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character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후박(厚朴)의 외.내부형태 및 이화학패턴연구 (A Study of Morphology and Pattern Analysis in Magnoliae Cortex)

  • 이금산;김정훈;최고야;강대훈;황성연;정승일;김홍준;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29
    • /
    • 2008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standards for discrimination of Magnoliae Cortex, the experiment of specific external-internal characters and the physicochemical pattern analysis were performed. Methods: External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using a stereoscope. Paraffin-mediated sectioned materials were stained by Ju's method. Physicochemical patterns of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HPLC. Results: 1. Botanical characteristics: Magnolia officinalis had one seed and a white flower, while M. obovata had two seeds and a white flower. Machilus thunbergii had berry and spherical fruits and yellowish green panicles. 2. External characteristics: M. officinalis and M obovata were dark and thick. M. officinalis was gray brown and greasy while M. obovata was light-gray, less oily and smoothly sectioned. Machilus thunbergii was thin and relatively light or yellow-brown, coarsely sectioned and faintly specific scents. 3. Internal characteristics: The bast parts of M. officinalis and M. obovata were commonly wider than Machilus thunbergii The cork cortex of M. officinalis was $10{\sim}mg/L$ cell layers with many oil cells, while that of M. obovata was $4{\sim}7$ cell layers with less oil cells. Machilus thunbergii's xylem which consisted of ring-shaped cambium at 1st and 2nd part was occupied in large portion. 4. Physicochemical pattern: Both M. officinalis and M. obovata involved honokiol and magnolol. All kinds of M. officinalis involved Magnatriol B but one kind of M. ovobata and all of Machilus thunbergii didn't. Machilus thunbergii showed different pattern of chromatogram from that of 2 species above.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standards for discrimination of Magnoliae Cortex and as the method of objectification in medicinal herbs giving the basic resource for bioactivity research.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s of Ultra Violet Ray Resistant Deinococcus sp. Isolated from Air Dust

  • Nalae, Yun;Lee, In-Jeong;Lee, Young-Nam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83-487
    • /
    • 1992
  • Among a few number of UV-resistant isolated form various environmental sources (10), we made a comparative physio-chemoanalytical study on one of spherical bacteria isolated from air dust, presumably Deinococcus sp. (CM strain 29) with an UV resistant bacterium, Deinococcus radiophilus ATCC 27603 as the reference strain. Our isolate of UV resistant coccus, Deinococcus sp. CM 29 and D. radiophilus ATCC 27603 showed more than 75% matching coefficient in metabolic activity of various substrates. The most predominant cellular fatty acid of both strains was palmitoleic acid (C 16 :1, cis 9), but the detail fatty acid profiles were slightly dissimilar to each other. Cell-bound arange pigment seemed to be an identical chemicals on spectrophotometric analysis. L-ornithine was detected as cell-wall amino acid in both strains. Galactose was detected as cell-wall sugar in D. radiophilus ATCC 27603, whereas glucose in Deinococcus sp. CM 29. G-C molar ratio of both strains was comparable, 63-65%.

  • PDF

Elastase Inhibitor 생성 방선균의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Producing Novel Elastase Inhibitor)

  • 이병규;강희일;이계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5-231
    • /
    • 1997
  • Elastase 저해물질(EI) 생성균주로 토양분리주 SMF-11을 선별하였다. 분리주 SMF-11는 매끈한 표면의 rectiflexible 및 spiral의 포자 사슬을 동시에 형성하고 세포벽 성분으로 LL-DAP, ios- 및 anteiso-fatty acid($C_{14}-C_{17}$), 세포벽 아미노산으로 alanine, glutamic acid, glycine을 가지고 있어 방선균속으로 분류되었다. 종 수준의 동정을 위하여 화학적 시험과 50가지의 단위형질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TAXON program으로 수리분류한 결과, SMF-11 분리주는 방선균 주군집 61의 중심균주인 Streptomyces lavendulae로 동정하였다.

