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 laye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hydroxybutyric-acid on lipid bilayers with respect to layer phase

  • Lee, Gaeul;Park, Jin-Wo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20-726
    • /
    • 2022
  • 형광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세포막의 위상에 따른 하이드록시부티르산 혼입이 생체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형 인지질 이중층인 소포(vesicle)가 이중 에멀젼 기술을 통해 각 층 단위로 제조되었다. 소포 내부의 수성에는 아미노나프탈렌트리술폰산디소듐(ANTS)이 캡슐화되었으며, 소광제(quencher)로 자일렌비스피리디늄브로마이드(DPX)를 소포가 분산된 버퍼에 포함시켰다. 형광 등급은 100% 형광으로서 DPX가 포함된 완충액의 소포와 0% 형광으로서 ANTS와 DPX의 혼합물이 포함된 완충액의 소포를 고려하여 조정되었다. 소포 용액에 하이드록시부티르산 혼입은 막 구조의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하이드록시부티르산 대 지질의 비율에서 소포의 각 층의 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관찰된 결과는 머리 그룹과 꼬리 그룹 모두의 패킹 붕괴에 대한 삼투압 및 체적 효과로 인해 소포의 안정성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Lyotropic Behaviors of a Phospholipid-based Lamella Liquid Crystalline Phase Hydrated by Propylene Glycol as a Polar Solvent: Correlation of DSPC vs PG Concentration

  • Jeong, Tae-Hwa;Oh, Seong-Ge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108-114
    • /
    • 2007
  • The lyotropic behaviors to form the structure of distearoylphosphatidylcholine (DSPC)-based liquid crystal (LC) hydrated by only propylene glycol (PG) without water were exa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X-ray diffractions (XRD), polarized microscope (P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G instead of water, it showed the phase transition to be gradually changed from anisotropic structures to other structures more close to isotropic ones and their appearance to be changed from solid-like states to liquid-like ones with more fluidity. Below 50% w/w PG, the mixtures of DSPC and PG resulted in no direct observation of LC structure through PM because they were very close to solid-states. From 55% w/w to 90% w/w of PG, the dense lamella crystalline structures were observed through PM, and their thickness and area decreased as the content of PG increased. Measured by DSC with heating process, the main phase transition from α -lamella phase to isotropic phase appeared from 52.89 °C to 47.41 °C to show linearly decreasing behaviors because PG affects the hydrophobic region of DSPC-based lamella phase. The repeating distance of the lamella phase and the interlayer distance between bilayers were calculated with XRDs and the average number of bilayers related to the thickness in LC structure was approximately estimated by combining with TEM results. The WAXS and DSC measurements showed that all of PG molecules contributed to swelling both the lipid layer in the edge region of lamella phase close to phosphate groups and the interlayer between bilayers below 90% w/w of PG. The phase and thermal behaviors were found to depend on the amount of PG used by means of dissolving DSPC as a phospholipid and rearranging its structure. Instead of water, the inducement of PG as a polar solvent in solid-lamella phase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swelling effect of PG for DSPC-based lamella membrane.

ATP and GTP Hydrolytic Function of N-terminally Deleted Annexin I

  • Hyun, Young-Lan;Park, Young-Min;Na, Doe-Sun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289-293
    • /
    • 2000
  • Annexin I is a 37 kDa member of the annexin family of calcium-dependent phospholipid binding proteins. Annexin I plays regulatory roles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cently we found that annexin I is a heat shock protein (HSP) and displays a chaperone-like func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annexin I as an ATPase using 1 to 32 amino acids deleted annexin I (${\Delta}-annexin$ I). ${\Delta}-Annexin$ I hydrolyzed ATP as determin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ability of ATP hydrolysis was inhibited by ADP, GTP and GDP, but not by the AMP, GMP and cAMP. In view of the ATP hydrolyzing function of HSP, the results support the function of annexin I as a HSP.

