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romone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1초

성 pheromone에 의한 이화명나방의 교미교란에 관한 연구 (Field Study on Mating Confusion of Synthetic Sex Pheromone in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Lepidoptera: Pyralidae))

  • 이정운;박중수;고현관;김정한;전종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0
    • /
    • 1981
  • 성 pheromone을 이용한 이화명나방의 교미교란효과를 구명하고저 합성 성 pheromone, (Z)-11-hexadecenal과 (Z)-13-octadecenal을 4,5 : 1로 공시하여 본 시험을 야외에서 수행한 결과 1화기에는 30a당 합성성 pheromone 29.3g 처리한 구에서 $90.4\%$의 교미교란효과가 인정되었고 2화기에는 $20m^2$당 합성 성 pheromone 33mg 처리까지도 교란효과가 있었다.

  • PDF

일주기와 관련된 솔껍질깍지벌레 암컷성충의 성훼로몬 체내생산 및 발산 (Daily Rhythm of Pheromone Production and Release by Females of the Black Pine Base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 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99
    • /
    • 1991
  • 솔껍질깍지벌레 암컷성충의 일주기와 관련된 성훼로몬의 체내생산과 발산 습성을 밝히기 위하여 우화후 시간별로 성훼로몬의 보유량 및 발산량을 조사하였다. 체내 생산량 및 발산량은 공히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2시사이에 가장 많았으며 오후 4시 이후는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또한 우화후 3일이 경과하면 점점 감소하였다. 본 곤충의 생식활동에 있어 성훼로몬의 발산과 암수성충활동의 일주기가 일치하는 것의 의미가 검토되었다.

  • PDF

복숭아명나방에 대한 페로몬 트랩의 처리조건에 따른 유인효과 (Attractive Effect using Pheromone Trap of Various Conditions Against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 김영재;김현경;강길남;김영명;문선주;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0-205
    • /
    • 2013
  • 성페로몬(Sexual pheromone)을 이용한 교미교란(Mating disruption)으로 인한 새로운 방제법(Alternative pest control)검정을 위하여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acute{e}$e)을 방제하는 방법 중 하나인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유인효과를 조사하였다. 델타트랩을 이용한 복숭아명나방의 유인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페로몬의 성분 (E)-10-hexadecenyl aldehyde (E10-16:A1)과 (Z)-10-hexadecenyl aldehyde (Z10-16:A1)의 비율을 다양하게 혼합한 실험에서는 75:25에서 가장 높은 유인효과를 보였다. 페로몬 성분의 국내산과 수입제품의 비교 실험에서는 성분비가 90:10일때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75:25일 경우에서는 수입페로몬성분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유인효과를 보였다. 페로몬을 이용한 유인력 실험은 공주지역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처리량에 따른 유인활성은 공주지역은 2.5 mg/lure, 청양은 1 mg/lure에서 가장 높은 유인활성을 보였으며, 부여에서는 페로몬의 양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복숭아명나방의 방제에 대한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밤 재배 농가에서 해충 방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발생예찰을 위한 효율적인 페로몬 트랩 및 설치높이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for Attracting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in Soybean Field)

  • 백채훈;이건휘;오영진;박정규;황창연;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9-65
    • /
    • 2009
  • 본 연구는 콩 포장에서 문제가 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예찰을 위한 효율적인 페로몬트랩 및 설치높이를 구명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발생예찰에 적합한 페로몬 트랩은 피쉬(통발)트랩이며, 지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유인량이 가장 많았다. 페로몬 트랩에 유인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암수 성비는 1.5:1로 암컷 성충이 가장 많았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 트랩에 가로줄노린재도 동시에 포획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 트랩에 대한 수입제품과 국내제품의 유인력을 조사한 결과, 수입제품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만 유인하였고, 국내제품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를 유인하였다. 합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은 8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 상순에 최대발생시기를 보였고, 포충망을 이용한 발생시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성충의 비행습성 및 합성페로몬에 대한 반응 (Flight of Matsucoccus thrubergianae Males and Their Response to the Synthetic Sex Pheromone (Homoptera: Coccoidea ; Margarodidae))

