsome 배양액중 유기용매 추출성 대사산물은 63.4%이었으며 수용성 대사산물은 37.1%이었다. 수용성 대사산물은 EA(83.9%), EHE(4.5%) 그리고 ES(2.3%)로서 주요 수용성 대사산물은 EA이었다. Piperonyl butoxide는 ${\alpha}$-endosulfan으로부터 EE의 생성을 86%, EA의 생성을 92% 그리고 EHE, EL 및 ES의 생성을 대부분 저해하였다.

  • PDF

7-Ethoxy precocene II 항유약호르몬유사물에 대한 몇가지 협력제의 Oncopeltus fasciatus Dallas에 있어서 협력작용 (Synergism of Several Synergists of Antii-Juvenile Hormone Analog, 7-Ethoxy Precocene II to Milkweed Bug Oncopeltus fasciatus Dallas)

  • 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8-242
    • /
    • 1996
  • 몇가지 협력제의 7-ethoxy precocene II와 협력작용을 통한 활성증가와 작용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mikweed bug, Oncopeltus fasciatus 2령충에 항유약호르몬유사물과 협력제가 처리된 petri dish에 접종하여 생리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7-Ehtoxy precocene II의 반수활성농도는 $1.18\mu$g/$\textrm{cm}^2$이었다. 7-Ethoxy precocene II와 다른 산화저해제인 RO20-9747의 협력비가 14.05로 가장 높았고 그들의 반수활성농도는 $0.084\mu$$g/\textrm{cm}^2$이었다. 7-Ethoxy precocene II와 다른 협력제 1종, 2종, 4종을 조합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때 뚜렷한 협력작용 증가효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른 협력제들은 곤충의 방어기작을 알라타체를 포함하여 비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RO20-9747은 7-ethoxy precocene II가 알라타체로 이행하는데 까지 곤충의 방어적 산화기작인 monooxygenase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함으로써 7-ethoxy precocene II가 알라타체로 이행량이 증가하여 활성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농약의 약효증진을 위한 첨가제 효과에 관하여;Diazinon제를 중심으로 (On the Extension of Insecticidal Activity and the Preparation of New Mixture with Diazinon)

  • 조정례;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5-115
    • /
    • 1996
  •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degradation factors of diazinon which was known to be easily degraded by soil microorganisms and lost of its activity. Under submerged soil condition, the contribution of microorganisms to diazinon degradation was about 40% and these microorganisms preferred soil humus as substrates to diazinon itself. The effect of monooxygenase activity in submerged soil was more important than esterase activity on diazinon degradation and these enzymes were inhibited by several chemicals such as piperonyl butoxide(PBO), EPN and tricyclazole. From these results, new formulation type of diazinon (PBO and triphenyl phosphate were added to commercial diazinon formulation by 0.1% respectively.) and diazinon mixture formulation (diazinon was mixed with EPN, tricyclazole and carbofuran in equal amount) were prepared. The new formulation type of diazinon showed better insecticidal activity by 12% and more delayed diazinon degradation in ten days than commercial diazinon.

  • PDF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Procymidone 약제 저항성 요인 구명 (Investigation of resistance mechanism for Botrytis cinerea to procymidone)

  • 조정례;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19-328
    • /
    • 1995
  •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procymidone약제 저항성 발현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procymidone 약제 저항성과 감수성 균주를 각각 세균주씩 선발하여 약제 저항성 검정과 아울러 세포구성물질의 함량 및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균주의 약제 저항성 검정 결과 저항성이 감수성균주에 비하여 1,000배 이상의 저항성이 발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Monooxygenase저해제인 piperonyl butoxide와 esterase 저해제인 triphenyl phosphate를 PDA 배지에 처리한 후 균사생육을 조사한 결과 저항성과 감수성균주간에 차이가 없어 저항성은 균체의 내적요인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아울러 procymidone과 혼합 처리시 약효 상승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3. 스테롤 조성은 저항성과 감수성 균주 모두 유사하였으며, GC/MS 분석결과 분자량 428의 스테로이드계 화합물이 비슷한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4. 지질함량은 저항성이 감수성균주에 비하여 30% 정도 많았고, 지방산 함량은 저항성균주의 경우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약 2.5배, oleic acid 2.9배, 그리고 linoleic acid가 공시균주의 주된 지방산으로 나타났으며, 2배 정도 많은 함량을 보였다. 5. 조키틴 함량은 감수성균주가 저항성에 비하여 0.11% 많았으나, 이의 가수분해산물인 N-acetyl glucosamine함량은 저항성균주가 감수성에 비하여 반응 24시간에 3배 그리고 48시간에서 2배 많았다. 따라서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procymidone 약제 저항성은 lipid 함량의 증가, fatty acid 함량의 증가 및 조성의 변화 그리고 키틴 전구물질인 GlcNAc 함량과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현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사회복지시설 아동과 성인의 머릿니 감염실태 및 Bioallethrin을 사용한 집단구제 (Head louse infestation among girls in an orphanage and women in a mental hospital and mess-delousing with bioallethrin ($PARA^{TM}$ aerosol))