  • PDF

더덕(沙蔘)의 년근별(年根別) 화학성분(化學性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지질분획(脂質分劃)의 분리(分離)- (Chemical Composition of Cultured and Wild Codonopsis lanceolata Roots of Different Age Groups -II. Separation of the Lipid Fractions-)

  • 박부덕;박용곤;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0-283
    • /
    • 1985
  • 재배(栽培)더덕과 야생(野生)더덕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anol(2:1, v/v), 혼합 용매로 추출한 재배더덕(5년근(年根))과 야생더덕(8년근(年根))의 지질(脂質)을 silicic acid column,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재배더덕과 야생더덕의 지질중(中)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분획이 중성(中性) 지질이었고 그 다음 인지질, 당지질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성지질의 구성비율이 비교적 적고 인지질의 그것이 많은 것이 특이하였으며, 재배더덕에는 지질의 41.30%, 야생더덕에는 29.34%의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중성지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된 분획은 triglyceride로써 재배더덕에서 39.49%, 야생더덕에서 32.88%,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sterol ester, 유리지방산 등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야생더덕에는 유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sterol ester 및 monoglyceride 함량이 각각 중성지질의 27.74%와 5.11%로써 대단히 높았다. 더덕 지질의 가수분해물의 지방산 조성중 total lipid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재배더덕이 25.45% : 74.37%였다. 더덕의 total lipid의 지방산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이 linoleic acid로써 재배더덕이 44.18%, 야생더덕이 40.04% 였으며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함유되어 주된 지방산을 구성하였다. 더덕 지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auric acid였으며 재배더덕의 중성지질 중에는 11.13%의 높은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고 야생더덕의 glycolipid와 phospholipid에는 각각 11.06 및 9.34%의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잠용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Silkworn Pupae)

  • 김정호;박관화;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90-96
    • /
    • 1983
  • 잠사업(蠶絲業)의 부산물(副産物)인 잠용의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은 35.37%(건물비(乾物比))로, diethyl ether-extract 34.47%, 85% methanol-extract 0.90%였다. Diethyl ether-extract부분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이 96.07%, 당지질(糖脂質)이 2.89%, 인지질(燐脂質)이 1.04%였으나, 85% methanol-extract부분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이 47.36%, 당지질(糖脂質)이 14.56%, 인지질(燐脂質)이 38.09%였다. Diethylether-extract부분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triglyceride(71.43%), free fatty acid(12.72%) 및 esterified sterol(8.12%)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으며, 85% methanol-extract부분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free fatty acid(38.46%), triglyceride(34.21%) 및 free sterol(11.05%)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고 esterified sterol은 존재치 않았다. Diethyl ether-extract에서는 5종류, 85% methanol-extract에서는 8종류의 당지질(糖脂質)이 검출(檢出)되었다. Diethyl ether-extract중의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yl glycerol(41.01%), phosphatidyl choline(28.24%)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21.29%)이 주요구성지질이었으며 phosphatidyl inositol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85% methanol-extract중의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yl glycerol(48.38%), phosphatidyl inositol(22.81%) 및 phosphatidyl choline(17.86%)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다. 총지질(總脂質)의 주요 지방산(脂肪酸)은 oleic acid(33.53%), linolenic acid(30.47%) 및 palmitic acid(23.12%)였고, 전체 지방산중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71.02%였으며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은 35.75%였다.

  • PDF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유도된 소낭 융합에 대한 상 비대칭의 영향 (Phase Asymmetry Effect on Vesicle Fusion Induced by Phospholipase D)

  • 박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72-676
    • /
    • 2015
  • 구형인지질이중층인 소낭이 이중에멀젼기법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소낭의 바깥층에서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촉진되는 Phosphatidylcholine의 Phosphatidic-acid 전환은 소낭의 곡률반경을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소낭들의 융합을 유도한다. 인지질층의 물성이 융합에 끼치는 영향을 형광세기변화의 측정으로 규명하였다. 측정 전에, 형광세기에 대한 융합의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8-Aminonaphthalene-1,3,6-trisulfonic acid disodium salt(ANTS)와 p-Xylene-bis(N-pyridinium bromide)(DPX)이 각각 캡슐화된 소낭들을 1:1로 섞은 조건의 형광세기를 0% 융합으로 설정하였으며, ANTS와 DPX가 섞인 채로 캡슐화된 소낭의 형광세기를 100% 융합으로 설정하였다. 형광물질의 누출을 고려하여 별도의 실험에서 누출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유도된 소낭들의 거동을 관찰한 결과, 안층이 액상인 조건에서만 융합이 일어났다. 그러나, 융합은 바깥층의 상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층의 상은 누출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결과는 층의 밀도와 측면확산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치이즈와 대두 지질의 종류 및 지방산 조성의 비교 (Comparisons of Lipid Fractions, Lipid Classes and Individual Free Fatty Acids in Total Lipids from Cheese and Soybeans)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9-126
    • /
    • 1991
  • 치이즈와 대두 지질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의 단편, 지질의 종류 및 총지질내의 지방산 조성을 column, thin-layer 및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그결과를 검토하였다. 치이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96.2%, 1.1% 및 0.7%로 나타난 반면 대두의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87.5%, 0.5% 및 4.3%로 나타났다. 치이즈의 총지질 및 중성지질의 주요 지질의 종류는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cholesterol, diglyceride, monoglyceride 및 polar lipid 였으며 당지질과 인지 질내의 주요 지질의 종류는 triglyceride, diglyceride monoglyceride 및 polar lipid 인 반면 대두 지질 단편중의 지질의 종류는 대부분 triglyceride 였고, 일부 diglyceride, monoglyceride 및 polar lipid의 흔적이 나타났다. 치이즈의 총지질에서 나타난 주요 지방산은 C4:0, C6:0, C8:0, C10:0, C12:0, C14:0, C16:0, C16:1, C16:0, C18:1 및 C18:2 였고, 대두의 총지질에서 나타난 주요 지방산은 C18:0, C18:1, C18:2 및 C18:3였다. 치이즈의 총지질에서 소량의 C14:1, C15:0, C17:0 및 C20:0과 대두의 총지질에서 소량의 C4:0, C6:0 및 C10:0 지방산이 검출되었다.

