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imosi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6초

생리적 포경 치료를 위한 역가가 다른 스테로이드 연고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icacy of Steroid Oint with Different Potency in Phimosis)

  • 황인옥;이은실;박용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594-598
    • /
    • 2005
  • 목 적 : 포경이라 함은 포피가 귀두부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뒤로 당겨지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포경은 영 유아 시기에 남아에 있어 요로 감염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어 영 유아에 있어서 포경에 대한 일차적인 치료로 포경 수술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최근 포경 수술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고 그 대안으로 스테로이드 연고의 국소 치료가 대두되고 있다. 포경 수술의 대안으로서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의 효과와 스테로이드 역가가 치료 효과와 부작용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생리적 포경이 심한 4세 이하 남아 53명을 대상으로 저역가 스테로이드 연고 치료군(이하 1군) 27명과 고역가 스테로이드 연고 치료군(이하 2군) 26명으로 나누어 연고를 포피에 도포하고 물리치료를 병행하여 나타나는 치료 효과를 전향적으로 조사, 비교하였고 치료 성공 환아는 치료 종료 한달 후 포경 재발과 요로 감염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 과 : 스테로이드 역가에 따른 각 주별 치료 효과를 비교한 결과 치료 시작 1주 후 치료가 성공된 경우는 1군에서는 2명(7.7%), 2군에서는 2명(7.7%)이었으며 그 이후 성공률은 점점 증가하여 치료 시작 후 6주에는 1군에서는 21명(80.8%), 2군에서는 22명(84.6%)이었다. 각 주별로 두 군간에 치료 성공률에는 유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대상아의 나이, 치료 시작 전 포피 상태, 기왕력의 유무에 따른 성공률의 차이는 없었다. 스테로이드로 인한 부작용으로는 처음 치료 물리 치료 시작시 보챔(5명)과 경미한 소양감(1명)을 보였으나 치료 일수 경과에 따라 증상이 소실되었고 소량의 혈성 분비물(1명)을 보인 환아는 치료를 중단하였다. 치료 종료 한달 후 추적 관찰 시 3명의 환아에서 포경이 재발하였으며 모두 스테로이드 연고 국소 도포 종료 후 지속적인 물리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경우였다. 결 론 : 저역가와 고역가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포경이 있는 영 유아에게 국소 도포하고 물리치료를 병행한 것은 포경 치료에 효과적이었으며, 저역가 스테로이드 연고가 고역가 스테로이드로 치료하는 경우보다 치료 기간이 더 많이 필요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그리고 치료 종료 후 요로 감염이 발생한 예는 없었다. 포경에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도포한 치료를 한 경우 치료가 성공한 이후에도 지속적인 물리 치료는 필요하며, 적절한 물리 치료의 기간이나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의 도포에 따른 전신적 부작용에 대한 조사는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스테로이드 국소 요법이 포경을 가진 영 유아에서 비뇨생식기계 감염의 재발 또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좀 더 큰 규모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마리 고양이에서 선천적 또는 후천적 포피 폐쇄증의 외과적 치료 증례 (Surgical Correction of a Congenital or Acquired Phimosis in Two Cats)

