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ment content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5초

클로로필 고생산성 Chlorella vulgaris 변이주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Chlorella vulgaris Mutants Producing High Chlorophyll)

  • 박현진;김옥주;하지민;최태오;이재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5-279
    • /
    • 2015
  • 본 연구는 Chlorella vulgaris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획득한 변이주 중 색소함량이 높은 변이주 2종(UBM1-2, UBM2-57)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2종의 변이주의 생장속도는 WT와 비교했을 때 20% 가량 더딘 생장율을 보였고, 세포건조 중량 및 단백질 함량 또한 세포생장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지질 함량은 UBM1-2 변이주에서 WT와 비교 시 21% 높은 지질 함량을 확인하였지만, UBM2-57 변이주는 WT보다 39% 낮은 지질함량을 축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색소함량(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의 경우 WT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축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클로로필함량은 UBM1-2, UBM2-57 변이주가 WT보다 각각 37%, 89% 높았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WT보다 각각 27%, 70%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별한 미세조류 변이주는 야생균주와 비교 시 세포 생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화장품 및 의약품, 건강 기능식품의 중요한 소재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creening of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 in rice (Oryza saiva L.) genetic resources

  • Lee, Ji-Hee;An, Min-Jeong;Kim, Seung-Hyun;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0-290
    • /
    • 2017
  • Rice (Oryza sativa L.) is one of the most consumed staple food crop which is energy source as carbohydrate and also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antioxidant sources including various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 of healthy life, the concern to antioxidant also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health-promoting effect. Phenolic compounds are one of th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class, which shows various benefits to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the total phenol content from total 647 rice samples using the Floin-Ciocalteau method, and then were selected 30 rice genetic resources classified with high, middle, and low group on the basis of total phenol content. The average of the total phenol content of each group was high-group ($6892.9{\pm}488.5{\mu}g\;GAE/g$) > middle-group ($1428.1{\pm}76.0{\mu}g\;GAE/g$) > low-group ($97.6{\pm}11.4{\mu}g\;GAE/g$). The selected rice samples were analyzed with LC-MS/MS to find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individual phenolic in rice grain. High-group and middle-group contained large amounts of protocatechuic acid and (+)-catechin whereas low-group showed limited amount. Among high-group samples, rice samples with black pericarp color (IT 174089, IT 220079, and IT 259958) had high content of peonidin-3-O-glucoside. Further, these black rice samples were special since polydatin, rarely found stilbenoid in rice grain, was detected. Overall, both the sum of phenolic acid and the sum of flavonoid were high-group > middle-group > low-group. Also, each group exhibited different phenolic compositions; high-group consisted of flavonoid more than phenolic acid, middle-group and low-group was comprised of phenolic acid rather than flavonoid, and non-pigmented rice was composed by fully phenolic acid. The total phenol content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um of phenolic compound (r = 0.64), the sum of flavonoid (r = 0.74)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 < 0.0001. In addition, protocatechuic acid and querceti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bove phenolic composition parameters; in order, r = 0.98, 0.65 for protocatechuic acid and r = 0.73, 0.78 for quercetin (p < 0.0001). In conclusion, the total phenol content assay showed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phenolic composition indicator in rice grain. Also, this result was suggested study pigment on other material.

