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pollen powd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송화가루 첨가가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Pollen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Prepared with Korean Domestic Wheat Flour)

  • 이혜숙;박정로;전순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5
    • /
    • 2001
  • Baking properties of Korean domestic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pine pollen powder were investigated. Farin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ine pollen increased water absorption without any changes in dough development time and stability of dough in comparison with control. A high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a lower maximum viscosity of dough on amylogram were observed with pine pollen powder addition. The addition of pine pollen powder showed decrease in redness and increases in lightness and yellowness of bread crumb. A significant increase in bread volume was observed as the pine pollen powder added mor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of bread were increased by pine pollen powder. Sensory evaluation of bread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ine pollen powder, especially at the level of 1%, enhanced color, mouth feeling, bleak and appearance without significant reduction of overall acceptability.

  • PDF

송화 및 고추냉이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ine Pollen and Horseradish on Fermentation of Kimchi)

  • 나영아;박정난;나영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8-189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pollen and horseradish, which were known as antimicrobial materials,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period 30-days at $10^{\circ}C$. Even though Kimchi added pine pollen or horseradish powder were sustained the higher pH and lower acidity after 10 days, it delayed only 1∼2 more days to reach optimal value of Kimchi fermentation in experimental groups than control. The horseradish powder showed the antimicrobial effect of Kimchi at initial stage, but thereafter that effect of pine pollen or horseradish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addition of pine pollen or horseradish powder to Kimchi is not sufficiently effective for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 PDF

재료배합에 따른 송화다식의 관능적 특성검사 (Study on Sensory Evaluation for the Dasik with Pine Pollen)

  • 조미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236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exture and flavor of Dasik made of pine pollen with waxy rice flour and Angelica gigas leaf powder addition. Pine pollen Dasik was not affected in shape, flavor, texture, taste, melting degree and unpleasant flavor by add of 10% rice flour. Flavor, texture and melting degree were little bit affected by add of 30% rice flour but all items got worse with same amount of rice flour addition. Add of Angeleica leaf powder by 10% improved a little the texture while flavor was decreased.

  • PDF

솔잎, 송화, 녹차 및 고추냉이 분말이 김치양념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 나영아;박정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9-190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Kimchi-yangnyum were investigated during 30-days preservation. The changes of pH, total acid, and number of total viable cell, lactic acid bacteria, E. coli of the Kimchi-yangnyum were insignificant. And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 were more effective to suppress fermentation than that of pine pollen or green tea or horseradish.

  • PDF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관능특성 및 송화추출물의 항산화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Pine polle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ne pollen Extracts)

  • 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7-724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송화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1.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7%, 에탄올 추출물은 74%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 보다 높았다. 2.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3.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3% 송화첨가국수가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H 및 산도는 대조구 및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명도(L)와 적색도(a)는 송화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0.05) 삶은면의 명도는 대조구와 추출물 첨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b)는 실험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5.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생면, 건면,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종합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적채 추출물의 기능성 및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Brassica oleracea L-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Brassica oleracea L.)

  • 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43-1449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 채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4\%$, 에탄을 추출물은 $76\%$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우리밀 적채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생면, 건면, 삶은면 모두에서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7\%$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b)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삶은면에서는 적색도 감소가 가장 큰 $5\%$ 첨가구에서 황색도 및 명도가 가장 높았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건면과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