  • 윤헌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3-126
    • /
    • 2013
  • 수컷, 4개월령 단모종 고양이가 배뇨곤란 및 혈뇨 증상으로 수컷, 4 년령 단모종 고양이가 배뇨곤란 증상으로 각각 내원하였다. 고양이 1에서 포피 부종, 포피 구멍 주위 발적, 포피 구멍 내 소변 저류를 확인 하였고 작은 포피 구멍으로 인해 음경이 포피 밖으로 배출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고양이 2에서는 포피 구멍 주위 피부 괴사, 작은 포피 구멍, 포피 구멍 내 소변 저류를 확인 하였다. 작은 포피 구멍의 확장과 발적 또는 괴사된 포피 구멍 주위 피부의 제거 그리고 과도하게 부어 오른 포피 점막 제거를 위해 포피 구멍 주위 피부의 둥근 모양 절제를 실시하였다. 절제 된 포피 점막과 같은 쪽 피부 가장 자리를 봉합 하였다. 수술 후 정기 검진은 신체 검사를 통해 각각 22개월 및24개월 동안 실시 되었으며 배뇨 곤란 및 혈뇨 증상이 관찰 되지 않음을 확인 하였다. 포피 구멍 주위 피부의 둥근 모양 절제술은 포피 폐쇄증을 보이는 두 마리 고양이에서 포피 구멍 확장을 통한 음경의 포피 밖 배출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포피 주위 피부 및 점막이 괴사 되어 둥근 모양 절제가 필요한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사료 된다.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and Post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Undergoing Elective Circumcis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 Zavras, Nick;Tsamoudaki, Stella;Ntomi, Vasileia;Yiannopoulos, Ioannis;Christianakis, Efstratios;Pikoulis, Emmanuel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8권4호
    • /
    • pp.244-253
    • /
    • 2015
  • Background: Although circumcision for phimosis in children is a minor surgical procedure, it is followed by pain and carries the risk of increased postoperative anxiety. This study examined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and anxiety in children undergoing circumcision.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children scheduled for elective circumcision. Circumcision was performed applying one of the following surgical techniques: sutureless prepuceplasty (SP), preputial plasty technique (PP), and conventional circumcision (CC). Demographics and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nd assessment of the level of preoperative anxiety was performed. Subsequently, a statistical model was designed in order to examine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and postoperative anxiety. Assessment of postoperative pain was performed using the Faces Pain Scale (FPS). The Post Hospitalization Behavior Questionnaire study was used to assess negative behavioral manifestations. Results: A total of 301 children with a mean age of $7.56{\pm}2.61$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measured with the FPS included a) the type of surgical technique, b) the absence of siblings, and c)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anxiety included a) the type of surgical technique, b) the level of education of mothers, c) the presence of preoperative anxiety, and d) a history of previous surgery. Conclusions: Although our study was not without its limitations, it expands current knowledge by adding new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and postoperative anxiety. Clearly,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its results.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의 원인으로서 생리적 포경 : 스테로이드 국소 도포와 포피 위생의 효과 (Physiologic Phimosis as a Caus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or Aseptic Pyuria : Therapeutic Effect of Topical Steroid Therapy and Preputial Hygiene)

  • 안정;김태연;김경효;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207-214
    • /
    • 2009
  • 목적 :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의 원인을 생리적 포경에서 찾아보고 스테로이드 국소치료와 포피 위생이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의 소실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가 확인된 90명의 남아에서 포피의 견인도에 따라 생리적 포경을 비견인 포피와 견인 포피로 구분하였고 포피 위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비견인 포피군(n=59)에서는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hydrocortisone 0.1% 크림 국소도포와 견인, 3회/일) 와 포피 위생 교육을, 견인 포피군(n=31)에서는 포피 위생 교육을 시행하였다. 포피 국소치료 2-4주 후 포피의 견인도를 재평가하였고 소변검사를 시행하여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의 소실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를 보인 남아의 65.6%에서 비견인 포피가 관찰되었고 대상아 모두(100%)에서 포피 위생을 시행하지 않았었다. 비견인 포피군(n=59)에서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 후에 48명(81.4%)에서 견인 포피로 호전되었다. 견인포피로 전환된 경우(n=48),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는 77.1%에서 소실, 18.7%에서 감소, 4.2%에서 지속되었고 이는 비견인 포피가 지속된 경우(n=11)의 18.2%, 27.3%, 54.5%에 비하여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4). 견인포피군(n=31)에서는 포피 위생에 순응한 경우(n=23)에 무증상 세균뇨/무균성 농뇨가 65.2%에서 소실, 26.0%에서 감소, 8.2%에서 지속되어 포피 위생에 순응하지 않은 경우(n=8)의 12.5%, 50%, 37.5%에 비하여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457). 결론 : 생리적 포경이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의 중요한 원인이며 비견인 포피에 대한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나 포피 위생 등 간단한 치료로 무증상 세균뇨와 무균농뇨의 상당수가 호전될 수 있었다.