  • PDF

광량 차이에 의한 산개나리의 엽 특성과 광색소 함량 및 광합성 변화 (Changes of Leaf Characteristics, Pigment Content and Photosynthesis of Forsythia saxatilis under Tw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 한심희;김두현;김길남;변재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609-61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면서 희귀식물인 산개나리의 유전자원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생육 환경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광 조건을 가진 환경에 식재된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산개나리 시험구내 광량은 전광의 20%, 60%로 구성되었다. 산개나리의 생리적 특성으로 당년지 길이, 잎 크기 및 무게, 광색소 함량 및 잎 내 질소 함량, 광합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량이 다른 두 시험구에서 측정한 산개나리의 잎 무게는 전광의 60% 광량을 가진 시험구의 잎이 20% 시험구 잎보다 무거웠으며, 잎 무게와 크기의 비율은 전광의 60%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1.47배 컸다. 산개나리 잎의 엽록소 a와 b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 모두 전광의 60% 광량을 가진 시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비는 전광의 20% 시험구가 60% 시험구보다 높았다. 산개나리의 두 시험구에서 측정한 광합성 속도는 전광의 60% 광량을 가진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2.5배 이상 높았으며, 기공전도도와 증산 속도도 광합성 속도와 마찬가지로 전광의 60%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각각 2.65배와 1.79배 높았다. 그러나 수분이용효율은 전광의 20% 광량을 가진 시험구가 60% 시험구보다 높았다. 산개나리 잎의 질소 함량에 대한 총 엽록소 함량의 비는 20% 시험구가 60% 시험구보다 1.83배 높았으나, 총 엽록소 함량에 대한 순 광합성 량의 비는 60%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2.58배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광량이며, 광량이 높은 조건에서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은 개선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컬러감자 안토시아닌 색소발현에 관여하는 재배환경 조건 (Growing Environment Influence the Anthocyanin Content in Purple- and Red-Fleshed Potatoes During Tuber Development)

  • 정진철;김수정;홍수영;남정환;손황배;김율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31-238
    • /
    • 2015
  • 본 시험은 컬러감자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컬러감자 '홍영'과 '자영'을 전국 감자 주요 재배지역 14곳에 파종한 후 각 지역의 토양 화학성과 기상환경 조건을 분석하였고, 각 지역에서 생산된 감자 괴경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분석된 안토시아닌 함량과 토양 및 기상환경과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품종 간 비교에서는 시험이 수행된 대부분의 지역에서 자주색 '자영'이 붉은색 '홍영'보다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랭지, 준고랭지 및 평난지로 구분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생산된 컬러감자의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았다. 수확된 컬러감자 괴경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토양의 화학적 성분과의 상관분석에서는 유일하게 토양산도와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안토시아닌 함량과 기상환경 조건들과의 상관분석에서는 파종후 80~100일 사이의 평균온도 및 최저온도와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즉, 이 시기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컬러감자 괴경이 생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품질의 컬러감자를 생산하기 위한 적지선정이 필요한 생산자와 산업체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Growth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component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ultivars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 Hwang, Eom-Ji;Nam, Sang-Sik;Lee, Joon-Seol;Lee, Hyeong-Un;Yang, Jung-Wook;Go, San;Paul, Naranyan Chandr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98-198
    • /
    • 2017
  • Cultivated varieties of sweet potato were from dry texture type to tender texture type on the basis of consumer preferenc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quantity of sweet potato, starch content, pigment, and sugar content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season and area, even in the same varie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stablish optimum time of harvesting through growth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component like starch, sugar, polyphenol and flavonoid. Four sweet potato varietie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mong them, Jinhongmi (JHM) & Yulmi (YM) were as dry texture type and Pungwonmi (PWM) & Hogammi (HGM) were as tender texture type. Sweet potatoes were transplanted on 23 May, 2016 and were investigated storage root weight and component contents every 20 days from 60 days to 120 days and surveyed yield at 110, 120, 130 days after transplantation. Result revealed that storage root weight of YM, JHM, and HGM were 30.1, 38.9, 20.8 g respectively in 60 days after transplanting. Storage roots of PWM gerw faster with the weight of 88.2 g. In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storage root weight varied from 88.3 to 118.7 g, HGM was the smallest, and PWM was the largest. Sugar contents of sweet potato ranged from 21.0 to $23.8Brix^{\circ}$ in 60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from 27.5 to $30.78Brix^{\circ}$ in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particular, the sugar content of HGM was the highest over $30Brix^{\circ}$ after 80 days. The starch content of dry texture type (YM, JHM) increased from 15.5% to 20.4% and tender texture type (PWM, HGM) increased from 11.0% to 17.3%. Starch content tended to be high in dry type sweet potatoes. The content of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highest in 60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was reduced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The total yield of PWM was high as 3,154 kg/10a and large storage root of over 250 g accounted for 47.4% in 110 days after transplanting. Storage root (YM, JHM, HGM) of 81~150 g accounted for 34.9% ~ 43.2% in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se are the most marketable. Because consumer in Korea prefers small, round and about 100g size sweet potato. The ratio of large storage root (over 250 g) were increased in all varieties at 1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harvest PWM at 110 days and YM, JHM, HGM at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which planted in late May.

