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ene synthas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Transcript accumulation of carotenoid biosynthesis genes in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PCC 6803 during the dark-to-light transition is mediated by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 Ryu, Jee-Youn;Song, Ji-Young;Chung, Young-Ho;Park, Young-Mok;Chow, Wah-Soon;Park, Youn-Il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2호
    • /
    • pp.149-155
    • /
    • 2010
  • Expression of the genes for carotenoid bio-synthesis (crt) is dependent on light,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underlying mechanism of light sensing and signalling in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PCC 6803 (hereafter, Synechocysti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light-induced increase in the transcript levels of Synechocystis crt genes, including phytoene synthase (crtB), phytoene desaturase (crtP), ${\zeta}$-carotene desaturase (crtQ), and ${\beta}$-carotene hydroxylase (crtR), during a darkto-light transition period. During the dark-to-light shift, the increase in the crt transcript levels was not affected by mutations in cyanobacterial photoreceptors, such as phytochromes (cph1, cph2 and cph3) and a cryptochrome-type photoreceptor (ccry), or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omponents NDH and Cyd/CtaI. However, treatment with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inhibitors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accumulation of crt gene transcripts. Therefore, the light induction of the Synechocystis crt gene expression is most likely mediated by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rather than by cyanobacterial photoreceptors during the dark-to-light transition.

비타민 A 강화벼 급이가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의 살충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Lissorhoptrus oryzophilus Fed on Carotenoid-Biofortified Rice Variety)

  • 오성덕;이기종;박수윤;류태훈;김재광;손수인;김진서;하선화;박종석;안병옥;조현석;서상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6-292
    • /
    • 2012
  • 비타민A 강화벼와 낙동벼의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에 대한 성충 전용살충제 Clothianidin 액상수화제의 살충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비타민A 강화벼에서 72시간-$LC_{50}$은 유효농도 0.018mg/L (95% 신뢰한계는 0.013~0.023mg/L)이었으며, Bt벼의 모본으로 대조로 사용한 낙동벼의 72시간-$LC_{50}$은 유효농도 0.021mg/L(95% 신뢰한계는 0.016~0.026mg/L)이었다. 72시간-$LC_{50}$은 낙동벼에서 다소 높았지만, 해충저항성 Bt벼 72시간-$LC_{50}$이 낙동벼의 95% 신뢰한계 내에 포함되어, 두 품종의 $LC_{50}$값에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베타카로틴강화미 발현단백질에 대한 항원성연구 (A Study on Antigencity (Immunotoxicity Study) to the Expressed Proteins of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 박수진;정미혜;장희섭;오진철;박경훈;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297
    • /
    • 2011
  • 베타카로틴강화미에 삽입된 발현단백질 PAT, 2A, CtrI, PSY의 안전성평가의 일환으로 항원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현단백질 PAT 고농도 투여군에서 총백혈구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나, 다른 발현단백질 간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나필락시스쇼크반응에서는 발현단백질 PAT 고농도 투여군에서 경미한 또는 중등정도의 증상이 나타냈으나 사망 개체는 없었다. 수동아나필락시스반응시험결과, 발현단백질 PAT, 2A, PSY 및 혼합 고농도투여군의 낮은 항혈청농도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고, 혼합 임상농도 투여군에서는 경미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발현단백질 PAT, 2A, PSY, CtrI 임상농도 투여군에서는 양성반응을 보이지 않아 IgE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베타카로틴강화미의 안전성 입증을 위해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