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bacterium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Photobacterium phosphoreum을 고정화하기 위한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CMC] 담체의 이용성 연구 (Studies on the Use of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Matrix for the Immobilization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 이용제;정성제;허문석;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49-54
    • /
    • 2000
  • 1.0%(w/v)의 CMC 담체는 고정화를 유지할 수 있는 점도를 가지며 0.1 M 이하의 양이온과 이온가교결합을 할 수 있는 농도이다. Luminometer tube내의 시료에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산소의 공급을 일정하게 하여 P. phosphoreum을 고정화 30분 후 bioluminescence intensity가 안정되어 바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1.0%(w/v) CMC담체는 pH 6.92로 최적조건인 pH 7.0에 근접했으며, 발광기작에 필요한 산소전달(oxygen transfer)이 1.5%(w/v)~3.0%(w/v) CMC 담체보다 뛰어나 Bioluminescence intensity의 안정성을 부여하였다. Cr-화합물인 $Na_{2}CrO_{4}$, $K_{2}CrO_{4}$, $CrO_{3}$, CrK$(SO_4)_{2}$$CrCl_{3}$의 CMC담체에 대한 민감도는 $\gamma$값을 이용해서 $EC_{50}$값으로 나타내었을 때 $Na_{2}CrO_{4}$, $K_{2}CrO_{4}$, CrK$(SO_4)_{2}$$CrCl_{3}$$EC_{50}$값이 1.0%(w/v)CMC에서는 5.4~16.3 g/L으로 1.5%(w/v)~3.0%(w/v) CMC에서는 6.2~555.9 g/L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것은 1.0%(w/v) CMC가 낮은 독성 농도에서 bioluminescence intensity가 50%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상관계수($R^2$)가 0.911~0.990 으로 높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1.0%(w/v) CMC 담체가 P. phosphoreum의 biolumincsene에 안정성을 주었으며, 독성물질에 가장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Gene Expression of Photobacterium leiognathi CuZn Superoside Dismutase (PSOD) by lacZ Promotor Control under Oxidative Stress

  • Kim, Young-Go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0-465
    • /
    • 1992
  • The effect of PSOD expression on lacZ-sodP fusion (pYK4) was explored in Escherichia coli sodA sodB mutants (QC774) under oxidative stress. In this system, although .betha.-galactosidase activity was not fully induced by isopropyl-1-thio-.betha.-galactosidase (IPTG) and was inhibited by glucose, functional PSOD was under lacZ promotor control and was induced by IPTC, lactose, PQ and copper isons,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higher PSOD expression leel was consistently importnat in defending against superoxide radicals.

  • PDF

까나리 액젓 부산물의 미생물 배지화를 위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icrobial Culture Medium by Using By-Product of Salt-Fermented Kanary)

  • 원혜진;함영태;김혜경;김병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202-206
    • /
    • 2000
  • 까나리 액젓 부산물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까나리 액젓부산물을 건조, 분쇄하여 미생물 배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균주로는 Escherichia coli$(Gram^-)$, Bacillus subtilis$(Gram^+)$ 발광미생물인 Photobacterium phosphoreum을 이용하였으며, 기준 LB 배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까나리 액젓부산물 배지는 E. coli나 B. subtilis와 같은 미생물에 필요한 일부 성분이 LB 배지에 비해 부족함을 보였다. 탄소원은 까나리 부산물 자체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growth factor yeast extract 0.5%를 까나리 액젓부산물배지에 첨가하거나, 단백질원인 0.5% peptone과 0.3%의 yeast extract 혼합물을 보강한 까나리 액젓 부산물배지에서는 LB 배지와 같은 세포증식을 보였으며 각 까나리 액젓부산물배지의 제조단가는 LB 배지 조성단가의 46%, 19% 정도로 매우 저렴하였다. 또한 P. phosphoreum은 까나리 부산물 배지에 염과 glycerol을 첨가한 결과 생체발광을 보였다. 따라서 폐기 처분되고 있는 까나리 액젓부산물을 미생물배지로의 자원화와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Response of Bioluminescent Bacteria to Sixteen Azo Dyes

  • Lee, Hwa-Young;Park, Sue-Hyung;Gu, Man-Boc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101-105
    • /
    • 2003
  •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were used to monitor and classify the to xicity of azo dyes. Two constitutive bioluminescent bacteria, Photobacterium phosphoreum and Es-Cherichia coli, E, coli GC2 (lac::luxCOABE), were used to detect the cellular toxicity of the azo dyes. In addition, four stress-inducible bioluminestent E. coli, DPD2794 (recA::luxCDABE), a DNA damage Sensitive strain; DPD2540 (fabA::luxCDABE), a membrane damage sensitive strain; DPD2511 (katG::luxCDABE), an oxidative damage sensitive strain; and TV1061 (grpE::luxCDABE), a protein damage sensitive strain, wer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oxicity caused by crystal violet, the most toxic dye of the 16 azo dye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zo dyes result in serious cellular toxicity in bacteria, and that toxicity monitoring and classific ation of some azo dyes, In the field, may be possible using these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Collaborative Effect of CuZnSOD and Human AP Endonuclease against Oxidative Stress