  • 배기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1호
    • /
    • pp.49-52
    • /
    • 1992
  • 서울시내에 소재한 여자 성인 및 여자 아동 사회복지시설 카 1개소에 수용된 성인 여자 97 명, 여아 43명을 대상으로, 서캐(머릿니 충란)의 발견율을 조사한 뒤 조사된 서캐의 보유 유무에 상관 없이 모든 대상자에게 PARATU 에어로졸(bioallethrin 0.660%, piperonyl butoxide 2.640%) 을 살포하고 참빗질을 하여 머릿니(유충 및 성충)의 발견율을 구하였으며, 12일 후에 다시 살포하고 머릿니의 구제 여부로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총 140명 중 서캐양성은 98명 (70.0%) 머릿니양성은 85명 (60.7%)이었다. 여 아 43명 중 서캐가 37명 (86.0%)에서, 머릿니가 37명 (86.0%)에서 발견되었고, 성인 여자 97명 중에서는 서캐가 61명 (62.9%). 머릿니가 48명(49.5%)에서 발견되어, 아동이 성인보다 서캐 및 머릿니 양성률이 높았다(p<0.01). 12일 후 다시 시행한 검사에서, 머릿니가 발견되었던 아동 37명 중 36명 (97.3%)과 성인 48명 중 46명 (95.8%)에서 머릿니가 제거되어 머릿니 구제효과는 평균 96.5%로, PARATU 에어로졸의 머릿니 구제효과는 우수한 편이었으며 사용상 우려할만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여아와 성인여자간에 치료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집단생활 을 할 경우 구성원의 일부가 머릿니에 감염이 되더라도 집단전체가 쉽게 감염에 이환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특수 집단에서 머릿니를 성공적으로 구제하기 위해서는 집단 약물치료와 재감염 방지 대책을 동시에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imidacloprid에 대한 저항성 기작 (Resistance Mechanisms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to Imidacloprid)

  • 최병렬;이시우;유재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5-271
    • /
    • 2001
  • Imidacloprid에 저항성을 보이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몇가지 저항성 기작을 조사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약제를 처리한 후의 체벽잔류량은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 간에 체벽침투력의 유의성은 없었다. 체내잔류량은 양 계통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으며 감수성에서 많았다. 배설량은 저항성계통이 감수성계통보다 많아 약제 대시가 빠르게 나타났다. Imidacloprid 저항성계통의 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은 감수성계통 보다 약 1.4배 높았으며, imidacloprid는 AChE를 저해하지 않았다. 저항성계통에 대해 산화효소 저해제인 PBO(piperonyl butoxide)와 esterase 저해제인 IBP (iprobenfos)를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Imidacloprid : PBO의 비율은 1 : 1과 1 : 5에서 각각 69.4, 250배의 독성을 보였으며, IBP와 혼합사용(1 : 1과 1 : 5)에서는 각각 227, 80.6배의 독성을 보였다. 감수성계통에 PBO와 IBP를 imidacloprid와 같은 비율로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 단독처리와 독성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alpha$-naphtyl butyrate와 $\beta$-naphtyl acetate 기질을 사용하여 비특이적 est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성계통의 감수성 계통보다 esteraseghkf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imidacloprid 저항성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기작에는 산화효소와 esterase가 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LC-MS/MS 와 GC-MS/MS 를 이용한 에센셜 오일 중 320 종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320 Pesticides Analysis of Essential Oils by LC-MS/MS and GC-MS/MS)

  • 오가향;박성막;이소민;정소영;곽병문;이미기;이미애;최성민;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7-331
    • /
    • 2021
  •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1 개의 단일 식물형 및 식물종이 만들어낸 향이 나는 식물 재료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얻어낸 휘발성 물질로 방부, 살균, 항균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향료, 아로마 테라피 치료 등의 목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오일은 추출 및 농축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재배 과정 중 살포된 농약 또한 추출 및 농축이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센셜 오일 중 320 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기 위하여 LC-MS/MS와 GC-MS/MS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정제과정인 hexane 대신 freezing 과정을 이용하여 전처리방법을 개선하였다. 에센셜 오일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chlorpyrifos, piperonyl butoxide, silafluofen 성분이 basil oil 및 clove leaf oil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에센셜 오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잡곡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tudy on the Safety of Residual Pesticides in Cereal Grains and Pulses Agricultural Products Excluding Rice)

  • 한나은;김재관;윤희정;강민성;조영선;송지원;김병태;이성남;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 2월부터 7월까지 잡곡 106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하였다. 대형, 중소형 및 온라인 유통매장을 중심으로 국내 잡곡 40건과 수입 잡곡 66건을 수거하였고, GC/MSMS, GC/ECD, GC/NPD, LC/MSMS, UPLC/PDA, HPLC/FLD를 이용하여 다종농약 다성분분석법으로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잡곡은 대형유통매장 1건, 중소형 유통매장 2건, 온라인 유통매장 5건으로 총 8건(7.5%)이었고, 5건(4.7%)에서는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이들 잡곡에서는 MGK-264, chlorpyrifos, thiamethoxam, malathion, piperonyl butoxide, pirimiphos-methyl 등 6종의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잡곡은 강낭콩(1건), 녹두(6건), 수수(1건)이다. 검출된 잡곡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품목은 수입 녹두(5건)로 미얀마산이었고, 초과한 농약 성분은 thiamethoxa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