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e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대기 및 토양 오염의 지표로서 비둘기 조직의 연농도 (Lead Concentrations of Pigeon's Tissue as Indicator of Lead pollution in Air and Soil)

  • 변영우;황태윤;이중정;김창윤;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1호
    • /
    • pp.15-26
    • /
    • 1996
  • 환경오염의 생물학적 감시수단으로서의 비둘기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기 및 토양의 오염이 다르다고 생각되는 대구시 도심지의 도로변, 대구시의 공원과 경주시에서 비둘기를 포획하여 각 조직내 연농도를 측정하고, 그 장소에서 대기 및 토양내의 연농도를 측정하였다. 대기 중의 연농도는 대구시 도심지역이 $0.11{\mu}g/m^3$, 대구시 공원지역이 $0.05{\mu}g/m^3$, 경주시가 $0.03{\mu}g/m^3$을 대구시 도심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연농도는 대구시 도심지역이 $4.96{\mu}g/g$ 대구시 공원지역이 $2.65{\mu}g/g$, 경주시가 $0.01{\mu}g/g$로 대구시 도심지역이 역시 가장 높았다. 비둘기 조직내 연농도는 대구시의 도심지 도로주변에 서식하는 비둘기에서 위장을 제외한 간장, 폐장, 신장, 대퇴골, 혈액에서 대구시 공원 비둘기와 경주시의 비둘기보다 유의하게 높은 연농도를 보였으며(p<0.01), 비둘기의 조직내의 연농도는 세 지역 모두 대퇴골에서 가장 높았다. 비둘기의 각 조직 중 연농도와 대기 중 연농도는 대퇴골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외 위장을 제외한 간장, 신장, 혈액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토양 중 연농도도 대기 중 연농도와 마찬가지로 대퇴골에서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간장, 신장에서도 토양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장기별로 대기 중 연농도가 토양의 연농도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아 비둘기 조직내 연 축적은 소화기를 통한 흡수보다 호흡기를 통한 흡수가 더 주된 경로로 추측된다. 비둘기의 조직간의 연농도는 혈액과 신장간의 연농도의 상관계수가 0.4850,대퇴골과 폐장간의 상관계수가 0.4848, 대퇴골과 간장의 상관계수가 0.4842로서 유의 한 상관관계(p<0.001)를 보였으며, 그 외의 조직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대도시 중심지에서 서식하는 비둘기에서 위장을 제외한 모든 채집조직에서 대도시 공원이나, 중소도시에 서식하는 비둘기의 조직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은 연농도를 보였으며 이 세 곳에서 대기와 토양내의 연농도와 각각 비둘기 조직내의 연농도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오염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 가능한 동물 중 대도시에서 흔히 구할 수 있고 다른 동물에 비해 그 지역의 오염 정도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생리적, 행동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대기 및 토양 오염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 비둘기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선천성 흉벽질환의 교정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Chest Wall Defects)

  • 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1호
    • /
    • pp.161-170
    • /
    • 1987
  • Fifty-nine cases of congenital chest wall defects experienced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zed and the relevant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y are 52 cases of funnel chest, 3 cases of pigeon breast, one case of superior sternal fissure, one case of costochondral incurvation, one case of Cantrell`s pentalogy, and one case of Poland`s syndrome. Funnel chest affected males more frequently than females by 44 to 8. All of the funnel deformities were corrected by Ravitch operation or its modification except one which was the first case of this series and was corrected by a sterno-turnover. Two cases required a mechanical ventilation for 3 days and 5 days respectively. Four minor complications which were two cases of skin wound infection and 2 cases of fluid accumulation were noted. Skin would infection was repaired by a secondary closure and fluid accumulation was treated by aspiration only. The result are all excellent without recurrence or reoperation. In 3 cases of pigeon breast, they were treated by subperichondrial resection of all of the involved costal cartilages and shortening their course with reefing sutures in the perichondrium with excellent result. The superior sternal fissure which was combined by a ventricular septal defect was treated by a simple wire closure with a good result. The costochondral incurvation was corrected by subperichondrial resection of deformed cartilages and a rib graft removed from the contralateral normal side. The Poland syndrome and the Cantrell`s pentalogy was already presented previously.

  • PDF

다항 로짓 회귀모형에서의 그룹화 전략을 이용한 적합도 검정 방법 비교 (Comparison of Goodness-of-Fit Tests using Grouping Strategies for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Model)

  • 송미경;정인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6호
    • /
    • pp.889-902
    • /
    • 2013
  •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다항 로짓 회귀모형의 적합도 검정 방법들에 대하여 저자들이 제안한 방법들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러 검정 통계량들 중 그룹화 전략을 이용한 통계량들 (Fagerland 등, 2008; Bull, 1994; Pigeon과 Heyse, 1999)을 선정하였고, 이러한 통계량의 기반이 되는 피어슨 ${\chi}^2$ 통계량 또한 같이 비교하였다. 제안된 분포가 모의실험의 상황 하에 얻어지는 귀무분포와 유사한지, 그리고 부적절한 모형의 판별을 적절히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실제 자료에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Prevalence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occidian Parasites from Wild Animals with Diarrhea in Jeonbuk Province, Korea

