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s-rich frac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Chemical Composition of Cactus Pear Seed Oil: phenolics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 Ali, Berraaouan;Abderrahim, Ziyyat;Hassane, Mekhfi;Marianne, Sindic;Marie-Laure, Fauconnier;Abdelkhaleq, Legssyer;Mohammed, Aziz;Mohamed, Bnouham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29
    • /
    • 2022
  • Objectiv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actus pear seed oil (Opuntia ficus-indica [L.] Mill.)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fatty acid composition, tocopherol content, phenolic identification, and the oil's phenolic-rich fraction antioxidant power was determined. Methods: Fatty acid profiling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an FI detector. Tocopherols and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by LC-FLD/UV, and the oil's phenolic-rich fraction antioxidant power was determined by phosphomolybdenum, DPPH assay and β-carotene bleaching test. Results: Fatty acid composition was marked by a high unsaturation level (83.22 ± 0.34%). The predominant fatty acid was linoleic acid (66.79 ± 0.78%), followed by oleic acid (15.16 ± 0.42%) and palmitic acid (12.70 ± 0.03%). The main tocopherol was γ-tocopherol (172.59 ± 7.59 mg/kg. In addition, Tyrosol, vanillic acid, vanillin, ferulic acid, pinoresinol, and cinnamic acid were identified as phenolic compounds in the analyzed seed oil. Moreover, the oil's phenolics-rich fraction showed a significant total antioxidant activity, scavenged DPPH up to 97.85%, and effectively protected β-carotene against bleaching (97.56%).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potential use of cactus pear seed oil as a functional food.

Evaluation of Forest Tree Leaves of Semi-hilly Arid Region as Livestock Feed

  • Bakshi, M.P.S.;Wadhw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6호
    • /
    • pp.777-783
    • /
    • 2004
  • Samples of 13 species of forest tree leaves fed to livestock in the semi-hilly arid zone of Punjab State in India were collected at 30 d interval for 12 months, in order to assess their nutritional worth for livestock. The ground samples were pooled for 4 different seasons viz. dry hot, hot humid, fall and winter. The chemical composition irrespective of the season revealed that CP content varied between 8.9 (Carrisa) to 22.0% (Leucaena). Globulin was the major protein fraction in most of the leaves. The lowest concentration of cell wall constituents was observed in Morus alba and Grewea. The leaves in general became fiberous and lignified during winter and fall as compared to summer season. The leaves of Grewea, Morus alba, Leucaena, Carrisa and Acacia were rich in Ca, P and most of the trace elements. The total phenolics ranged between 1.88% (Azardirachta) to 15.82% (Acacia). The leaves of Acacia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ydrolysable tannins (14.6%) whereas that of Carrisa had that of condensed tannins (5.9%). The condensed tannins (more than 3%)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crude protein (CP). The digestion kinetic parameters for DM, NDF and CP revealed that leaves of Morus alba, Zizyphus and Ehretia had highest insoluble but potentially degradable fraction. The minimum rumen fill values also revealed that leaves of Grewea, Azardirachta, Morus, Ehretia and Leucaena had great potential for voluntary DM intake. The leaves of Ougeinia, Malha, Dodenia and Carrisa had significantly higher rumen fill value indicating poor potential for voluntary DM intake. Seas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digestion kinetic parameters except that most of the leaves had low potentially degradable fraction, which was degraded at slow rate during winter.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ves of Morus, Ehretia, Grewea and Leucaena had great potential as livestock feed, while feeding of Ougeinia, Malha and Dodonea leaves should be avoided.

대추 열매와 잎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and Leaf)

