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eme model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공유모델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연속 어휘 군집화 모델링 (Efficient Continuous Vocabulary Clustering Modeling for Tying Model Recognition Performance Improvement)

  • 안찬식;오상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7-183
    • /
    • 2010
  • 연속 어휘 인식 시스템에서는 통계적 방법에 의한 어휘 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확률분포를 이용하며 이는 음소 단위의클러스터링을사용하여모델링하여샘플들을기반으로 확률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어휘 검색 시 추정된 확률 파라미터로부터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데 미리 정의되지 않은 음소와 추가되어진 음소로부터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하나의 클러스터링으로 모델링하므로 가우시안 모델이 정확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확률 분포의 혼합 가우시안 모델을 최적화하여 유사도를 기반으로 Euclidean과 Bhattacharyya 거리 측정 방법을 혼합한 군집화 모델을 제안하고, 군집화된 모델에서 음소 단위로 확률 모델을 탐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델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시스템 성능에서 어휘 종속 인식률은 98.63%, 어휘 독립 인식률은 97.91%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연속 어휘 인식 시스템에서 어휘 클러스터링 모델의 성능 지원을 위한 검색 시스템 (Retrieve System for Performance support of Vocabulary Clustering Model In Continuous Vocabulary Recognition System)

  • 오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339-344
    • /
    • 2012
  • 기존의 연속 어휘 인식 시스템에서는 의사 결정 트리 기반 공유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인식률 향상 시킬 수 있었으나 이들 음소 데이타에 대한 검색을 지원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해 시스템 모델의 정확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속 어휘 클러스터링 모델에서 음소 단위로 확률 모델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델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시스템 성능에서 95.88%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음소길이를 고려한 3-State Hidden Markov Model 에 의한 한국어 음소인식 (Korean Phoneme Recognition Using duration-dependent 3-State Hidden Markov Model)

  • 유현창;이희정;박병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87
    • /
    • 1989
  • 본 논문은 Markov 모델에 의한 효과적인 한국어 음소모델 작성방식과 인식에 대하여 기술한다. hidden Markov 모델은 음성신호 고유의 비정상성을 효과적으로 모델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소의 일련의 변화하는 특성, 즉 천이-안정-천이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하여 3상태 음소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음소길이가 인식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고 길이를 고려한 3상태 hidden Markov 모델을 사용하여 인식률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결정 트리 모델링에 의한 한국어 문맥 종속 음소 분류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Context-dependent Phoneme using Decision Tree Modeling)

  • 이선정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95-20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소가 좌, 우 음소에 따라 발음 방식이 달라질 때 매 음소를 모델링 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유니트 감소 알고리즘과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연구한다. 유니트 감소 알고리즘은 통계적 특성만을 이용한 알고리즘이며 결정 트리 모델링 방식은 한국어 음운정보와 통계적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종속 음소를 분류하는 방식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결정 트리를 사용하여 문맥종속 음소를 분류하는 것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결정 트리를 사용하여 분류된 문맥종속 음소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 PDF

소음문장 제거를 위한 음소지속시간 사용 (The Usage of Phoneme Duration Information for Rejecting Garbage Sentences)

  • 구명완;김호경;박성준;김재인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5월 학술대회지
    • /
    • pp.219-222
    • /
    • 200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usage of phoneme duration information for rejection garbage sentence. First, we build a phoneme duration modeling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icicion tree state tying, We assume that phone duration has a Gamma distribution. Next, we build a verification module in which word-level confidence measure is used. Finally,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n phoneme duration with speech DB obtained from the live system. This DB consistes of OOT(out-of-task) and ING(in-grammar) utterences. the usage of phone duration information yields that OOT recognition rate is improved by 46% and that another 8.4% error rate is reduced when combined with utterence verification module.

  • PDF

자연어 처리 기반 한국어 TTS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Korean TTS System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김병창;이근배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6호
    • /
    • pp.51-64
    • /
    • 2003
  •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synthesized speech,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n accurate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and prosody model from text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obust preprocessing for non-Korean characters should also be required. In this paper, we analyzed Korean texts using a morphological analyzer, part-of-speech tagger and syntactic chunker. We present a new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method for Korean using a hybrid method with a phonetic pattern dictionary and CCV (consonant vowel) LTS (letter to sound) rules, for unlimited vocabulary Korean TTS. We constructed a prosody model using a probabilistic method and decision tree-based method. The probabilistic method atone usually suffers from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inherent data sparseness problems. So we adopted tree-based error correction to overcome these training data limitations.

  • PDF

결정트리기반 음성인식 시스템에서의 음소지속시간 사용방법 (A phoneme duration modeling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ecision tree state tying)

  • 구명완;김호경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2년도 11월 학술대회지
    • /
    • pp.197-200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honeme duration modeling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isicion tree state tying. We assume that phone duration has a Gamma distribution. In a training mode, we model mean and variance of each state duration in context-independent phone model based on decision tree state tying. In a recognition mode, we get mean and variance of each context-dependent phone duration form state duration information obtaind during training mode.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posed meth with conventinal methods. Our method results in good performanc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 PDF

한국어 대화체 TTS 개발을 위한 발음 및 운율 추정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and Prosody Modeling for Korean Conversational Style TTS)

  • 이진식;김승원;김병창;이근배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35-138
    • /
    • 2006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for extracting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rules from the transcription of speech synthesis database and a prosody modeling method using the light version of ToBI for a Korean conversational style TTS. We focused o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sational speech styl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s are suitable for developing a Korean conversional style TTS.

  • PDF

공용 신경망의 다중 학습을 통한 음소와 감정 인식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Phoneme and Emotion Recognition by Multi-task Training of Common Neural Network)

  • 김재원;박호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42-74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공용 신경망을 사용하여 음소와 감정을 모두 인식하는 방법과 공용 신경망 학습을 위한 다중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공용 신경망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두 정보를 모두 인식하며, 이는 인간이 하나의 청각기관으로 여러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는 구조에 해당한다. 다중 학습은 여러 정보를 위한 공통 모델링을 진행하므로 여러 정보에 대한 일반화된 학습을 진행시켜 기존의 정보별 개별 학습에서 나타나는 과적합을 감소시키고 인식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중 학습에서 음소 인식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음소 인식 성능을 추가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일한 특성벡터와 신경망을 사용할 때, 제안한 다중 학습이 적용된 공용 신경망의 성능이 각 정보별로 학습시킨 개별 신경망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고립단어 인식 시스템에서의 거절기능 구현 (An Implementation of Rejection Capabilities in the Isolated Word Recognition System)

  • 김동화;김형순;김영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6-109
    • /
    • 1997
  • 고립단어 음성인식 시스템이 실용적이 되려면 인식 대상 이외의 단어를 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화된 음소 모델과 likelihood ratio에 의한 후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거절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본적인 음성인식 시스템은 단어 단위 연속 HMM을 사용하였고, 6개의 집단화된 음소 모델들은 음성학적으로 균형잡힌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훈련된 45개의 문맥독립 음소 모델들로부터 통계적 방법에 의하여 생성되었다. 22개의 부서 명칭을 대상으로 한 화자독립 고립단어 인식시스템에서 거절성능을 시험하여 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값과 두 번째 높은 확률값을 가지는 후보단어들 간의 차이값에 의하여 거절기능을 수행하는 기존의 후처리 방법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집단화된 음소모델은 인식 대상 어휘가 다른 고립단어 인식 시스템에도 재훈련 없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