  • 박승찬;위안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0-256
    • /
    • 1994
  •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비행습성 및 합성페로몬에 대한 반응이 해송 피해림에서 조사되었다. 해송임분내에서 수컷성충의 자연비행밀도는 수관부위가 지표면 근처보다 높았다. 페로몬 50$\mu\textrm{g}$을 처리한 장소로부터 페로몬이 처리되지 않은 끈끈이 트래? frjflquf로 설치하여 수컷의 부착수를 조사한바 페로몬에 영향 받는 거리는 10mm이하로 조사되었다. 합성페로몬 50$\mu\textrm{g}$은 높은 유인효과가 있었으나 1$\mu\textrm{g}$처리구는 유인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수관 울폐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지상높이별 유인개체수는 자연비행 밀도와 같이 수관상부가 지표면 근처보다 많았으나 울폐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지표면 근처에서 더 많은 개체가 유인되는 경향이었다. 본 해충의 신규발생지 조사에 있어 알주머니 육안조사에 의한 관해 방법 및 페로몬트랩에 의한 방법을 비교한바 페로몬트랩에 의한 조사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1$\times$1$\times$1m의 공간에 합성페로몬 32mg을 처리한 경우 교미교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집합페로몬의 함량과 방출기 종류에 따른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의 유인 (Attraction of Plautia stali (Hemiptera: Pentatomidae) to Different Amounts of Its Aggregation Pheromone and the Effect of Different Dispensers)

  • 박경미;장신애;최선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3-127
    • /
    • 2010
  •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 methyl (E,E,Z)-2,4,6-decatrienoate의 함량별, 방출기종류별 갈색날개노린재에 대한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페로몬 방출기의 종류별로는 polyethylene-vial, rubber septum, polyethylene tube의 세 가지 형태를 검토하였는데, 방출기 간에 갈색날개노린재와 썩덩나무노린재에 대한 유인력 차이가 없었다. 페로몬 함량별로 보면, 암컷의 경우 40 mg 트랩에서 가장 많이 유인되었으나 다른 함량과 통계적 차이가 없었고, 수컷의 경우에는 40, 50 mg 트랩에서 7, 20, 60 mg 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다. 따라서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 예찰용 페로몬 미끼는 미끼당 페로몬의 함량을 40mg으로 하는 것이 실용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olfactory self- and cross-adaptation on perceiving odor in a moth

  • Qian, Kai;Chen, Haibin;Wan, Xinl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2권2호
    • /
    • pp.60-68
    • /
    • 2016
  • Pheromone orientation in moths is an exemplar of olfactory sensitivity. To avoid cross mating, the responses of males to pheromone blends must be high specificity and temporal resolution. We tested the effects of olfactory self- and cross-adaptation of pheromone compounds and mixtures in Spodoptera litura moths by electroantennogram (EAG) recordings. The challenge of S. litura antennae to a pulse train of its own pheromone blends of Z9,E11-14:OAc and Z9,E12-14:OAc with 200 ms on/off and 1 s on/off indicated that the repetitive stimulation by 200 ms on/off with high dosages resulted in greater adaptation than that by 1 s on/off with low dosages and the adaptation index of Z9,E11-14:OAc in all treatments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Z9,E12-14:OAc, suggesting that high dosages with more frequent stimulation prefer to induce sensory adaptations and a different odor coding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the antennal periphery in this moth. The cross-adaptation EAG test among the two pheromone compounds and Z7-12:OAc and Z9-14:OH from congeneric species of S. litura showed that each of these compounds adapted the antenna more to that specific compound. The significantly higher adaptation to Z7-12:OAc and Z9-14:OH than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induced by themselves suggested that both of them are coded by specific odor receptor neur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tuned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 Thus, we proposed that Z7-12:OAc and Z9-14:O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voidance of heterospecific mating between S. litura and its sympatric moth species.

