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atidic acid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6초

폴리아민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 (Activation of Cabbage Phospholipase D by Polyamine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66-471
    • /
    • 2003
  •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PLD)에 대한 포리아민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LD 활성도는 phosphatidylcholine small unilamellar 베시클을 기질로 하여 pH- stat 방법으로 생성물질 phosphatidic acid를 적정하여 결정하였다. 양배추 PLD는 스퍼민 1 mM 농도에서 약 4배 활성화되었다. 이 스퍼민 효과는 전에 보고된 쥐 뇌 미토콘드리아 분획의 PLD 활성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양이온성 polypeptide인 polylysine과 polyhistidine에 의해서도 양배추 PLD가 상당히 활성화되는 것을 알았다. 특히 polyhistidine은 0.062 mM 농도에서 약 5.5배의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 포리아민 효과는 phosphatidylcholine/sodium dodecyl sulfate 혼합미셀계에서도 재확인하였다. 포리아민에 대한 PLD 활성화의 의미를 PLD 활성부위와 관계 지워 고찰하였다.

산성 인지질 이중층의 열적 상전이에 미치는 칼슘과 페노치아진 유도체의 영향 (The Effects of Calcium and Phenothiazine Derivatives on the Thermotropic Phase Transition of Acidic Phospholipid Bilayers)

  • 김남홍;노승배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82
    • /
    • 1990
  •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DPPC)과 dipalmitoyl phosphatidic acid(DPPA) 리포좀내 이중층의 열적 상전이에 미치는 칼슘과 페노치아진 유도체의 영향을 시차 열량 분석계로 연구하였다. 인지질 이중층은 가열시 어느 특정온도에서 급격한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온도에 의존한 변화는 순수 인지질의 경우 특이할 만큼 예민하였다. 순수 인지질에 페노치아진 유도체를 가하였을 때 순수 인지질의 상전이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 났으며 상전이 열그림을 넓적하게 만들었다. 칼슘 이온은 DPPC: DPPA(34: 66mol%)의 상전이 온도를 높였다. 그러나 위의 혼합 인지질에 페노치아진 유도체를 가하였을 때 $73^{\circ}C$에서의 작고 넓적한 곡선 부분이 사라졌다. 이러한 현상은 아마도 칼슘과 폐노치아진 유도체의 산성 인지질의 친수부분에서 상호 경쟁적 작용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 PDF

세포사멸에서 Phospholipase D 동위효소의 기능적 역할 (The Functional Role of Phospholipase D Isozymes in Apoptosis)

  • 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78-1382
    • /
    • 2014
  • Phospholipase D (PLD)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지질인 인지질을 분해하여, 이차신호전달물질인 phosphatidic acid (PA)를 생성함으로써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생존신호전달등 세포내 다양한 생리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핵심단백질로 대두되고 있다. PLD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활성은 다양한 암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서 나타난다. PLD에 의해 생성된 PA는 세포사멸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서 세포사멸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고 있다.최근에, 세포사멸과정에서 PLD 단백질의 turnover dynamics에 관한 분자수준에서의 연구가 규명되었다. PLD는, 세포사멸시 활성화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caspases의 새로운 기질로 작용하여 세포사멸을 차별적으로 조절을 한다. Caspase에 의한 PLD동위효소의 차별적인 분해양상이 PLD의 효소활성과 세포사멸억제 기능을 조절한다. 그래서 PLD는 암치료의 표적분자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된다. 본 리뷰논문에서, 세포사멸조절 PLD의 기능적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넙치 간에 있어 가수분해 효소의 부분정제 및 특성규명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atidylcholine hydrolyzing enzyme from liver membrane of flounder , Paralichtys olivervaceus)

  • 이상환;서정수;김나영;엄혜경;위효진;박성일;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37
    • /
    • 2004
  • 본 실험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간으로부터 membrane부분에 존재하는 PC 가수분해 효소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간 조직을 초고속 원심 분리기와 nonion-detergent인 1% triton X - 100을 이용하여 membrane 부분을 분리하였으며, Heprain-Sepharose CL-6B 칼럼과 Heparin-5PW 칼럼을 이용하여 분리정제 하였다. 얻어진 PC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반응 ․ 생성물을 확인하기 위해 autoradiography를 실시하였다. 지용성 부분의 결과에서 transphosphatidylation 반응의 결과물인 PEtOH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PC-PLD임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PC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적정 pH가 6.5이하인 산성 조건 및 $37^\circ{C}$의 배양온도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가 이온들에 대한 영향의 경우 칼슘은 1.67mM 농도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냈으나, 마그네슘은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각종 세포막 기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PC는 $0.75\mu{M}$, PIP2는 $2.35\mu{M}$, PE는 $26.8\mu{M}$ 농도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부터 넙치 간조직의 막층부분에 존재하는 PC를 가수분해효소는 PC-PLD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Bioactive lipids in gintonin-enriched fraction from ginseng