  • PDF

인삼근의 지질 분포 (Distribution of Lipids in Panax ginseng Root)

  • 김우갑;이창섭;정병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3-103
    • /
    • 1988
  • 인삼근의 구조적인 차이점에 따른 지질의 함량 및 지방질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한 지질을 column, thin layer,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각 부위별 정제 지질은 1.08~2.23%로서 그 조성면에서 볼 때 중성지질은 64.2~73.5%였고 당지질은 15.4~17.4%였으며 인지질은 10.4~19.2%였다. 특히 피층에서는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곳에만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지질분비관에서 합성 분비된 중성지질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분비관 내강의 분비물질이 nile blue에 적색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더욱더 뒷바침 될 수 있었다. 중성지질 획분중에는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의 함량이 높았고 그외에 1,3-diglycerides, monoglycerides, 1,2-diglycerides, free sterols, free fatty acids와 미동정된 5종류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중심주에서는 unidentified II, IV 및 V가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당지질 획분 중에는 sterol glu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ol glucoside가 주성분이었고 미동정된 6종류가 검출되었다. 인지질 획분 중에는 phosp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및 미동정된 2종이 검출되었다. 각 부위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획분 중에서 모두 18종류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으나 각 지방산의 함량은 부위별 및 지질분획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였다.

  • PDF

수삼(水蔘), 홍삼(紅蔘) 및 백삼(白蔘)의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 최강주;김동훈
    • 생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1-150
    • /
    • 1985
  •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free lipids and bound lipids from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ere studied by means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gas-liquid chromatography. Free lipid and bound lipid contents in those three samples were 1.21 to 1.45% and 0.32 to 0.45%. Neutral lipid fractions in free lipids from the samples were 76.6 to 79.7%, while glycolipid and phospholipid fractions were 11.6 to 14.7% and 8.5 to 8.7%, respectively. The major lipids were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diglycerides and free sterols in neutral lipids, sterol glu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y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in glycolipids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 and phosphatidyl inositol in phospholipids. Fourteen kinds of even numbered and four kinds of odd numbered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four lipid fractions (TL, NL, GL and PL) by GLC, and the main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 PDF

경립종 옥수수의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변화 II. 극성지질에 대한 연구 (Changes of Lipids in Flint Corn by a Growth Process II. A Study on the Polar Lipid)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73-478
    • /
    • 1991
  • After the glycolipid(GL) and phospolipid (PL) of flint corn during a growth process were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SACC), the GL and PL of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and quantitative by TLC scanner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polar lipid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Of the GL in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LC, monoglycosyl diacylglycerol (8.3~29.2%) was the major component, and monoglycosyl ceramide, monoglycosyl sterol were also found as minor components. Of the PL, phosphatidyl choline (27.2~29.5%) and phosphatidyl inositol (42.9~79.1%) were the major components,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and cardiolipin were also persont in the PL.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GL were oleic(27.1~37.1%), linoleic (13.2~35.7%) and palmitic (22.5~25.6%) acids.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PL were palmitic (46.5~52.3%), heptadecanoic (23.0~25.1%) and oleic(7.2~14.6%) and GL contained a higher percentage of unsa-turated fatty acids, but PL presented that of the saturated fatty aci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