  • 김일훈;정창호;박수정;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1-348
    • /
    • 2011
  • 대추 열매와 잎을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매와 잎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71.92% 및 41.51%로 나타났으며, 열매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Ca(72.14 and 3,252.09 mg/100 g), K(899.82 and 1,708.12 mg/100 g) 및 P(172.11 and 286.28 mg/100 g).이었다. 열매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13.01%)와 fructose(7.35%)였으며, 잎에서는 sucrose(3.94%)와 fructose(0.75%)였고, 비타민 C 함량은 열매(135.73 mg/100 g)가 잎(100.43 mg/100 g)보다 높았다.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과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methionine과 cyst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대추 열매와 잎의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잎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는데, 이는 rutin과 quercitrin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대추 잎의 페놀성 화합물은 효과적이면서도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 재료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Deastringent Peel Extra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Protect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 Jeong, Da-Wool;Cho, Chi Heung;Lee, Jong Suk;Lee, Seung Hwan;Kim, Taewan;Kim, Da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094-1104
    • /
    • 2018
  • The peel of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is a by-product of dried persimmon (gotgam). We investigated if deastringent peel extracts of persimmon cv. Cheongdo-Bansi had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properties. Two different extracts were prepared: thermally and nonthermally treated persimmon peel extracts (TPE and NTPE, respectively). Both TPE and NTPE were fractionated sequentially in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capacities among all the fractions. Pretreatment of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with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increased cell viability after exposure to oxidative stres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PE attenuated oxidative stress inside both PC-12 and SH-SY5Y cells more effectively than that of NTPE. Furthermore,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Analysis of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results revealed gallic acid, kaempferol, kaempferol-3-O-galactoside,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 quercetin3-O-galactoside, quercetin-3-O-galactoside-2'-O-gallate, and quercetin-3-O-glucoside as the major phenolics of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deastringent persimmon peel is rich in antioxidants and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to reduce oxidative stress.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산화방지, 산화질소 제거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effect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pancreatic cancer cell proliferation)

  • 박민경;윤혜지;이화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9-215
    • /
    • 2018
  • 치자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분획-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와 뷰탄올 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함을 하였고,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와 환원력 실험에서 강력한 라디칼 제거와 환원능력을 나타냈다. 또한 치차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의 라디칼 제거 활성을 세포수준에서 평가한 결과, LPS로 활성화된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발생하는 과량의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였고,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췌장암 세포주의 증식과 이동성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이 라디칼 제거효과, 과산화수소 유도형 암세포의 증식과 이동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당뇨처방에 근거한 생약재 복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a Medicinal Herb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6-922
    • /
    • 2011
  • 본 연구는 다양한 생약재를 사용하여 생약재 복합물을 구성하고, 복합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추출 수율은 물 추출물이 35.00%, 에탄올 추출물 25.33%이었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층의 수율이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64% 및 3.76%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4% 및 2.42%이었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5.04% 및 4.56%이었으며, 용매별 분획물 중 ethyl acetate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또한 ethyl acetate층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와 ${\rho}$-coumaric acid이었다.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43.32% 및 41.32%이었으며, 각각의 용매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패턴과 유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8% 및 8.94%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자공여능과 유사하였다.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몇가지 생리활성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 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3
    • /
    • 1994
  •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분석된 9개 시료(감잎, 들깨씨, 모과, 생강, 호두, 쑥, 칡뿌리 메밀, 수수)를 선택하여 소화효소에 대한 활성저해, 식품오염세균에 대한 항균성, 그리고 Ames 법에 의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보았다. 소화효소 활성저해를 실험한 7개시료중 모과만이 $\alpha-amylase$에 대해 97%의 활성저해를 보였고, 무경쟁저해를 나타냈다. Pretease에 대하여 모과, 감잎, 쑥은 각각 86%, 51%, 20%의 저해효과를 보였고, 이때 쑥시료는 비경쟁저해를 나타냈다. Lipase는 모든 식품에 의해 50%이상 활성화되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저해는 축합형 탄닌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9)를, protease는 총페놀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4)를 보였다. 표준물질인 tannie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catechin과 7개 식품시료의 총페놀 분획을 얻어 항균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tannic acid는 3균주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들깨, 수수, 칡뿌리는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인 반면 Salmonella enteritidis와 Streptococcus faecalis에 대해서는 시료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준물질 및 9개 식품의 총페놀 분획은 모두 Salmoni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해 돌연변이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benzo[a]pyrene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 tannic acid는 TA98의 경우 $40{\sim}80%$, TA100의 경우 $70{\sim}95%$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다. TA100에 대해 모과는 30%의, 호두는 44%의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으나 기타 식품에서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용액에 침지하여 $-3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저장 85일경과 후에도 품질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찹쌀 또는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두 원료를 혼합했을 경우에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열속도는 급속히 증가하였다.하였다. 6. 수분(水分) potential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이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에서 콩보다 인삼(人蔘)이 낮았으며,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및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인삼(人蔘)의 광합성(光合成)이 타식물(他植物)보다 낮은 것은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 수분(水分) potential이 낮은 것과도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1g\;/\;\ell$ 이였으며, White+NAA $4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1g\;/\;\el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