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qualitie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5초

효모에 따른 참다래 'Hayward' 와인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Hayward' Kiwifruit Wine Fermented by Different Yeast Strains)

  • 도코삭;박양균;박용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4-181
    • /
    • 2010
  • 참다래로 만든 'Hayward' 와인 제조에 적합한 효모 선발을 위해서 3종의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용된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Gervin No.5 strain (GVN), S. bayanus Lavin strain EC1118 (EC1118), 그리고 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796 (No.796)은 와인 발효에 가장 적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효모이다. 이 세 효모에 의해 발효된 샘플의 당도 함량은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나, 알코올 생산량만 발효 첫 주에 큰 차이가 있었다. 효모중 GVN이 13.8%로 알콜농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No.796과 EC1118은 각각13.0%와 12.5%로 상대적으로 알콜함량이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GVN은 높은 산과 높은 알콜함량을 가지고 있고, 강한 풍미와 쓴맛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No.796은 GVN과 유사하지만 낮은 알콜함량과 함께 단맛이 있었다. EC1118은 높은 풍미, 단맛과 낮은 알콜함량으로 부드러운 맛으로 평가되었다. EC1118에 의해 발효된 와인 의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은 다른 효모보다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EC1118이 최적의 효모로 선발되었다. 다른 2종의 효모를 사용한 참다래 발효 와인은 각각 다른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EC1118효모는 참다래 발효에 가장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과 같은 건강기능성과 높은 관능적 기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완숙 토마토의 첨가가 배추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ded Ripened Tomato on the Quality of Baechukimchi)

  • 문성원;박정은;장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8-688
    • /
    • 2007
  • 완숙 토마토가 배추김치의 맛과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추김치에 대한 완숙 토마토의 첨가량을 0, 10, 20, 30%(w/v)로 하였고, $10^{\circ}C$에서 28일간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적 특성 평가 결과, 기호 특성에서는 색, 신냄새, 조직감, 탄산미, 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20%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강도 평가에서는 신냄새와 신맛은 대조구가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조직감은 발효 초기부터 발효 11일까지는 30% 첨가구가, 발효 21일 이후에는 20%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취는 발효 14일 이후에 대조구가 계속 높은 점수를 보였다. pH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초기에 약간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효 7일에서 17일 사이에 대조구의 pH가 가장 낮았다. 총 산 함량은 발효의 진행과 함께 증가하였는데, 발효 4일에서 7일 사이에 대조구의 총 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발효 7일에서 21일 사이에 20% 첨가구가 가장 적은 총 산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의 진행과 함께 모든 첨가구에서 점차로 감소하였고, 완숙 토마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발효 말기까지 환원당 함량이 많게 나타났다. 총비타민 C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초기에 약간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발효 말기까지 완숙 토마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총비타민 C함량을 보였다. 총 균수와 젖산균수는 비슷한 경향으로 대조구는 발효 7일에 최대 균수를 보인 후 점차로 감소하였고, 10%, 20%와 30% 첨가구는 발효 14일에 각각 최대 균수를 보인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조구에 비해 완숙토마토 20% 첨가가 배추김치의 발효 숙성을 조절하여 맛, 냄새와 조직감을 향상시켜 기호도를 좋게 하였고, 적은 총 산 함량과 많은 환원당과 총 비타민 C함량을 보였고, 최대 균수에 도달되는 시기를 7일 연장하였다.

  • PDF

다양한 유청제품인 WP, WPC 34, WPC 80, DWP, LP를 Soymilk에 첨가하여 제조된 Mozzarella Cheese Analogue의 저장 중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Quality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s Prepared from Soy Milk with WP, WPC 34, WPC 80, DWP, or LP during the Storage Period)

  • 진우승;송광영;서건호;윤여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35-4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zzarella cheese analogues by using dairy products in the form of WPC 34, WPC 80, whey protein, demineralized whey powder, and lactose powder along with soy milk. Soy milk was separately blended with 5% WPC 34 (A), WPC 80 (B), DWP (C), WP (D), and LP (E) and also with 10% WPC 34 (F), WPC 80 (G), DWP (H), WP (I), and LP (J). Blending of soy milk and whey products showed that increase in the proportions of whey products (WPC 34, WPC 80, DWP, WP, and LP) led to increase in the protein, lactose, and SNF levels of the admixture. A decrease in fat content was observed for all cheeses prepared from mixtures, relative to those for the control cheese. The nitrogen content within analogue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cheese and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roportions of whey products within soy milk. Higher water soluble nitrogen levels were observed in cheese prepared from whey-product-blended soy milk than in the control cheese. The non-protein nitrogen level within the control Mozzarella chee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Mozzarella analogues, and, in the case of cheese analogues, it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hey products in soy milk. With regard to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the Mozzarella cheese analogues and control cheese, the pH of all analogue samples, with the exception of the cheese prepared from group G,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Mozzarella cheese. Rheological studies showed that the hardness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Mozzarella, while the elasticity,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of the analogues was higher. The control sample had a higher meltability level than any of the Mozzarella analogues. Mozzarella cheese pre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had higher browning and stretching levels than all the cheese analogues, but a lower oiling-off level.

