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appl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3초

Screening of Trichoderma Isolates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Ceratocystis paradoxa Causing Pineapple Disease of Sugarcane

  • Rahman, M.A.;Begum, M.F.;Alam, M.F.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277-285
    • /
    • 2009
  • In this study, dual culture, poison agar, and direct methods were used to assess the ability of Trichoderma virens IMI-392430, T. pseudokoningii IMI-392431, T. harzianum IMI-392432, T. harzianum IMI-392433, and T. harzianum IMI-392434 to control Ceratocystis paradoxa, which causes the pineapple disease of sugarcane. The highest percentage inhibition of radial growth (PIRG) values were observed with T. harzianum IMI-392432 using two dual culture methods, 63.80% in Method I and 80.82% in Method II. The minimum colony overgrowth time was observed with T. harzianum IMI-392432 and the maximum was observed with T. pseudokoningii IMI-392431.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ifferent day-old metabolites of Trichoderma isolates were tested against mycelial growth of C. paradoxa. The highest PIRG (84.685%) exhibited at 80% concentration of 30-day-old metabolites of T. harzianum IMI-392432 using the modified bilayer poison agar method. In the direct assay method the maximum mycelial growth weight (PIGW) was observ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the same day-old metabolites of T. harzianum IMI-392432. This study showed that Trichoderma isolates have a good antagonistic effect on C. paradoxa mycelial growth and T. harzianum IMI-392432 has the most potential to control the pineapple disease pathogen.

신선편의 냉장·냉동 과채류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s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 김근향;임주영;김연호;양소영;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5-50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에서 오염 가능성이 있는 병원성식중독 균 L. monocytogenes에 대해 신선편의 샐러드, 파인애플, 냉동망고에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 모델을 다른 제품에서 적용 여부를 검증하였다. 시료에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각각의 저장 온도에 보관 시 샐러드는 13℃, 파인애플은 10℃ 이상에서 성장하였으며, 두 식품 중 파인애플에서 L. monocytogenes가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냉동망고에 접종한 L. monocytogenes는 -2, -10, -18℃의 저장온도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delta 값이 커지며 생존력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실험 검증을 통해 같은 신선편의 과일, 채소 식품 그룹에 속하더라도 식품 각각의 특성에 따라 L. monocytogenes의 성장 패턴은 일정하지 않으며 각기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및 절단된 과일류는 냉장유통 되며 추가세척 없이 소비되는 제품 특성상 공정과정에서 L. monocytogenes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위생관리에 주의하고 유통과정에서 온도 남용이 되지 않도록 유통온도 관리에도 유의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과일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식육연화효과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Proteolytic Enzymes in Fruits for Meat Tenderization)

  • 배영희;노정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7-371
    • /
    • 2000
  • 육류연화를 위해 조리실무현장에서 자주 이용하는 과일인 배, 키위, 무화과, 파인애플, 파파야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효소을 이용한 육류연화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념장:물이 혼합비율이 2:1, pH 5.0∼5.5 부근의 산성일 때 최상의 연육 효과가 나타났다. 2. Rheometer를 이용하여 전단력 측정을 한 결과, pineapple>papaya> fig> kiwifruit > pear의 순으로 전단력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때 저작 5회째까지의 전단력 감소를 이용한 과일즙간의 연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p<0.001 수준에서 파일애플, 파파야, 무화과는배나 키위에 비해 유의적으로 연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과일즙 첨가를 하여 조리한 육류에 대해 관능검사를 한 결과, p<0.01에서 연도와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 파인애플, 파파야 처리군과 배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에서는 배와 파파야가 맛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과일즙에 따른 관능과 기계적인 연도간의 상관성을 보면, 과일즙에 따른 기계적 연도와의상관성은 r=-.877로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고(p<0.01), 연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호도도 상승하는 상관성(r=.532, p<0.01)이 있었다. 또한 과일즙에 따라 관능적 연도는 r=.495의 상관성을 보였고, 기계적 연도와 관능적 연도간에는 r=.490으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0.05 수준에서 맛과 다즙성 사이에 r=.208로서 상관도는 낮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즉 단백질 분해효소를 갖고 있는 과일즙 단백질 연화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며 이들을 이용한 레시피 표준화는 앞으로 필요한 연구과제라고 사료된다.

