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ly disabled pers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지체장애인의 지각된 낙인과 자아존중감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 이인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2-60
    • /
    • 2007
  • Purpose: Perceived stigma may disrupt the ability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to successfully adapt to their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among adults with physically disabled. Method: The sample was drawn from August to October of 2006 at the rehabilitation center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4 persons with physical difficulty. Self-esteem was measured using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Perceived stigma was measured using the Perceived Stigma Scale for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developed by Le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ived stigma of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sing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perceived stigma may promote self-esteem among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 PDF

뇌병변 장애인 보조기기용 노터치 카메라 마우스 시스템 (Untouched Camera Mouse System for The Disabled Person's Assistant Device)

  • 배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465-34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행동이 불편한 특히 손의 사용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자신이 원하는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을 자연스럽게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기반 보조기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컴퓨터 보조기기의 경우 특수한 하드웨어를 사용하거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매우 낮으며 대부분 외국산 제품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웹캠을 활용하여 기존의 마우스 기능을 대신할 수 있고, 장애인들의 컴퓨터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색깔이나 특정 마크가 표시된 스티커를 임의의 기기(안경, 머리띠)나 신체 일부(이마, 코)등에 부착하여 카메라를 통해 색깔이나 마커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이 정보를 영상 처리 기술을 통해 분석 한 후 처리된 정보(좌표)를 특정 이벤트(키보드, 마우스)에 연결하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농구 동호회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Physically Disabled Persons'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and the Hindrance Factors of Participation)

  • 장철승;김두영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79-299
    • /
    • 2017
  •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이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이고,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제주 등에서 현재 휠체어 농구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최종적으로 144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동기를 조사 분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건강지향형, 사교지향형 참여 동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의 경우 주거 그룹,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개발형 참여 동기의 경우 연령, 직업 유무, 주거 그룹,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저해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구조적 요인이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저해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요인의 경우 연령, 최종학력, 직업 유무,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지체장애인의 보조공학 이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in Assistive Technology of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이춘엽;김은주;노동희;문서진;박성호;채강석;장문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31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에 대한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5월 8일부터 5월 18일까지 부산 및 창원지역의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 척수손상과 뇌졸중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 기기는 척수손상(76.2%)과 뇌졸중(72.5%) 환자 모두 휠체어 및 이동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만족도는 척수손상(3.32점)과 뇌졸중(3.48점) 모두 효과성에서는 높게 나타났지만, 다른 항목에서는 두 그룹에서 차이를 보였다. 보조공학 서비스는 척수손상 환자에서는 34명(39.4%)으로 보조기구 수리서비스를, 뇌졸중 환자에서는 8명(28.2%)으로 보조기구 적용 및 훈련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이에 대한 만족도는 전문가서비스의 질이 높게 나타났고,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이 낮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보조공학에 대한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보다 나은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사회 복지 시설의 급식관리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Foodservice in some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 박길동;계승희;정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81-391
    • /
    • 1991
  • The following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 Total subjects were 18 foodservice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mong studied facilities, nine were the welfare facilities for children, five were the welfare facilities for elderly, two were the welfare facilities for a mentally and physically disabled person and the remaining two were vagabond care facilities. Methods used were mainly questionaires. These questionaires were answered by manager and interviews were also done for a same person. Equipments were evaluated by investigators using the evaluation for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Number of cooks and assistant cooks among employee in foodservice establishment were about 2-6 persons. One dietitian is stationed in 2 places among 18 places. Food purchasing and menu plannings were mainly practiced by manager, secretary and other personnels, in more than 50%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type of the menu in most facilities was the set menu. The period of turn over for cycle menu was a week in 50% of facilities. Seventy seven point eight percentage of the welfare facilities were used the weekly or monthly cycle. For the food preparation, there was almost no place using standard recipes. Foodstuffs were purchased in local market. Moreover, the preference test of served foods were done for residence of each facilities. But it was not applicated effectively. Conditions of most equipments in the kitchen were defective specially in dishwashing and sterilization step.

  • PDF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수족사용 불능자를 위한 홈오토메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of Home-Automation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 강선경;김영운;한대경;정성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7-193
    • /
    • 2008
  • 웨어러블 환경에서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기술들이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족이 불편한 사용자가 웨어러블 환경에서 EOG 감지 회로와 사람이 인지 가능한 마커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지시 장치로 EOG 감지 회로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다루고자 하는 홈오토메이션 기기에 해당되는 마커를 눈의 움직임을 이용해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명령을 홈오토메이션 제어장비에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EOG 감지 회로와 마커 인식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수족 사용이 불가능한 사용자도 눈동자의 움직임만으로 홈오토메이션 조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 PDF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based on Independent Living Paradigm : Life Span)

  • 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237-264
    • /
    • 2006
  • 최근 장애 정의에 있어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 한 사회통합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한편 장애문제를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총체적인 삶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생애주기별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별로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 수준을 측정하고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질적 측면에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은 일상생활 자율성, 물리적 접근성,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 경제적 안정정도, 선택권,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591명이며, 전화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애주기별로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였고 사회통합의 각 차원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함의는 사회통합의 증진을 위한 장애정책의 방향은 생애주기별로 차별화 되어야 하며 장애인의 일상 활동이나 접근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선택권이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PDF

척수 장애인의 성적 적응 경험 (Sexual Adjustment Process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 강현숙;고정은;서연옥;이은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0-9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escribe a process of sexual adjustment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to describe and explore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the adjustment process.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0 Korea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who had been physically disabled for more than one year.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t a same time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Major categories of this study showed a process how the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djust to their individual life as sexual beings. The process included and individual responses to the behavioral efforts including and . Initially physical aspects of sexuality seemed to be affected by spinal cord injuries. The changed physical aspects then influenced other aspects of their sexual life. Life satisfaction of each individual as a sexual being revealed as very subjective. It could be defined according to how the individual approved their sexual life no matter what and how much behavioral effort the person had done. In this study 3 types of sexual adjustment aspects were explored: 'Active adjustment' 'Passive adjustment' 'Maladjustment'. There were negative and pos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Those factors might come from themselves, from families, or from social situ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exual life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physical or behavioral matter. It was a combination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life. Therefore, appropriate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sexual adjustment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need to concern heterogeneous life values of them and obtain individualized services for each individual at a different stage of the sexual adjustment process.

  • PDF

루게릭장애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연구 - 한일사례연구 - (ALS One-stop Support Service Development Study - Korea-Japan Case Study -)

  • 정희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43-454
    • /
    • 2020
  • 본 연구는 ALS(루게릭)장애인의 병진행 단계에 따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다중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과 일본의 루게릭장애인의 일기, 블로그, SNS, 유트브,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양국의 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게릭병 발병단계에는 한국루게릭협회와 같은 당사자 조직에 루게릭질환을 경험한 사람이나 가족에 의한 동료상담가를 배치하여야 한다. 연화장애단계에서는 위루술시술 후 소독과 경관식투여와 같은 의료적 처치를 위해 방문간호사의 재택방문횟수가 늘어야 하며, OT,PT에 의한 재택서비스가 필요하다. 호흡장애의 단계에서는 인공호흡기의 착용과 거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호홉기착용단계에서는 루게릭전용활동지원인의 양성과 파견이 필요하다. 또한 주 부양자를 위한 가족쉼터나 루게릭장애인 당사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단기보호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서비스는 단계별로 연계성 있는 원스탑지원서비스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