  • Kim Young Gon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47-50
    • /
    • 2004
  • The defenses against free radical damage include specialized repair enzymes that correct oxidative damages in DNA, and detoxification system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s. These defenses may be coordinated genetically as global responses. We hypothesiz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SOD and the DNA repair genes would inhibit DNA damage under oxidative stress. Therefore, the protection of E. coli mutants deficient in SOD and DNA repair genes $(sod^-\;xth^-\;and\;nfo^-)$ was demonstrated by transforming the mutant strain with a plasmid pYK9 which encoded Photobacterium leiognathi CuZnSOD and human AP endonuclease. The results show that survival rates were increased in $sod^+\;xth^-\;nfo^+$ cells compared to $sod^-\;xth^-\;ap^+,\;sod^-\;xth^-\;ap^-,\;and\;sod^+\;xth^-\;ap^-$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generated from 0.1 mM Paraquat or 3 mM $H_2O_2$. The data suggested that, at least, SOD and DNA repair enzymes may have collaborate protection and repair of the damaged DNA. Additionally, both enzymes are required for protection against free radicals.

  • PDF

Bioluminescent Assay of Bovine Liver Riboflavin Kinase Using a Bactreial Luciferase Coupled Reaction

  • Cho, Ki-W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74-79
    • /
    • 2000
  • For the demonstration of a novel riboflavin kinase assay method based on the bacterial bioluminescence, partially purified riboflavin kinase was prepared from bovine liver through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Using bacterial luciferase from Photobacterium phosphoreum and the dithionite reduction method, and easy, safe, and fast assay method was established. The optimal temperature, pH, Km values form riboflavin and ATP of boving liver riboflavin kinase determined with this luminescence method were 35$^{\circ}C$, pH 7, 15.3${\mu}$M and 8.3.${\mu}$M,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 of FMN produced by riboflavin kinase was in the range of 200 pM to 4${\mu}$M which is comparable to the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while the detection time for each assay was less than 15 sec compared to the HPLC method which requeires at least 10 min for completion.

  • PDF

2005년부터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y of bacterial disea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om 2005 to 2006 in Korea)

  • 조미영;김명석;권문경;지보영;최혜승;최동림;박경현;이창훈;김진도;이주석;오윤경;이덕찬;박신후;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70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양식되고 있는 넙치를 대상으로 세균성 질병의 발생률을 조사하기위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외관상 질병이 의심되는 개체를 포함하여 무작위로 총 1,271 마리를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검사개체중 738 마리에서 병원체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이중 331 마리에서 366 균주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Vibrio spp. (42.1%), Streptococcus spp. (16.9%), Edwardsiella tarda (12.3%),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8.2%), Pseudomonas spp. (2.2%) 및 기타 (18.3%)로 나타났다. Vibrio spp. 및 P. damselae subsp. damselae는 연중 모든 계절에 검출되었으며 반면에 Streptococcus spp. 및 E. tarda는 주로 5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여 11월까지 검출되었다. 검출된 세균 중에서 206건은 다른 세균 (3.6%), 기생충 (31.4%) 또는 바이러스 (41.7%)와 혼합감염 되어있었다; Vibrio spp. (n=21), Streptococcus spp. (n=13), Trichodina (n=76), Scutica (n=31), VNNV (n=112), VHSV (n=46).

어병 세균에 대한 소나무과 잎 정유의 항세균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Pinaceae Leaves Against Fish Pathogens)

  • HAM, Youngseok;YANG, Jiyoon;CHOI, Won-Sil;AHN, Byoung-Jun;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27-547
    • /
    • 2020
  • 어병 세균은 어류 양식업의 경제적 피해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감염원으로 알려진 전염성 병원균이다. 어병 세균을 제어하기 위해 지속적인 항생제의 사용은 부작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천연 유래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대체제 개발을 위해 항세균효과가 우수한 침엽수 정유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전나무 (Abies holophylla), 곰솔 (Pinus thunbergii),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솔송 (Tsuga sieboldii), 리기테다소나무 (Pinus rigitaeda)의 잎에서 hydro-distillation법을 이용하여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정유는 어병 세균인 Edwardsiella tarda, Photobacterium damselae, Streptococcus parauberis, Lactococcus garivieae에 대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나무와 곰솔 잎 정유가 그람 음성 세균인 E. tarda와 P. damselae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GC-MS 분석 결과, 전나무 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bornyl acetate (29.45%), D-limonene (20.47%), camphene (11.73%)이고, 곰솔 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α-pinene (59.81%)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또한,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정유와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으로 oxygenated monoterpenes인 neryl acetate, (-)-borneol, (-)-carveol의 세가지 화합물을 구명하였다. 따라서 그람 음성어병세균의 생장억제효과가 우수한 전나무와 곰솔 잎 정유는 사료 첨가제, 수산용 의약품 등 생물학적 제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