일차성 방광요관역류 소아에서 항생제 예방요법 중에 발생한 재발성 요로감염의 빈도와 위험인자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during Antibiotic Prophylaxis in Children with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 조수진;김현진;이정원;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46-55
    • /
    • 2005
  • 목 적 : 일차성 방광요관역류 소아에서 재발성 요로감염은 신반흔의 원인으로 장기간 저용량 항생제 예방요법이 권장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항생제 예방요법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항생제 내성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이에 일차성 발광요관역류 소아에서 항생제 예방요법의 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항생제 예방요법에 발생한 재발성 요로감염의 빈도와 위험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소아과에서 첫 발열성 요로감염 후에 일차성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어 1년간 저용량의 trimethoprim-sulfimethoxazole을 투여 받은 9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재발성 요로감염의 빈도와 요로감염의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재발성 요로감염은 31.9%(29/91)에서 발생하였고 이는 0.32회/환자년 이였다. 발열성 요로감염은 0.26회/환자년이였고 비발열성 요로 감염은 0.07회/환자년이였다. 포경 남아에서 요로 감염의 재발율은 37.2%(19/54)로 포경이 없는 남아의 0%(0/5)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25). 위험 예측치는 신반흔에서만 유의하게 높았다[RR=3.8(95% CI 1.0-14.1), P=0.04]. 여아, 연령, 급성신우신염, 배뇨장애 및 원인균 등은 위험인자로 작용하지 않았고 방광요관역류의 정도에 짜른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결 론 : 일차성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소아에서 항생제 예방요법은 요로감염의 재발을 억제하지 못히였다. 포경과 신반흔이 재발성 요로감염의 위험요인이였고 방광요관역류의 정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일차성 방광요관역류 소아에서 우선적으로 포경과 신반흔이 없는 소아에서부터 항생제 예방요법을 시행하지 않는 무작위 대조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alvage Operation for Total Penis Amputation Due to Circumcision

  • Ince, Bilsev;Gundeslioglu, Ayse Ozle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47-250
    • /
    • 2013
  • Circumci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rituals in Jewish and Islamic cultures. It may also be performed for phimosis correction 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balanitis. Although circumcision is considered to be a technically easy and safe surgical procedure with no significant risk, it may lead to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necrotizing fasciitis or total penis amputation.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of penis amputation at two levels occurring with third-degree burns due to electrocautery during circumcision. Although penile replantation was attempted, it was unsuccessful due to burn damage to the veins. After restoration of the functional structures, the penis was buried in the inguinal area by reepithelization to maintain blood circulation. The recovery of the penis was successful. This case is presented as a novel example of groin flap surgery to achieve a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acceptable outcome in a salvage operation for a penis with significant traumatic injury,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Clinical Guideline for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 (Second Revision)

  • Lee, Seung Joo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56-64
    • /
    • 2015
  • To revise the clinical guideline for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7), the recently updated guidelines and new data were reviewed. The major revisions are as follows. In diagnosis, the criterion for a positive culture of the catheterized or suprapubic aspirated urine is reduced to 50,000 colony forming uits (CFUs)/mL from 100,000 CFU/mL. Diagnosis is more confirmatory if the urinalysis is abnormal. In treating febrile UTI and pyelonephritis, oral antibiotics is considered to be as effective as parenteral antibiotics. In urologic imaging studies, the traditional aggressive approach to find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VUR) and renal scar is shifted to the targeted restrictive approach. A voiding cystourethrography is not routinely recommended and is indicated only in atypical or complex clinical conditions, abnormal ultrasonography and recurrent UTIs. $^{99m}Tc$-DMSA renal scan is valuable in diagnosing pyelonephritis in children with negative culture or normal RBUS. Although it is not routinely recommended, normal scan can safely avoid VCUG. In prevention, a more natural approach is preferred. Antimicrobial prophylaxis is not supported any more even in children with VUR. Topical steroid (2-4 weeks) to non-retractile physiologic phimosis or labial adhesion is a reasonable first-line treatment. Urogenital hygiene is important and must be adequately performed. Breast milk, probiotics and cranberries are dietary factors to prevent UTIs. Voiding dysfunction and constipation should be properly treated and prevented by initiating toilet training at an appropriate age (18-24 months). The follow-up urine test on subsequent unexplained febrile illness is strongly recommended. Changes of this revision is not exclusive and appropriate variation still may be accepted.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zing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서동오;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of use for the preparation of more desirable sex education system at elementary school, by making content analysis of the current textbooks related to sex education and surveying what opinions the persons concerned ha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at kind of sex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m. And questionnaires on how to improve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were prepared, by which 207 male and female teachers were surveyed in the city of Paju and Koyang, Kyonggi provi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Content Analysis of Textbook Sex Edu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sex education was relatively much included in textbooks of the right life, morality and physical education. Although morality was a subject to be instructed for the third-grade students or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rtually received sex education from the first grade, as the right life and the joyful life were a subject for the lower-grade students, and this met the goal of sex education or the need of the times. However, sex education content leaned heavily toward family, family life or parental love. There was no mutual complement among subjects, and no link among grades, either. 2. Teacher Opinion on Sex Education Content for Each Grade When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if sex education content was appropriate for each grade, they answered 20 item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6 items might be left out. And there were 6 items regarded by them as one that should be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grade. 3. The Ideal Opinion of Sex Education Content The following model c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which was designed to meet the objectives of school sex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offer a systematic link among grades, based on the findings by textbook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o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ntent selected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my body, cleanness of genitals, male-female cooperation, and family cooperation. For the second grade, the selected content was male-female physical difference, male female psychological difference, parental and I(origin of a birth). For the third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important a body(cleanness of genitals), birth of a life, and male-female comprehension and cooperation. For the four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physical development, management of genitals,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propagation and growth of organism, concern for the other sex, comprehension of and cooperation with the other sex,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Four the fif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operation for phimosis,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nital organs, birth and growth of a baby, television/sex information, and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or the six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male-female cooperation, male and female role, male-female manners,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amily and family life. Finally, what should be taught in sex education must be studied constantly, as it should be revised or supplemented periodically, according to student's sexual maturity or social, cultural changes.