Correctum : Effects of olfactory self- and cross-adaptation on perceiving odor in a moth

  • Qian, Kai;Chen, Haibin;Wan, Xinl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3권2호
    • /
    • pp.149-149
    • /
    • 2016
  • Pheromone orientation in moths is an exemplar of olfactory sensitivity. To avoid cross mating, the responses of males to pheromone blends must be high specificity and temporal resolution. We tested the effects of olfactory self-and cross-adaptation of pheromone compounds and mixtures in Spodoptera litura moths by electroantennogram (EAG) recordings. The challenge of S. litura antennae to a pulse train of its own pheromone blends of Z9,E11-14:OAc and Z9,E12-14:OAc with 200 ms on/off and 1 s on/off indicated that the repetitive stimulation by 200 ms on/off with high dosages resulted in greater adaptation than that by 1 s on/off with low dosages and the adaptation index of Z9,E11-14:OAc in all treatments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Z9,E12-14:OAc, suggesting that high dosages with more frequent stimulation prefer to induce sensory adaptations and a different odor coding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the antennal periphery in this moth. The cross-adaptation EAG test among the two pheromone compounds and Z7-12:OAc and Z9-14:OH from congeneric species of S. litura showed that each of these compounds adapted the antenna more to that specific compound. The significantly higher adaptation to Z7-12:OAc and Z9-14:OH than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induced by themselves suggested that both of them are coded by specific odor receptor neur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tuned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Thus, we proposed that Z7-12:OAc and Z9-14:O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voidance of heterospecific mating between S. litura and its sympatric moth species.

Neuropeptide Signaling Regulates Pheromone-Mediated Gene Expression of a Chemoreceptor Gene in C. elegans

  • Park, Jisoo;Choi, Woochan;Dar, Abdul Rouf;Butcher, Rebecca A.;Kim, Kyuhy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1호
    • /
    • pp.28-35
    • /
    • 2019
  • Animals need to be able to alter their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rograms in respons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lasticity is mainly mediated by changes in gene expression. The knowledge of the mechanisms by which environmental signals are transduced and integrated to modulate changes in sensory gene expression is limited. Exposure to ascaroside pheromone has been reported to alter the expression of a subset of putative G protein-coupled chemosensory receptor genes in the ASI chemosensory neurons of C. elegans (Kim et al., 2009; Nolan et al., 2002; Peckol et al., 1999). Here we show that ascaroside pheromone reversibly represses expression of the str-3 chemoreceptor gene in the ASI neurons. Repression of str-3 expression can be initiated only at the L1 stage, but expression is restored upon removal of ascarosides at any developmental stage. Pheromone receptors including SRBC-64/66 and SRG-36/37 are required for str-3 repression. Moreover, pheromone-mediated str-3 repression is mediated by FLP-18 neuropeptide signaling via the NPR-1 neuropeptide recep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vironmental signals regulate chemosensory gene expression together with internal neuropeptide signals which, in turn, modulate behavior.

순회 판매원 문제에서 개미 군락 시스템을 이용한 효율적인 경로 탐색 (Efficient Path Search Method using Ant Colony System in Traveling Salesman Problem)

  • 홍석미;이영아;정태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9호
    • /
    • pp.862-866
    • /
    • 2003
  • 조합 최적화 문제인 순회 판매원 문제(Traveling Salesman Problem, TSP)를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과 Local Search Heuristic인 Lin-Kernighan(LK) Heuristic[1]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은 최적 해를 구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TSP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접근법으로 ACS(Ant Colony system)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새로운 페로몬 갱신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CS 알고리즘은 다수의 개미들이 경로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각 에지상의 페로몬 정보를 이용하며, 이러한 반복적인 경로 생성 과정을 통해 최적 해를 발견하는 방법이다. ACS 기법의 전역 갱신 단계에서는 생성된 모든 경로들 중 전역 최적 경로에 속한 에지들에 대하여 페로몬을 갱신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전역 갱신 규칙이 적용되기 전에 생성된 모든 에지에 대하여 페로몬을 한번 더 갱신한다. 이 때 페로몬 갱신을 위해 각 에지들의 발생 빈도수를 이용한다. 개미들이 생성한 전체 에지들의 발생 빈도수를 페로몬 정보에 대한 가중치(weight)로 부여함으로써 각 에지들에 대하여 통계적 수치를 페로몬 정보로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ACS 알고리즘보다 더 빠른 속도로 최적 해를 찾아내며 더 많은 에지들이 다음 번 탐색에 활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 최적화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