  • PDF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파인애플 착즙액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ase activities of microencapsulated pineapple juice powders by spray drying process)

  • 박혜미;채호용;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4-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protease를 함유하고 있는 파인애플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파인애플 착즙액을 미세캡슐화 하였으며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pH, 당도 및 protease 활성은 각각 pH 5.43, 12.80 및 4.82 unit/mL이었다. Protease 활성에 대한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7.0 및 $50^{\circ}C$에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미세캡슐분말 제조는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으며, 수분함량은 3.02~3.75%였다. 색도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에 비하여 L값 및 a값은 낮고 b값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말토덱스트린에 알긴산 3% 첨가시 선명한 노란색을 보여주었다. 입자크기는 동결건조 분말($501.57{\mu}m$)에 비하여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42.58{\sim}53.32{\mu}m$로 유의적으로 작고 균일한 크기였으며, 입자모양은 전반적으로 구형의 형태를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분흡수지수는 말토덱스트린에 알긴산을 3% 첨가한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0.41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98.22~99.76%로 나타나 동결건조 분말보다 우수하였다. 미세캡슐 분말의 protease 활성은 동결건조 분말(1,297.47 unit/g)이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633.51~692.08 unit/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은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만 g당 23.70~100.83 unit의 효소 활성이 나타나 위액과 장액의 pH 환경에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복물질로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을 첨가하여 분무건조시 식품산업 활용 측면에서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세캡슐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고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ell Wall Structure of Various Tropical Plant Waste Fibers

  • Abdul Khalil, H.P.S.;Siti Alwani, M.;Mohd Omar, A.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9-15
    • /
    • 2007
  •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walls in different types of tropical plant waste fibers was carried out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thickness of each layer was also measured using Image Analyzer. TEM micrographs haveconfirmed that cell wall structure of all six types of tropical plant waste fibers (empty fruit bunch, oil palm frond, oil palm trunk, coir, banana stem and pineapple leaf) has the same ultrastructure with wood fibre. The fibers consisted of middle lamella, primary and thick secondary wall with different thickness for different types of fibers. The secondary wall was differentiated into a $S_1$ layer, a unique multi-lamellae $S_2$ layer, and $S_3$ layer.

과즙을 첨가한 고추장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Kochujang with Addtion of Fruit Juices)

  • 박정선;이택수;계훈우;안선민;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8-104
    • /
    • 1993
  • 사과, 오렌지, 포도, 파인애플 등의 과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경우 과즙으로부터 유래된 유기산 등에 의하여 적정산도가 높아지거나 pH의 저하를 가져왔는데 파인애플 처리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3개월 숙성된 고추장의 유기산, 유리당도 10개월 후에는 미생물 등에 의해 이용되어 맛과 향이 다소 소실되는 경향이 있었다. 포도첨가 고추장의 경우 안토시아닌 계통의 색소로 인하여 색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Hunter a-value와 선호도 결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맛, 향기, 색깔 등의 관능검사에서도 파인애플이 첨가된 고추장의 선호도가 다른 과즙이 첨가되거나 대조구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termination of in situ degradation parameters and feeding level of pineapple (Ananas comosus L.) cannery by-product to Hanwoo steers