  • PDF

울릉도 여성들의 자궁경부 세포학적 검사소견과 관련요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nical Pap. Smear Findings and Related Factors for Uterine Cervical Cancer in Ullungdo Females)

  • 윤인숙;이혜자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3-151
    • /
    • 1998
  • 1998년 8월 5일부터 1998년 8월 12일까지 8일간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지역 여성 330명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발생과 관련된다고 알려진 역학적 요인의 설문과 자궁경부암 집단검진으로 많이 이용되는 자궁경부 Pap. smear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사자의 평균연령은 52.1세였고 50대와 60대의 연령분포가 전체 검사자의 49.0%를 차지하였으며, 교육정도는 중학교 이하가 56.9%로 낮은 교육수준을 나타내었고, 첫 성교연령은 21세 이하가 43.9%를 차지하였고, 첫 임신연령은 21세 이하에서 33.3%로 나타났다. 총 임신횟수는 5회 이상인 대상자는 전체의 52.1%를 차지하였고, 5회 이상의 출산을 한 응답자는 전체의 24.5%였다. 전체의 68.8%에서 유산경험이 있었으며, 대상자의 80.0%에서 남편이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은 전체의 52.1%에서 증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증상이 있는 응답자의 증상으로는 대하 48.3%, 소양증 21.5%로 나타났다. 자궁암세포검사 경험과 빈도에서 자궁암세포검사를 받아본적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63.9%였으며, Pap. smear결과와 검사유무의 관찰에서 정상군보다 비전형세포와 이형성증이 있는 군에서 검사를 받아 본 경험이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다(p<0.05).검사를 받아 본 응답자 중 검사경험자의 44.1%에서 단 1회의 검사를 받아보았고, 30.3%는 비정기적으로 검사하였다. 한 번도 검사를 받은 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이유로는 특별한 이상이 없었기 때문 51.3%, 부끄러움 때문에 16.8%나타났다. 자궁경부도말의 세포학적 검사결과는 정상 45.8%, 염증 47.3%, 트리코모나스증과 캔디다증이 1.8%, 비정형세포 4.5%, 이형성증이 0.6%였다.인되어, 국내에서도 진드기 교상시 이들 두 가지 열성질환이 동시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됨으로 진드기 매개성 열성질환에 대한 적절한 진단법 등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A typing 방법은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종류의 HLA 대립 유전자형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tissue typing 실험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DNA typing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한국인의 HLA-class I, II 유전자군의 유전자형 빈도는 골수이식을 비롯한 각종 이식검사, 특수 질환 관련검사나 인류유전학연구 등 HLA 유전자의 임상적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있음을 볼 수 있으며 하루 세끼의 식사형태에서 밥을 중심으로 하는 비율은 국내 보다 크게 낮았지만 여전히 다른 식사형태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고유의 식문화 특성을 가지면서 거주지역의 식품생산 및 사회 문화적 특성에 영향을 받음으로써 거주국의 식품, 식사 형태, 조리방법을 도입하는 등 부분적으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가장 시급한 개선점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급식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학교식당은 맛, 다양한 메뉴의 식단, 위생, 가격의 저렴 등을 통해서 급식대상자들이 만족한 급식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을 통해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er (p<0.05), $T_{max}$ might be an insignificant parameter because cyclosporin A generally requires long-term administration. From these results, the two produ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