  • PDF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소나무 풍매차대묘의 가계간 생장, 광합성 및 광색소 함량 차이 (Difference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Pigment Contents of Open-pollinated Pinus densiflora Families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Drought)

  • 김길남;한심희;박관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5-296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경제수종인 소나무 풍매차대묘의 가계간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생장 및 생리 반응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온도변화 및 건조 처리에 따른 소나무의 근원경 상대생장율은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 변화와 상관없이 강원74가 가장 우수하였다. 3가계 모두 온도 증가와 건조 처리구에서 근원경 생장은 감소하였으며, 저온처리구인 $-3^{\circ}C$ 처리구에서도 $0^{\circ}C$ 처리구보다 낮은 생장율을 보였다.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속도는 3가계 모두 건조 처리구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온 처리구인 $-3^{\circ}C$ 처리구에서도 $0^{\circ}C$ 처리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수분 이용효율은 온도 증가와 건조 처리구에서 높았다. 광색소 함량은 온도 증가와 건조 처리구에서 3가계 모두 감소하였지만, 엽록소 a와 b의 비는 건조 처리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총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변화와 상관없이 강원74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온도 증가 및 감소는 소나무의 생리적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과 함께 생장을 저하시켰다. 또한, 건조 스트레스도 소나무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많은 영향을 미쳐, 생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나무는 온도 감소보다 온도 증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우리나라의 평균 온도가 $6^{\circ}C$ 이상 증가하게 되면 지역에 따라서 소나무 유묘의 생장이 매우 불량해 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변화 및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있어 가계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유묘의 초기생장이 가장 우수한 강원74가 다른 두 가계보다 온도 및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도 생장 및 생리반응이 가장 우수하였다.

식물성(植物性) 색소(色素)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꽃잎맨드라미(Amaranthus tricolor L.) Anthocyanin색소(色素)의 안정성(安定性)-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lant Pigments -II.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 김광수;이상직;윤태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9
    • /
    • 1979
  • 꽃잎맨드라미 anthocyanin을 식용색소(食用色素)로 이용할 목적으로 모델시스템하에서 anthocyanin 안정성(安定性)에 미치는 온도, pH, 당류(糖類) 및 그 분해산물(分解産物), ascorbic acid, quercetin, sodium pyrophosphate, thiouea 그리고 금속(金屬) 이온들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H가 8.0에서 1.0으로 낮아짐에 따라 anthocyanin의 파괴(破壞)가 지연되였는데 pH 2.0에서는 초기의 anthocyanin 파괴(破壞)가 pH 2.0, 3.0에서 보다 더 빨랐다. 2. 수용액내에서 가열 $(80^{\circ}C)$시 pH 2.0에서의 anthocyanin잔존량(殘存量)이 다른 pH수준에서보다 더 많았으며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색소(色素)의 파괴(破壞)가 크게 촉진되었는데 $40^{\circ}C$의 암소(暗笑)에서 10일후 19%정도 $2^{\circ}C$에서는 90%정도 남아 있었고 $2^{\circ}C$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63일이었으나 $40^{\circ}C$에서는 1.7일로 떨어졌다. 이 색소파괴(色素破壞) 반응(反應)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는 18.93kcal/mole였다. 3. AA의 농도가 15 mg/100 ml에서 50 mg/100 ml로 증가함에 따라 반면에 색소잔존량(色素殘存量)은 줄어 들었다. 4. Anthocyanin의 파괴(破壞)에 대한 glucose와 fructose영향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당류분해물(糖類分解物)중에서는 form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순으로 색소잔존율(色素殘存率)이 감소하였으며 furfural anthocyanin 파괴작용(破壞作用)이 가장 심하였다. 5. Ascorbic acid 공존하(共存下)에서 quercetin, sodium pyrophosphate 다같이 anthocyanin에 대한 보호작용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thiourea가 50 및 100 mg/100 ml인 처리구에서는 색소손실량(色素損失量)이 상당히 줄어 들었다. 6. 금속(金屬) 이온들중 $Hg^{2+}$$Cu^{2+}$은 30 ppm에서 기타 금속(金屬)이온들에 비하여 anthocyanin의 파괴(破壞)를 촉진시켰다.