  • PDF

고산소 환경기체조절 포장조건에 따른 설향 딸기의 저장 중 품질변화 (Storage Quality of Sulhyang Strawberries as Affected by High O2 Atmosphere Packaging)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1-198
    • /
    • 2013
  • 신선한 딸기 상품의 유통, 판매 중 부패억제 및 품질유지를 위한 고산소 환경기체조절 포장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설향 품종의 딸기를 대상으로 다양한 산소농도 조건을 적용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밀봉한 후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와 미생물 생균수를 살펴보았다. 고산소 조건에서 딸기의 호흡률은 $O_2$ 함량이 높을수록 $O_2$ 소비율은 증가하지만 $CO_2$ 생성율은 크게 다르지 않은 비정상적인 호기호흡이 일어났다. 저온저장 중 포장 내부의 기체조성은 $O_2$의 경우 초기 $O_2$ 농도가 높을수록 저장 중 높게 유지되었으나 $CO_2$$O_2$ 농도에 상관없이 고농도로 축적되었다. 딸기의 품질인자 가운데 생체중량은 대조구인 통기 포장구에서만 3.0% 이상 감소하였고 기체조성에 상관없이 밀폐 포장구에서는 1% 이하로 유지되었다. 과육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경도, 과피 표면색 변화에서도 산소농도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한편, 통기 포장구에서는 곰팡이 발생률이 높았던 반면 병원성 미생물의 생균수가 가장 낮았고, 짓무름 현상이 많았던 밀폐 포장구에서는 통기 포장구와 상반된 미생물 동태 양상을 나타내었다. 딸기의 외관 변화는 저장 6일까지 40%, 60% $O_2$의 고산소 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PE 밀봉포장구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고, 전반적으로는 저장 중 6-15% 저산소와 7-9% 고이산화탄소의 MA 조건이 형성된 PE 필름포장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고산소 조건의 차단성포장보다는 딸기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땅두릅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 - 비타민C, 환원당, 총 클로로필, 식이섬유, 총 수용성고형분 -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ore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 - Vitamin C, Reducing Sugar, Total Chlorophyll, Dietary Fiber, Total Soluble Solid -)

  • 한귀정;신동선;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0-3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인 김치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땅두릅에 적용하여 땅두릅 김치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 김치는 절임 시 0.3% CaCl$_2$ 용액을 첨가 및 양념을 달리하여 화학적 특성을 조사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총 비타민 C의 변화는 저장초기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숙성 적기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후기에는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CaCl$_2$ 용액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제조 당일 8.4${\sim}$9.3 mg/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하여 숙성이 진행 되면서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CaCl$_2$ 용액 처리구 및 양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클로로필도 환원당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는 반면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직의 변화가 더디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땅두릅 김치는 화학적으로 우수함이 확인 되었으며 절임 시 조직연화 방지를 위해 0.3% CaCl$_2$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화학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식품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파 열매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 최규원;이준기;조현주;이권재;윤진아;안정희;정강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75-982
    • /
    • 2013
  • 비파열매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비파열매를 각 각 1%, 3%, 5%, 7%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 3일에 pH가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pH는 3.91~4.05였다. 총 산도는 담금 직후 발효 3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서 비파를 첨가함에 따라 총 산도가 증가되었고 발효 15일에는 0.71~0.76%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비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았으며 발효 15일에는 0.13~0.22%로 나타났다. 총당과 환원당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에 비해서 비파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코올은 발효 15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비파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총균 및 효모수는 모든 시험구가 발효 3일째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후 5일째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평가결과는 종합적 기호도가 비파 3% 첨가군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막걸리의 관능적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식품 첨가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파의 이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비트 첨가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Beet Addition on the Quality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양유진;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38-543
    • /
    • 2005
  • 본 연구는 비트의 첨가 비율을 달리한 미국인 선호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숙성하면서 pH, 산도, 환원당, 색도, 경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젖산균수 등 미생물학적 특성 그리고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비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반면 산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초기 비트 $3\%$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젖산균 수 또한 비트 $3\%$ 첨가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숙성이 될수록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하였으며, 비트 $1\%$ 첨가군의 적색도가 한국 표준김치의 적색도와 아주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비트 첨가량이 적은 군이 많은 군보다 조직감이 좋았다. 관능검사에서는 비트 $1\%$ 첨가군이 외관, 향, 맛, 질감 등의 전반적인 관능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한 한국의 음식에 익숙하지 않은 미국인들은 숙성된 김치보다 생김치 상태의 것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미국인 선호김치에 비트를 첨가함으로서 적색도가 증가되어 김치 색상의 문제점이 개선되고 관능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때 비트를 $1\%$ 첨가하는 것이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우육포의 유리아미노산 및 Dipeptide 함량, 물성 및 관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d Dipeptide Contents,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Sensory Property of Beef Jerky Manufactured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남기창;조철훈;이경행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6-802
    • /
    • 2012
  • 육포 제조시 건조방법을 양건, 음건 및 열풍건조방법으로 하여 제조하였을 때의 맛과 관련된 유리아미노산, dipeptide, 지방산 조성의 차이 및 색상, 조직감 및 관능적 차이를 분석하여 정미성분에 따른 최적의 건조 조건을 검토하였다. 양건한 육포에서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77.45 mg/100 g이었으며 음건은 206.43 mg/100 g, 열풍건조의 경우, 111.88 mg/100 g으로 건조 방법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차이가 많았으며 양건에 의한 건조가 가장 많은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dipeptide의 총 함량은 음건이 2,904.73 mg/100 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양건, 열풍건조의 순이었으나 열풍건조의 경우, 양건 및 음건한 육포에서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세 건조방법 모두 유사한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색도의 경우, 명도는 열풍건조시 감소하였고 적색도에서는 양건이 높은 값을 보였으며 황색도에서는 음건한 육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에서는 열풍건조 제품보다 양건과 음건에서 낮은 전단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열풍건조한 육포가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고 양건과 음건한 육포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육포 제조시 이화학적 품질 특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양건 또는 음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Sex and Breed on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in Three-way Crossbred Pigs Sired by Duroc or by a Synthetic Breed Based on a Korean Native Breed