  • Cho, Hee-Jung;Choi, Sun-Hye;Kim, Hyeon-Joong;Lee, Byung-Hwan;Rhim, Hyewon;Kim, Hyoung-Chun;Hwang, Sung-Hee;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09-217
    • /
    • 2019
  • Background: Ginseng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human health. Ginseng contains a bioactive ligand named gintonin. The active ingredient of gintonin is lysophosphatidic acid C18:2 (LPA C18:2). We previously developed a method for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preparation to mass-produce gintonin from ginseng. However, previous studies did not show the presence of other bioactive lipids besides LPA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fatty acids, lysophospholipids (LPLs), and phospholipids (PLs) besides LPAs in GEF. Methods: We prepared GEF from white ginseng. We us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fatty acid analysis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or PL analysis, and quantified the fatty acids, LPLs, and PLs in GEF using respective standards. We examined the effect of GEF on insulin secretion in INS-1 cells. Results: GEF contains about 7.5% linoleic (C18:2), 2.8% palmitic (C16:0), and 1.5% oleic acids (C18:1). GEF contains about 0.2% LPA C18:2, 0.06% LPA C16:0, and 0.02% LPA C18:1. GEF contains 0.08% lysophosphatidylcholine, 0.03%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and 0.13% lysophosphatidylinositols. GEF also contains about 1% phosphatidic acid (PA) 16:0-18:2, 0.5% PA 18:2-18:2, and 0.2% PA 16:0-18:1. GEFmediated insulin secretion was not blocked by LPA receptor antagonist. Conclusion: We determined four characteristics of GEF through lipid analysis and insulin secretion. First, GEF contains a large amount of linoleic acid (C18:2), PA 16:0-18:2, and LPA C18:2 compared with other lipids. Second, the main fatty acid component of LPLs and PLs is linoleic acid (C18:2). Third, GEF stimulates insulin secretion not through LPA receptors. Finally, GEF contains bioactive lipids besides LPAs.

쥐 뇌의 ${\Delta}^{5}-3{\beta}$-Hydroxy Steroid Acyl 전이효소의 용해 및 Liposome에서의 재구성 (Solubilization and Reconstitution of ${\Delta}^{5}-3{\beta}$-Hydroxy Steroid Acyl Transferase from the Rat Brain)

  • 고규정;박인호;한범구;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20-324
    • /
    • 1995
  • 쥐 뇌의 microsome으로 부터 ${\Delta}^{5}-3{\beta}$-hydroxy steroid acyl 전이효소(${\Delta}^{5}-3{\beta}$-OH-SAT)를 detergent를 이용하여 용해한 뒤에 인산지방질 liposome에서 재구성하여 처리하지 않은 microsome의 ${\Delta}^{5}-3{\beta}$-OH-SAT의 활성도와 비교하였다. 용해에 사용한 detergent중에는 deoxycholic acid가 Tween 80이나 Triton X-100 보다 우수한 ${\Delta}^{5}-3{\beta}$-OH-SAT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liposome 생성에 사용한 인산지방질중에서는 난황 및 대두 phosphatidyl-choline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이 phosphatidylethanolamine이었고 phosphatidylserine과 phosphatidic acid는 재구성하지 않은 용해된 효소보다 ${\Delta}^{5}-3{\beta}$-OH-SAT 활성도가 낮았다. 따라서 인산지방질의 head group의 4차 암모늄기나 amine기는 ${\Delta}^{5}-3{\beta}$-OH-SAT의 재구성활성을 촉진시키고 COOH기가 amine기와 함께 존재하거나 amine기가 없으면 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유도된 소낭 융합에 대한 상 비대칭의 영향 (Phase Asymmetry Effect on Vesicle Fusion Induced by Phospholipase D)