  • PDF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Mixed Ratio of 4 Types of Soil Amendments Used in Golf Course)

  • 김영선;함선규;임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0
    • /
    • 2010
  • 본 연구는 코스조성에 주로 사용되는 4종의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모래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토의 물리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peat, humate, peatmoss 및 zeolite는 pH와 CEC에서 고도의 상관성(P<0.01)을 나타내어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상토의 토양화학성에 영향을 주었다. 상토의 토양물리성 결과를 통해 USGA 기준으로 평가할 때, 최적의 혼합비율은 토양개량제 peat, humate 및 peatmoss는 각각 5%, 3%, 7%이고, zeolite에서는 적합한 비율을 찾을 수 없었다. 각 토양개량제들의 혼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비모세관공극으로 총공극과 수리전도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개선효과를 비교할 때, peat와 peatmoss는 토양 모세관공극 및 수리전도도에서, humate는 수리전도도에서, zeolite는 비모세관공극과 총공극에서 고도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해 골프코스의 상토조성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의 종류와 특성 및 혼합비율이 USGA 상토의 근권층 개량과 토양 이 화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규모 GM포장에서 형질전환벼의 유전적 안전성 비교 (Comparison of the Genetic Safety of Transgenic Rice in a Large-scale Field Study)

  • 이현숙;이기환;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73-1179
    • /
    • 2012
  • 이 연구는 GM 벼와 모품종인 '낙동' 및 일반품종을 대조구로 작물학적인 생육특성 및 재배환경에 대한 미립의 특성, 시험구 잡초를 대상으로 우점잡초종의 빈도와 유전자 전이 정도를 2009년에서 2011년까지 조사하였다. 작물학적인 생육특성에서 GM 벼와 모품종인 '낙동'은 간장, 수장, 수수의 초형은 년차간 차이가 났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미립 특성에서 GM 벼와 모품종인 '낙동'은 미립의 길이, 폭, 두께 및 천립중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미립의 화학적인 특성분석에서 모품종인 낙동에 비해 GM 벼가 저아밀로스이며, 재배환경에서 두 시험구의 미립이 GM 필드보다 온실의 미립이 저아밀로스 양상을 보였다. GM 시험구내 미립의 배유 종피색 달관조사에서 GM 벼의 카로티노이드 색상인 노란 종피색은 세대가 진전되어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었지만, GM 온실에서 재배된 GM 벼 미립은 심복백 비율이 높아져 미립의 투명도 차이가 있었다. 농생태계에서 잡초 특성은 GM 시험구내 GM 벼와 모품종인 '낙동'은 각 년차별 우점 잡초종과 빈도는 또한 유사한 경향이었다. GM 시험구내 GM 벼와 모품종인 '낙동'의 우점 잡초군은 전 생육시기별, 년차별로 지속적으로 GM 벼와 경합하는 양상이었다. GM 필드의 우점 잡초종의 유전자 전이 정도를 PCR 분석한 결과 우점 잡초종에 증폭이 되지 않아 유전자 전이 발생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에스테르화 라아드가 파이 껍질 제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esterified Lard for the Preparation of Pie Crust)

  • 김명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1-255
    • /
    • 1992
  • 라아드의 가소성 영역을 확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무작위 에스테르교환을 이용하여, 에스테르화 라아드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파이제조용 유지에 대한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에스테르화 전후의 라아드의 지방산 조성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조성은 변화가 없었다. 라아드는 에스테르화에 의하여 SFI $5{\sim}25$의 온도범위가 $18{\sim}29.5^{\circ}C$에서 $13{\sim}30^{\circ}C$로 변화하여 저온의 범위가$5^{\circ}C$ 정도 증가하였다. 특히, SFI $15{\sim}25$의 온도범위가 $18{\sim}23.5^{\circ}C$에서 $13{\sim}19.5^{\circ}C$로 저하하여 저온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됨으로써 겨울철에 이용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스테르화 라아드는 결정형의 변화로 인하여 신전성이 감소되어 파이 반죽의 층형성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에스테르화 라아드는 파이의 팽화율, 외관, 쇼트니스를 불량하게 하여, 단독 사용시 파이용 유지로서는 부적합하였다. 그러나, 에스테르화 라아드에 신전성이 우수한 유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파이 껍질의 제조는 가능했으며 50%까지 에스테르화 라아드를 혼합하여도 파이 껍질의 품질은 우수하였다.