  • Kim, Yong Min;Choi, Tae Jeong;Cho, Kyu Ho;Cho, Eun Seok;Lee, Jung Jae;Chung, Hak Jae;Baek, Sun Young;Jeong, Yong D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44-55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reed and sex on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loin in three-way crossbred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LYD) and $Landrace{\times}Yorkshire{\times}Woori$ (LYW) black pig synthesized by Korean native breed. Carcass traits did not differ by breed.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were higher in castrates than in gilts (p<0.01). LYW showed significant high values in fat content, cooking loss, and water-holding capacity (WHC) than LYD (p<0.05).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meat were higher in LYW than in LYD (p<0.01). Further, LYW had lower pH and shear force than LYD (p<0.001). Significant high scores in color and flavor were obtained in LYW or gilts compared to LYD or castrates by sensory panel, respectively (p<0.05). However, other sensory traits did not differ by breed or sex. Capric acid (C10:0) was higher in LYD than LYW (p<0.001). However, stearic acid (C18:0) and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s were higher in LYW than LYD (p<0.05). Eicosenoic acid (C20:2) and the n6/n3 ratio were higher in gilts than in castrates, whereas SFA content was higher in castrates than in gi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rtain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meat and sensory properties are improved in LYW compared to LYD.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on meat quality of crossbred pigs with Woori black pig as a terminal sire.

열처리가 오이지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 최희숙;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5-850
    • /
    • 1989
  • 본 연구는 오이지를 발효시킬 때 열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오이를 높은 온도의 소금물에 담금과 생오이를 microwave로 가열처리한 뒤 $25^{\circ}C$에서 10일간 10% 소금용액에 넣어 발효시켰을 때 pH, 총산도, 텍스쳐 및 관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초기 절임온도를 $60-90^{\circ}C$로 하였을 때 pH의 감소경향은 60-70-표준시료 $-80-90^{\circ}C$순으로 감소속도가 점점 낮아져 $80-90^{\circ}C$에서의 담금이 오이지의 숙성을 현저히 지연시켰으며 산의 생성은 $70^{\circ}C$가 가장 많고 $90^{\circ}C$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 오이의 견고성은 발효 4일째부터 $80-90^{\circ}C$ 처리구가 높았다. 생오이에 microwave 열처리함은 오이지 담금액의 pH 변화가 발효 2일부터 표준시료보다 빠르게 밀어져 모든 microwave 처리구가 비교 적 낮은 pH값을 보였으며 산생성도 2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무처리구보다 많은 양의 산이 생성되어 발효가 촉진되었다. 한편 텍스쳐 변화는 4일 이후 2-3분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 생오이의 microwave 열처리는 발효를 촉진시켰으나 텍스쳐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성질의 평가는 7일 경과한 오이지를 비교하였을 때 열수에 담금과 micorwave에 의한 열처리는 맛이나 냄새에 큰 영향이 없이 사각사각한 성질이 높게 나타나 오이지 텍스쳐의 연화현상을 감소시키는데 유익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