  • Myeongsu Kim;Phyo Wai Win;Yoonhee Kim;Seulgi Gim;Haerin Rhim;Jae-Ik Ha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9-196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genetic diversities of Eimeria spp. detected from wildlife.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1, molecular analysis was conducted for Eimeria spp. detected from wildlife rescued in Jeonbuk province, Korea. Polymerase chain reaction targeting 18 s rRNA gene for Eimeria spp. detected from 8 domestic pigeon (Columba livia domestica), 1 Oriental turtle dove (Streptopelia orientalis), 1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1 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1 Moorhen (Gallinula chloropus), and 1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was conducted for phylogenetic analysis. Domestic pigeon and Oriental turtle dove were bound to the same cluster. In addition, carnivorous Eurasian eagle owl and poultry were bound to the same clus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imeria spp. can be shared between similar species regardless of species along the food chain, suggesting that wild birds could be carriers of Eimeria spp. in Korea.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깃털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Feathe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이상희;김명진;이유진;한아름;심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92-504
    • /
    • 2014
  • 집비둘기는 도시지역에서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축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집비둘기 알은 생물 자체를 죽이지 않고도 생물축적의 경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료로서 유용하다. 하지만 알은 유기 오염물질 축적은 잘 되는 반면, 납, 카드뮴 같은 특정 중금속은 저농도로 축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금속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을 위해 대체 시료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비둘기의 세척깃털을 이용하여 중금속 축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도시지역인 서울 한강공원과 농촌지역인 함평군 함평공원을 대상으로 2013년 4월~5월에 집비둘기 개체 포획 및 알 채집을 실시하였고, 생체 조직, 세척깃털, 알의 중금속 5종(Pb, Cd, Total Cr, Ni, As)에 대한 축적 농도를 분석하였다. 중금속 5종의 생체 조직 내 축적 특성을 보면, 납(Pb)과 카드뮴(Cd)은 나머지 3종(Total Cr, Ni, As)에 비해 생체 조직 내 축적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납은 다른 중금속에 비해 지역 간 비교에서도 두드러진 농도 차이를 보였는데, 뼈, 간, 혈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농촌지역인 함평공원보다 도시지역인 한강공원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깃털에서도 나타났다. 알 시료(알 내용물, 껍데기)는 깃털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로 납이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깃털 중에서는 꼬리깃과 날개깃이 각각 신장 및 뼈 조직의 납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금속 배출경로 요소(깃털, 알, 배설물 등) 중 하나인 깃털로 축적되는 납 농도는 다른 요소(예: 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환경 오염요소(대기, 토양, 먹이 등) 내 납 농도가 서로 차이나는 지역들 내의 집비둘기의 생체 축적농도 차이를 깃털이 어느 정도 반영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알 껍데기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Eggshell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박종혁;이유진;심규영;김명진;신영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6호
    • /
    • pp.561-5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알 껍데기 시료의 중금속 축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알의 중금속 축적을 연구한 자료들을 정리하여 알 껍데기와 내용물의 축적특성을 비교 검토한 후 집비둘기 알 껍데기의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집비둘기(Columba livia)를 포함한 19종의 조류 알을 대상으로 카드뮴(Cd) 등 8종의 중금속 축적농도를 검토한 결과, 알 껍데기 중금속 농도의 변동계수(표준편차/평균)는 알 내용물에 비해 대체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알 내용물 속 배(embryo)가 중금속 독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생리적 항상성 통제기작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해 알 껍데기는 서식환경 등에 따라 중금속 축적 변동이 알 내용물보다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서식환경에 따른 중금속 축적 변동을 알 내용물보다는 더 적절히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집비둘기 알 껍데기가 체내 장기 조직 등의 유해 중금속(납, 카드뮴) 축적농도 패턴을 반영하는 지를 검토한 결과, 도심지역 한강공원이 체내 장기 조직 등에서 농촌지역인 함평공원보다 높은 납과 카드뮴 축적농도를 보였고, 이러한 차이는 알 껍데기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알 내용물에서는 지점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 내용물 속 배(embryo)의 안전한 발달을 위해 중금속 축적을 통제하는 항상성 기작이 알 내용물에 더 강화되어 나타나는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알 껍데기가 서식환경에 따른 중금속 축적 변동을 알 내용물보다는 더 적절히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Immune response and efficacy of pigeon pox virus vaccine and fowl pox virus vaccine in chickens

  • Shil, Niraj Kanti;Rahman, Md Siddique;Hossain, M.T.;Islam, M.T.;Rahman, M.M.;Islam, K.B.M. Saiful;Cha, Se-Yeoun;Jang, Hyung-Kwan;Song, Hee-J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7-503
    • /
    • 2007
  • The humoral immune response of chicken vaccinated with fowl and pigeon pox virus vaccines was determined with the protective potentiality of the two vaccines in field condition of Bangladesh. Different aged Fayoumi chicks were subjected for the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 with better immune response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average percentage of 'take reaction' was examined and recorded to 97.77% in group A, 93.33% in group B and 100.0% in group C. The level of immune status induced by different vaccinated group was measured by passive hemagglutination (PHA) microplate test method. The mean PHA titer levels after primary vaccination were $33.06{\pm}14.13$ in group A, $32.0{\pm}14.81$ in group B, and $33.0{\pm}13.66$ in group C. Following booster vaccination, the mean PHA titer levels in prior of challenge were increased to $55.46{\pm}14.64$ in groups A and C, and $46.93{\pm}16.52$ in group B. The recorded PHA titer levels of each group at two weeks after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106.66{\pm}31.22$, $93.86{\pm}33.04$ and $110.93{\pm}29.29$, respectively. The PHA titer levels after vaccination and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pre-vaccination titer levels (P<0.01). Although the PHA titer levels among three groups administrated different vaccine combinations in prior of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varied (P<0.01), it was observed that all of the vaccinated chicks were highly protected against challenge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