  • PDF

쌀의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Trend and Prospect of Rice Quality Evaluation)

  • 김재현;이정일;윤영환;김제규;황흥구;문헌팔;손종록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53-57
    • /
    • 2002
  • Quality evaluation must be more developed in order to offer the sufficient information for producer, distribution centers buyer, consumer. There are many parameters which influence the rice quality and cooked ric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quality of rice and cooked rice by only some parameters. In the case of rice quality evaluation in Korea, physicochemical inspection is performed by examining the minimum and maximum limits of brown rice recovery, moisture content, damaged kernel, and colored kernel as inspection standard. Marketing standard of rice defines the limits of perfect, white core and belly, colored, damaged kernels, and broken rice, classifying into special, excellent, and normal grades. As a researc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ice quality evaluation, establishment as parts of technical field, must be further developed as follows : more detailed measure of characters, search of unknown taste-related components, creation and grade classification of quality evaluation factors at each management stages of treatment after harvesting, evaluation as food material as well as cooking rice, method development for simple evaluation and establishment of equation for palatability. In the side of policy, the following concerns must be conducted: price discrimination in conformity to rice cultivar and grade under the basis of qualify evaluation method developed, fixation of head rice branding, and introduction of low temperature circulation.

  • PDF

지하수 세균 군집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영향 (The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n the Microbial Population in Groundwater)

  • 안영범;김여원;이대영;민병례;최영길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5-222
    • /
    • 1998
  • 지하수 세균 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에서 음용수로 사용하는 2개 정점과 음용수외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8개 정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요인과 중금속의 농도, 및 세균 군집의 분포 등 40개 변수를 분석한 결과, 음용수로 사용하는 정점을 제외한 나머지 정점에서 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가 용수목적별 수질기준의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총세균은 5.1~41.4$\times$$10^{5}$cells/ml 범주로, 종속영양세균과 기능성 세균군집은 0.01~29.6$\times$$10^4$cfu/ml의 범주로 조사되었다. 세포외 효소의 활성도는 0.005~11.3$\mu$M/l/hr 의 범주로 나타났고, lipase, phophatase, $\beta$-glucosidase, cellulase, chitinase, amylase 순으로 활성도가 나타났다. 정점별로 조사된 세균 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상호관계는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과 다차원 척도법 분석(multidimensional scaling; MDS)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세균 군집에 미치는 주요한 환경요인은 정점별 잠재오염원과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다.

  • PDF

우리나라 주요 호소의 수질 변동 경향성 분석 및 유형화 (Characterizing Changes of Water Quality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elected Korean Reservoirs)

  • 권용수;배미정;김준수;김용재;김백호;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3호
    • /
    • pp.146-159
    • /
    • 2014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temporal changes of water quality in the 90 reservoirs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reservoir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reservoirs. The majority of study reservoirs were categorized as the eutrophic state based on Carlson's trophic index. Among 90 reservoirs, more than 55.0% were nutrient-rich based on $TSI_{TP}$ in each month, where more than 50.0% were nutrient-rich based on $TSI_{Chl-a}$ from June to November. Seasonal Mann-Kendall test was used to analyze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selected 60 reservoirs using monthly data from 2004 to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27 (45.0%) reservoirs showe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based on TP and Chl-a concentrations, while 14 (23.3%) and 11 (18.3%) reservoirs displayed the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based on TP and Chl-a concentrations, respectively. Meanwhile, a self-organizing map classified the study reservoirs into five groups based on differences of hydrogeomorphology (altitude, catchment area, bank height, lake age, etc.). Physicochemical factors and land use/cover types showed clear differences among groups. Finally, hydrogeomorphology of reservoirs were related to water quality, indicating that the hydrogeomorphological characters strongly affect water quality of reservoirs.

韓國産 산마늘 種子의 發芽와 種球의 休眠 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Bulb Dormancy in Korean- Native Allium victorialis L.)

  • 강치훈;홍정기;최병곤;방순배;박영학;한종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9-226
    • /
    • 2000
  • 본실험은 울릉도와 오대산 산마늘 자생종의 종자의 특성 및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종자의 발아 양상과 가온개시기에 따른 종구의 휴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자의 특성에 있어 모양, 색, 탈립성은 2개 자생종이 비슷하였으나 그 외의 형질에서는 달랐다. 천립중는 울릉도 자생종이 14.8g 으로 오대산 자생종에 비해 2.1배였다. 울릉도 자생종은 채종 즉시 파종한 처리에서만 발아하였으며 화학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또한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86%, 평균발아일수 42일, 발아계수 2.05이었으며, 저온유수 및 저온습윤혼용처리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오대산 자생종은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70%,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0이었는데, 저온습윤 처리에서는 명장태에서 발아율 82%,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75로 광에 대한 반응이 달라졌다. 오대산 자생종 종구는 초상후 45일 이후가 되어야 휴면이 타파되어 가온개시시기로써 적합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