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otobacterium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5초

QSAR방법을 이용한 CAHs와 Chlorophenol 유도체에 대한 $EC_{50}$값 예측 (Prediction of $EC_{50}$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for CAHs and Chlorophenol Derivatives Using QSAR)

  • 이홍주;유승오;이정건;김병용;전억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4-61
    • /
    • 1999
  • Measurement of inhibition of bioluminescence in Photobacterium phosphoreum has been porposed as a sensitive and rapid procedure to monitor toxic substances. However, at first, $EC_{50}$ which shows degree of toxicity to each toxic substances must be calculated. QSAR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model can be used to estimate $EC_{50}$ to save time and endeavor. Moderat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r^2{\geq}$ 0.97) were calculated from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EC_{50}$ and molecular connectivity indices of CAHs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such as $^0X$, $^0X^V$, $^1X$, $^2X$ and $^3X^v_c$ and quadratic correlation between $EC_{50}$ and $^0X$, $^0X^V$, $^2X^V$, $^3X_c$, $^3X^V_c$ and P. It shows that the molecular connection indices in carbon structure is contributed to biological characters with linear relation and that in the other one with quadratic relation. The $EC_{50}$ of chlorophenol derivatives had quadratic relation with the value of octanol/water prtition coefficients ($r^2$=0.99) and linear and quadratic relation with the number of chlorine compound (($r^2{\geq}$0.94). This confirms the already known trend of increasing toxicity with increasing ability of a compound to diffuse through cell membrane and number of chlorine substitution.

  • PDF

2013-2016년 양식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해역별 선충(Clavinema mariae) 및 병원체 감염 현황 (Monitoring of Diseases Including Nematode Clavinema mariae Infections in the Cultured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During 2013-2016)

  • 한현자;송준영;조미영;최혜승;정승희;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32-442
    • /
    • 2020
  • Diagnostic monitoring in Korean rockfish cages was performed to survey the prevalence of pathogens in cultured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rom May 2013 to July 2016. A total of 1,945 fish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stern (Cheonsu Bay and Heuksando), southern (Tongyeong and Namhae), and eastern coasts (Pohang) of Korea were tested for parasites, viruses, and bacteria. In this study, 1,264 and 334 fishes were infected with Microcotyle sebastis and Clavinema mariae, respectively. The prevalence rates of C. clavinema in fishes from Cheonsu Bay, Heuksando, and Tongyeong were 35.3%, 3.9% and 1.9%, respectively. No C. clavinema infection was detected in cultured rockfish from Namhae and Pohang. Furthermore, bacteria including Photobacterium damselae (8.9%), Photobacterium piscicola (2.3%), Photobacterium spp. (8.9%), Aeromonas salmonicida (1.8%), Aeromonas spp. (0.9%), Vibrio scophthalmi (1.5%), Vibrio spp. (3.3%), Streptococcus iniae (1.2%), and others (8.0%) were detected in 373 of 1,364 fishes. No virus was detected in any fish investigated in this study.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병원성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의 분리 (Isolation of pathogenic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권문경;박상언;방종득;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5-214
    • /
    • 2005
  • 최근 2년간 동해안 지역 넙치 양식장의 양식 넙치에 피해를 일으키는 P. damselae 균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P. damselae의 16s rRNA 염기 서열은 P. damselae subsp. damselae ATCC 33539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는 Pedersen et al.(1997)의 biotype과 비교한 결과, biotype No 8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P. damselae subsp. damselae ATCC 33539의 LPS와 동일한 단백질 패턴을 나타내었다. 넙치의 병어로부터 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감염 상태를 조사한 결과, P. damselae가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V. anguillarum, V. splendidus, V. harveyi와 V. ordalii순으로 감염율이 나타났다.

물벼룩과 형광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합성세제의 급성독성평가 (Acute Toxicity on Daphnia magna and Photobacterium phosphoreum for synthetic Detergents)