  • PDF

볶음향을 응용한 참기름 대체 향미유의 개발 (Manufacturing of Seasoning Oil as Sesame Oil Substituted used for Roasting Flavor)

  • 구본순;김덕숙;정락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7-341
    • /
    • 2002
  • 옥수수배아, 소맥배아, 탈피땅콩, 겨 자. 후추를 조분쇄하여 직화법으로 볶은 다음 옥수수기름과 혼합하고 열처리하여 향미유 원액을 얻었다. 이 원액과 옥수수기름을 혼합하고 여기에 유용성 천연색소 추출물과 O.R.Paprika를 처리하여 참기름 고유의 외관과 향미가 유사한 대체 향미유를 개발하였다. 이리 이화학적 특성을 참기름과 직접 비교해 본 결과 유리지방산 함량은 약 1/14 수준이었으며, 기타 항목에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향미유를 이용한 조리실험 결과 갈비절임, 볶음, 튀김, 김구이 및 약과튀김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여 참기름 대체용으로의 기능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lavobacterium amnigenum sp. nov. Isolated from a River

  • Patil, Kishor Sureshbhai;Padakandla, Shalem Raj;Chae, Jong-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9호
    • /
    • pp.1536-1541
    • /
    • 2018
  • A yellowish, flexirubin-pigment-producing strain $I3-3^T$ was isolated from river water in Iksan, the Republic of Korea. The strain was gram-negative, aerobic, non-motile, showed catalase and oxidase activities, and could grow at a temperature range of $10-35^{\circ}C$, pH 5.0-10 and 0-2.0% (w/v) of NaCl. The major fatty acids were iso-$C_{15:0}$, iso-$C_{17:0}$ 3-OH and summed feature 3 (comprising $C_{16:1}{\omega}7c$ and/or $C_{16:1}{\omega}6c$). The isolate contained phosphatidylethanolamine, one aminolipid, and two unidentified lipids as the major polar lipids. Menaquinone-6 (MK6) was the major respiratory quinone.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of strain $I3-3^T$ was 35.6%. Comparison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with the sequences of the closely related type strains showed highest sequence similarity of 96.95% and 96.93% to Flavobacterium nitrogenifigens $NXU-44^T$ and Flavobacterium compostarboris $15C3^T$, respectively. Based on phenotypic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I3-3^T$ is considered as a member of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Flavobacterium, for which Flavobacterium amnigenum sp. nov.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I3-3^T$ (=KCTC $52884^T$ =NBRC $112871^T$).

CLA와 멍게 껍질 추출물 급이에 따른 무지개송어 색소조성 (Composition in Carotenoids of Rainbow Trout Fed with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 강석중;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1-724
    • /
    • 2009
  • Astaxanthin is a valuable pigment source for many aquacultured species, including salmonoids, shrimp, sea bream, and ornamental species.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were mixed with the basal diet of rainbow trout to investigate their pigmentation effects. Synthetic Carophyll Pink and natural carotenoids that came from the tunic extracts were incorporated into muscle and skin tissues. The main carotenoids found in muscle after 8 weeks were canthaxanthin in CP12 (13.4%), and CP52 (17.2%), and astaxanthin in CP12 (58.5%), and CP52 (59.2%) in the Carophyll Pink group, while those in skin were canthaxanthin in CP14 (34.5%), and CP54 (29.2%), and astaxanthin in CP14 (32.0%), and CP54 (36.5%) in the ascidian tunic extract group.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in skin (53.0-69.3 mg/kg) was greater than that in muscle (9.5-13.8 mg/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