  • Choi, Yongjun;Park, Keunkyu;Lee, Sangrak;Na, Youngju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호
    • /
    • pp.85-92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in situ degradation parameters and appropriate feeding level of pineapple cannery by-products (PCB) based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arameters of growing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fed various levels of PCB. Methods: Two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cows were used for in situ disappearance rate measurements. Nylon bags (5×10 cm, 45 ㎛ pore size) filled with 5 g of PCB in triplicate were inserted into the ventral sac of the two cannulated Holsteins cows and incubated for 0, 2, 4, 8, 16, 24, and 48 h. A total of 16 castrated growing Hanwoo steers (12.5±0.5 months old, 302.9±25.7 kg of initial body weight [BW])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nimals were stratified by initial BW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diets (0%, 1.5%, 3.0%, or 6.0% of PCB, on the dry matter [DM] basis) fed for 91-d, including 30-d of adaptation. Results: Soluble fraction a of DM and crude protein (CP) was 61.9% and 86.0%, fraction b of DM and CP was 32.7% and 11.2%, and indigestible fraction c of DM and CP was 5.4% and 2.8%. The 6.0% PCB feeding group showed lower productivity compared to animals in the other treatments. Increasing the dietary level of PCB did not alter DM intake, but it was numerically lowest in the 6.0% feeding group. The gain to feed ratio was linearly decreased by increasing of PCB. The quadratic broken-line test estimated that 2.5% (DM basis) was the maximum feeding level of PCB in growing Hanwoo steers (y = 0.103 - 0.001×[1.245-x]2, R2 = 0.18). Conclusion: Diets containing up to 2.5% PCB can be fed to growing Hanwoo steers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Effects of a pineapple (Ananas comosus L.) cannery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Hanwoo steers

  • Choi, Yongjun;Lee, Sangrak;Na, Youngju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33-242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ineapple cannery by-product (PCB) leve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Hanwoo steers. Methods: The feeding stage was divided into early and late finishing stages. A total of 60 castrated Hanwoo steers (13.9±0.8 months old, 418.8±36.5 kg initial body weight [BW]) were blocked by initial BW and then randomly allotted into 12 pens (five head/pen). The pen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CONT), low PCB (LPCB), or high PCB (HPCB) treatments. These diets contained 0%, 1.5%, or 3.0% of PCB (on a dry matter [DM] basis; as-fed basis was 0%, 10.6%, or 21.2%), respectively. Results: For the early finishing stage, body weight gain (BWG) and average daily gain (ADG) of the CONT and LPCB feeding groups were greater (p<0.05) than those of the HPCB feeding group. In addition, there were linear and quadratic effects on BWG and ADG with increasing dietary PCB level (p<0.05). The gain to feed (G:F) ratio tends to quadratically decrease with an increasing PCB level in the early finishing stage (p = 0.076). Growth performances of late finishing stage were not affected by PCB level. The marbling score of the LPCB feeding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 feeding group. However, there was a linear decrease (p< 0.05) in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among treatments as PCB was increased in the diet. In the longissimus muscle free amino acid profile, histidine composition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an increasing level of PCB. Conclusion: The level of PCB 1.5% DM in diet can be used for finishing steer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s. However, there were some negative effects on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in the HPCB feeding group.

바나나 껍질과 파인애플 껍질 Ester Synthetase를 이용한 Ethyl Butyrate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Ethyl Butyrate Using Ester Synthetase Derived from Banana Peel and Pineapple Peel)

  • 윤기홍;김기혁;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22-1127
    • /
    • 2017
  • 바나나 껍질과 파인애플 껍질에서 식품의 향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ethyl butyrate를 합성할 수 있는 ester synthetase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다. RSM 분석 결과 바나나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의 ethyl butyrate 합성 최적 조건은 ethanol의 농도가 38.7050 mM, butyric acid의 농도가 50.9019 mM, 반응시간이 4.3662시간일 때 최대 예측값은 45.8199 mM이었다. 파인애플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의 ethyl butyrate 합성 최적 조건은 ethanol의 농도가 54.6502 mM, butyric acid의 농도가 58.7638 mM, 반응시간이 4.7436시간일 때 최대 예측 값은 65.1087 mM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ethyl butyrate 합성을 위해서는 바나나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보다는 파인애플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가 더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의 연속 대량 생산을 위해서 효소의 고정화 방법과 연속적인 기질 투입을 위한 기술 등의 개발이 더 이루어진다면 천연향 원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