  • 김태영;채수권;김건흥
    • 물과 미래
    • /
    • 제27권1호
    • /
    • pp.69-77
    • /
    • 1994
  •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세제의 사용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하수처리공정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못한 합성세제가 하천이나 강으로 흘러들어 지표수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세제는 수중생물에 해로운 여러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주로 화학적 분석에 의하여 그 독성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물질 상호간의 작용 등으로 화학분석만으로 적정기간동안에 독성을 평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인 바, 본 논문에서는 물벼룩인 Daphnia magna와 형광성 박테리아인 Photobacterium phosphoreum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주방용 세제와 의류용 세제의 급성 독성을 평가하였다. 본 평가에 사용된 세제는 세탁용 세제와 주방용 세제로 구분하여 국내 사용량이 가장 많은 7종류를 선택하였으며, 조사결과 세탁용 세제의 평균 24hr, 48hr-LC50은 각각 4.25%, 2.50%이며, 주방용 세제의 평균 24hr, 48hr-LC50은 각각 2.01%, 1.36%이었다. 또한 세탁용 세제의 평균 5min, 15min-EC50은 각각 1.83%, 1.02%이며, 주방용 세제의 평균 5min, 15min-EC50은 각각 1.57%, 1.21% 이었다. 이를 통하여 국내에서 사용되는 합성세제중 주방용 세제가 세탁용 세제보다 지속적 독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세제마다 독성의 정도가 차이가 있었다.

  • PDF

CMC 고정화 Photobacterium phosphoreum 의 생체발광량을 이용한 독성농도(EC50)의 QSAR 모델 (QSAR Modeling of Toxicant Concentrations(EC50) on the Use of Bioluminescence Intensity of CMC Immobilized Photobacterium Phosphoreum)

  • 이용제;허문석;이우창;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99-306
    • /
    • 2000
  • 발광미생물 (luminescent bacteria)인 P. phosphoreum을 이용한 수계의 환경독성물질로 지정된 ethane, benzene, phenol류에 chlorine이 치환된 l47~의 독성강도를 생체발광의 50%저하시키 는 독성농도인 ECso값을 통한 생물학적 정량을 하였을 때 phenol) benzene) ethane 의 순서로 독성깅도가 높게 산출되 어졌으며, 특히 지환된 chlo괴ne의 수가 증가할수록 독성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출된 ECso값을 이용허여 독성물질들의 물려화학적 parameter특성인 octan이(water 분할계 수 (log P), 용해도 (log S) 및 solvatochromic parameter의 떤관쟁 을 QSAR 모탤링하였으며 실힘을 통하지 않고, 독성의 독성강도 를 예측할 수 있는 회기식을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log EC_{50} =2.48 + 0.914 log S(n=9 R2=85.5% RE=0.378) log EC_{50}=0.35 - 4.48 Vi/100 + 2.84 \pi^* +9.46{\beta}m-4.48am (n =14 R2=98.2% RE=0.012) log EC_{50} =2.64 -1.66 log P(n=5, R2=98.8% RE=0.16) log EC_{50}=3.44 -1.09 log P(n=9 R2= 80.8% Re=0.207)$. QSAR 모델은 QSAR 검증식을 통하여 확인된 다중회기식을 이용함으로 실험하지 않은 독성물 질이 갖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대입하여 log Eeso값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시간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모델이다.

  • PDF

자연산 및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의 장내세균총 및 장내세균의 약제내성 비교 (Bacterial flora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intestinal bacteria in the wild and cultured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 김석렬;김정호;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27
    • /
    • 2007
  • 볼락은 산업적 잠재가치가 높은 어종으로 각광받으면서 양식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왔으나, 장내세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돌산도 연안에서 채집된 자연산 볼락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총의 분포와 이들 세균들의 약제 감수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분류의 볼락에서 분리된 균주의 16S rDNA 염기를 바탕으로 장내세균을 동정한 결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에서는 Photobacterium group, Acinetobacter group과 marine sediment bacteria group이 우점하고 있었고, 자연산 볼락의 장내에서는 Photobacterium group Acinetobacter group, Bacillus group, Shewanella group, Staphylococcus group 및 marine sediment bacteria group이 우점하고 있었다. 자연산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의 약제 감수성 결과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9종의 항균제 중 oxytetracycline와 oxolinic acid는 자연산과 양식산이 비슷한 수준의 감수성 나타냈으나, flumequine, erythromycin, norfloxacin, gentamycin, ofloxacin, enrofloxacin 및 ciprofloxacin은 평균 저지대에서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이 자연산 볼락의 장내세균 보다 약간 낮은 감수성을 보였으나, 자연산 볼락의 장내세균 또한 감수성 시험 대조균주로 사용한 E. coli ATCC9637 보다 현저하게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는 양식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이 자연 서식 어류생물군의 장내 세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부영양화 인공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한 초고속응집침전(URC)공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URC Proces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n Artificial Eutrophicated Lake)