  • 박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72-676
    • /
    • 2015
  • 구형인지질이중층인 소낭이 이중에멀젼기법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소낭의 바깥층에서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촉진되는 Phosphatidylcholine의 Phosphatidic-acid 전환은 소낭의 곡률반경을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소낭들의 융합을 유도한다. 인지질층의 물성이 융합에 끼치는 영향을 형광세기변화의 측정으로 규명하였다. 측정 전에, 형광세기에 대한 융합의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8-Aminonaphthalene-1,3,6-trisulfonic acid disodium salt(ANTS)와 p-Xylene-bis(N-pyridinium bromide)(DPX)이 각각 캡슐화된 소낭들을 1:1로 섞은 조건의 형광세기를 0% 융합으로 설정하였으며, ANTS와 DPX가 섞인 채로 캡슐화된 소낭의 형광세기를 100% 융합으로 설정하였다. 형광물질의 누출을 고려하여 별도의 실험에서 누출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유도된 소낭들의 거동을 관찰한 결과, 안층이 액상인 조건에서만 융합이 일어났다. 그러나, 융합은 바깥층의 상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층의 상은 누출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결과는 층의 밀도와 측면확산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대두유 향미안정성에 있어서 인지방질의 역할 (Roles of Phospholipids in Flavor Stability of Soybean Oil)

  • 윤석후;민병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28
    • /
    • 1987
  • Silicic acid chromatography로 순수정제한 대두유 의 향미안정성에 미치는 인지방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ppm ferrous iron을 첨가한 순수정제 대두유에 300ppm 의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inositol(Pl),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glycerol(PC), cardiolipin(CL)을 개별적으로 첨가하여 $60^{\circ}C$의 오븐에서 10일간 저장한후, 시료병 윗 공간내의 총휘발성물질양 및 산소의 잔유량으로써 향미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ppm의 철분을 함유한 시료의 향미안정성은 인지방질을 첨가함으로써 개선되었는데, 이는 인지방질의 금속이온에 대한 chelating효과에 기인한 것으로써, PA. PE, PC, PG, CL, Pl의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철분을 함유하지 않은 순수정제 대두유에 인지방질을 첨가했을 경우, 그 향미안정성은 감소하였다. 즉 금속 이온이 없을 경우 인지방질은 산화촉진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인지방질의 극성부분으로 인하여, 유지의 계면에 용존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유지의 향미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는 유지내 인지방질의 농도를 금속이온을 chelating시킬 적당량만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삼잎의 지질조성에 주는 재배온도의 영향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the Composition of Leaf Lipids in Panax ginseng)

  • 박훈;조병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39-45
    • /
    • 1987
  • Panu ginseng (6 Year old) was grown $17^{\circ}C$/$15^{\circ}C$ and $27^{\circ}C$ day/$23^{\circ}C$ night in the light room of phytotron for 84 days. The composition of neutral lipid(NL), glycolipid(GL), phospholipid(PL) and fatty acids were investigated in leaves. The contents of NL and GL were higher in $25^{\circ}C$ while PL was lower. Similarity (simple correlation) of lipid composition between $16^{\circ}C$ and $25^{\circ}C$ was not significant for PL and GL but significant for NL(p = 0.001), indicating that PL and GL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mostability. Similarity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growth temperatures was highly significant (p = 0.001) for all three lipids, while similarity between lipids was significant between NL and PL (p=0.01) and NL and GL (p=0.05), but nonsignificant between GL and PL at $16^{\circ}C$. .In NL digalactosyldiacylglycerol (3->$7^{\circ}$) increased but monogalactosyldiacylglycerol (10%) did not change at $25^{\circ}C$. In PL phosphatidic acid (22 -> 4%) and phosphatidylinositol (18 -> 5%) decreased but phosphatidyl ethanolamine (12->l6%) increased at $25^{\circ}C$. Percent unsaturated acid slightly decreased in NL and PL but greatly increased in GL at $25^{\circ}C$. Percent unsaturated bond slightly decreased in NL but did not change in PL and GL.

  • PDF

여러 수분활성도에서 저장된 밀가루의 지질 조성 및 산화 (Lipid Composition and Oxidation of Wheat Flour Stored at Various Water Activities)

  • 이유성;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180-186
    • /
    • 200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water activities (Aw: 0.3, 0.5, and 0.8) on the lipid composition and oxidation of wheat flour after 28 days of storage in the dark at $60^{\circ}$C. The lipid content of the flour was 2.7%, and had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t the end of the storage period. Decrease in monoacylglycerol and increase in free fatty acids were observed, however,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glycerol, and phosphatidylinositiol were not detected after storage. Phosphatidylehtanolamine was more stable than phosphatidylcholine during the dark storage of flour. The flour lipids consisted of palmitic (18%), stearic (1%), oleic (14%), linoleic (63%), and linolenic (4%) acids, and the relative content of linolenic acid decreased after 28 days of storage. The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of the flour lipid had increased due to lipid oxidation during dark storage. Hydrolysis of neutral lipids and glycolipids, and lipid oxidation, were higher in the flour stored at Aw 0.8 than in the flour stored at Aw 0.3 or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