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anis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Biomechanical Analysis with the Force of Deltoid Muscle for Pianist

  • Shin, Dong-Ok;La, Seung-Houn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4권1호
    • /
    • pp.27-31
    • /
    • 2005
  •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the chair and the force of deltoid muscle for pianist. The subject simulated playing the piano on the three different heights of the chairs. Digital camera was used to determine the angle of the joint of shoulder and elbow for 2-dimensional static link segment modeling in the sagittal plane. The deltoid, biceps and triceps muscles we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muscle load. The results, compared to the force of deltoid muscle, are that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higher chair produces significantly large force than the other two lower chairs. It can be caused by hunched shoulder with decreasing deltoid angle. In case of the upward position caused by the lower chair, even though the smallest force of deltoid presented, it was increased the force of elbow.

컴퓨터지원 피아노 연주과학 (Computer-Supported Piano Performance Science)

  • Roh, Kyeong Won;Eum, Hee Jung;Kim, Hee-Cheo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738-1741
    • /
    • 2019
  • Music performance techniques have been primarily trained by apprenticeship. The technique transfer, which relies on the imitation of experience and actual performance without scientific evidence, required the pianists more time and effort than necessary. However, if the players in the field discover the principles of universally applicable piano playing techniques in collaboration with scientists, they will avoid errors and prepare a new paradigm in the development of piano playing techniques. This is why music performance science is needed.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it in Korea, but it has been activated abroad since the mid-1990s. The core science of music performance science is expected to be computer science fitting data analysis. In this paper, we introduce music performance science for the pianist and present how computer can help it.

<노다메 칸타빌레>의 내러티브 구조와 기호학적 분석 (A semiotic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 in )

  • 권재웅;최세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7호
    • /
    • pp.127-151
    • /
    • 2012
  • <노다메 칸타빌레>는 클래식 음악을 다룬 장르만화이다. 만화가 니노미야 도모코에 의해 2001년부터 연재가 시작되어 2009년 10월까지 총 23권으로 출간된 이 작은 노다메 신드롬이라고 불릴 정도의 각광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노다메 칸타빌레>라는 음악 장르를 대상으로 한 만화에서 나타난 내러티브 구조의 특징을 기호학적 모델을 통해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내러티브 구조는 먼저 그레마스가 제시한 세 가지의 시련과정을 통해서 이야기의 흐름이 어떻게 주어져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행위자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 모델을 적용하여 이야기 구성의 행위자들이 어떻게 배치되어있는 지와 행위자들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의미 구조가 어떻게 생성되어있는 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에 따르면, 만화에서 클래식 음악에 대한 사회적 담론으로 채택된 것은 천부적 재능과 도제식 교육방식의 관계이다. <노다메 칸타빌레>는 천부적 재능의 발현을 가로막는 대립 항으로 도제식 교육을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실 세계를 주도하는 음악 교육의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견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피아니스트>의 억압과 자유의 상징 연구 (A Study on Symbols of Suppression and Liberty in the Movie )

  • 최일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51-159
    • /
    • 2016
  • 본 연구는 문학의 언어적 표현이 영화에 어떻게 재현되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문학작품이 영화화될 때의 표현방법과 그 미적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옐리넥의 "피아노 치는 여자"와 이를 원작으로 한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영화 <피아니스트>를 분석하였다. 원작은 엄마의 감시와 통제 하에 살아온 에리카의 삶을 언어로 섬세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영화 <피아니스트>의 주제 또한 통제하는 엄마와 그런 억압 속에서 살아 온 주인공 에리카의 욕망의 충돌이다. 영화는 이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이미지 요소를 사용했다. 엄마로 지칭되는 억압의 세계는 닫힌 공간, 어두운 공간으로 표현되었고 발터로 지칭되는 에리카의 외부세계, 즉 욕망의 세계는 열린 공간, 환한 공간으로 표현되었다. 감옥 같은 이중문, 철창, 검은색, 그늘로 상징된 통제의 세계에서 살아 온 에리카의 삶은 비정상적으로 뒤틀려있다. 피아니스트인 그녀의 삶에 가장 중심이 되었을 피아노 또한 억압의 그늘진 세계의 상징으로 표현되었다.

환경과 의식의 재조정을 통한 생명지속성의 비전 -카렌 헤세의 『모래폭풍을 지나며』 (The Vision of Sustainability through the Readjustment of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Karen Hesse's Out of the Dust)

  • 이정희
    • 영어영문학
    • /
    • 제56권2호
    • /
    • pp.383-408
    • /
    • 2010
  •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positive, ecological vision of sustainability in Karen Hesse's Out of the Dust that Billie Jo Kelby recovers herself through her readjustment of interior consciousness and outer environment in her tragic situations caused by the Dust Bowl. In spite of her desires for happiness and affluence of home, she loses her mother and brother, and her musical talent as a pianist, and lies in self-abandonment. But she finally raises up herself with her courage and patience, reconciliating with the nature and ameliorating the community by taking care of the devastated landscapes. Hence it is appropriate to approach the loss-recovery process of nature and consciousness with ecological solutions, The Dust Bowl breaks down human mind and body, and eventually leads to the situations of despairs and death. Hesse proposes the primary solution that humans should reconstruct their interior consciousness and participate in recovering the nature because humans are inevitably linked with nature. In this novel, the nature takes a dynamic and active role as a catalyst, reconciling the self with other humans and settling with the conflicting situations in history and culture. This verse novel as an active, self-ordering, and corrective process gives the more intense ecological message. As Hesse defines the setting of Dirty Thirties as a channel of energy, she creates the utmost effects of ecological process that human and environment are part of a total situation, representing the transactional formulation, each conditioned by conditioning to the other. Therefore Billie Jo takes her part as an interpreter and actualizes herself, understanding the nature with metaphor and symbol. Eventually Billie Jo realizes that she should rebuild her environment not out of the dust but in the dust, accepting the reality of Dust Bowl.

영화 ≪그린북≫에 나타난 인종주의와 토의를 통한 해결 방안 (Racism in the movie ≪Green Book≫ and solutions through discussion)

  • 박주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59-16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그린북≫에 나타난 인종주의를 살펴보고 학생들과 토의를 통해 인종차별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영화는 1962년 미국을 배경으로 인종차별 사회 속에서 흑인 피아니스트 셜리 박사와 운전기사 토니와 좋은 유대를 맺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2021년 2학기 S 대학교 글로벌 시대의 인문학 수업시간에 다룬 주제 중 하나인 인종 주제를 활용하였다. 왜냐하면 인종주의가 발생한 이래로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끊임없는 인종차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이론적 배경으로 인종주의와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영화에 나타난 인종차별 사례와 현재 발생한 인종차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인종주의 차별 역사는 중세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종교적 갈등으로 발생하였고 백인 우월주의에 기인하였다. 이 인종차별 해결방안으로 국제기구는 상호문화교육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영화를 활용한 이유는 인터넷과 함께 태어나고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불리는 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관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토의를 활용하여 인종차별에 대한 학생들의 해결책을 제시한 후에 연구자의 해결 발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