  • 윤태광;윤태일;김창균;박세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2025-2036
    • /
    • 2000
  • 부영양화 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한 물리화학적 처리공정-초고속응집침전(URC) 공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하대학교내에 있는 위락용 소형호소인 인경호를 대상으로 pilot plant 규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URC 공정은 부영양화를 억제할 수 있는 주요인자인 총인을 95%이상 제거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설계되어졌다. 실험기간 중 총인과 클로로필-a를 기준으로 하는 Carlson의 호소영양상태지수는 운전 전 각각 70과 73에서 운전 후 약 55로 개선되었다. 또한 응집처리에 의해 유출수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잔류 알루미늄과 추가적으로 주입되는 가중응집제와 고분지응집제에 의한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잠재적인 독성영향이 명가되었으며 실험결과 응집 유출수는 형광 미생물에게 어떠한 영향($EC_{50}$-15min)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URC 공정의 운전 이후 인경호는 국내 호소 수질환경기준 II등급으로 투명도를 회복할 수 있었으며, 보다 큰 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한 URC 공정의 적용이 기대된다.

  • PDF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중금속에 대한 반응성 (Response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to Heavy Metal)

  • 정계훈;김현숙;이은수;정성제;이정건;김은기;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342-350
    • /
    • 1999
  • P. phosphoreum을 이용하여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free cell과 고정화 세포의 중금속 물질에 대한 반응을 일차로 조사하였다. 고정화 물질로는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고 bioluminescence 투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sodium algmate를 사용하였다. Alginate는 발광미생물의 빛 발생 대사를 저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bioluminescence의 투과성이 탁월하였다. 중금속 물질 중에서 $HgCl_2$, $CdCl_2$, $MnSO_4$, $ZnSO_4$를 선택하여 free cell과 alginate 혼합 세포 및 strontium alginate에 고정화한 세포에 노출시켜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독성 및 strontium alginate에 고정화한 gel을 disc type으로 제조하여 중금속 물질에 대한 bioluminescenc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Free cell과 disc type의 세포가 alginate 혼합세포 및 strontium alginate로 고정화한 세포에 비해서 비교적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중금속 물질의 농도에 대하여 bioluminescence intensity의 감소율이 비례하여 나타났다. 특히, 고정화 세포인경우 free cell 보다 중금속의 mass transfer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민감성은 떨어지지만 모두 linear regression curve를 나타내었다. Disc type의 경우 alginate에 혼합한 세포와 strontium alginate로 고정화한 세포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은 중금속에 노출된 면적이 넓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독성물질에 대한 반응분석을 위하여 Gamma value로부터 $EC_{50}$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중금속 물질의 농도와 P. phosphoreum의 bioluminescence intensity와의 상관관계 및 각 중금속 물질의 독성정도를 산출하였다. $EC_{50}$값을 이용하여 독성정도를 볼 때 4가지 type 모두 $HgCl_2$가 가장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때 P. phosphoreum을 고정화 할 경우 bioluminescence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bioluminescence의 안정성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disc type의 고정화 제재는 free cell과 동등한 민감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빛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bioluminescence제재로 이용이 가능하다.

  • PDF

바이오센서 개발을 위한 발광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시스템 분석 (Expression of the lux Genes in Escherichia coli for the Basis of Development of Biosensor)

  • 조미미;김영두;강경숙;김숙경;양인철;박상열;이찬용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19-424
    • /
    • 2009
  • 발광 세균 Photobacterium과 Vibrio의 lux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유전자 전이시킨 발광표현형 대장균이 내는 빛의 세기를 조사하였다. 여러 대장균 균주에 형질전환 시켰는 바, 빛을 내는데 관여하는 효소들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모두 포함하는 Photobacterium leiognathi lux 오페론이 삽입된 재조합플라스미드(PlXba.pT7-3)가 형질전환된 대장균 43R (Escherichia coli 43R) 균주에서는 발광세기가 다른 균주에 비해 1,000배 이상 되었으며, Vibrio harveyi luxA 유전자와 luxB 유전자를 융합시킨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플라스미드(VhluxAB.pT7-5)가 형질전환 된 대장균 43R (E. coli 43R)에서는 기질인 fatty aldehyde를 가하면 단일 콜로니에서도 빛을 볼 수 있게 되는 대장균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또한 이들이 중금속에 노출되었을 때 생물발광이 감소하였으며, 이들 발광 대장균 형질 전환체가 담긴 고정화된 세포에서도 빛을 내는 것을 관측함으로써 이들 실험 결과들이 lux 유전자를 활용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의 기반 기술이 될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