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ri-dish assa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Alfalfa Plant Extracts on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Forages

  • Chon, Sang-Uk;Choi, Seong-Kyu;Park, Sang-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310-315
    • /
    • 2000
  • Alfalfa (Medicago sativa L.)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contain water-soluble substances that are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Laboratory experiment through a petri-dish assay with imbibed seeds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autotoxic and allelopathic effects of alfalfa leaf extracts on the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red clover, crested wheatgrass, and Russian wildrye. Alfalfa seed germination was delayed dependent on extract concentration, with no difference in final germination at 72 hours. Root growth of alfalfa was stimulated up to 14% above control at very low concentrations of both leaf and stem extracts of alfalfa and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extract concentration of more than 0.5g dry tissue/L (${gL}_{-1}$). Leaf extracts were generally more autotoxic for root growth than were stem extracts. Hypocotyl growth was not affected by all the concentrations of both leaf and stem extracts. Root length of legumes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s from leaf extracts than was germination or shoot length. Hypocotyl growth of two legume plants and plant height of two grasses were not influenced by extracts. Seed germination and root growth of legumes were more inhibited by aqueous extracts of alfalfa leaf than were those of grasses. This result indicates autotoxic effect of alfalfa leaf extracts seems to be greater than allelopathic effect.

  • PDF

대두를 이용한 Lovastatin 대량생산용 Seed Culture의 제조기술 (Development of Seed Culture Using Soybean for Mass Production of Lovastatin with Aspergillus terreus ATCC 20542 Mutant)

  • 김수정;고희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6-670
    • /
    • 2008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산용 seed culture의 대량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배양체의 선발, 분석 및 최적 배양용기를 검토한 결과 대두를 이용하여 petri dish(${\phi}150{\times}20mm$)에 배양하였을 때 lovastatin의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포자의 발아 촉진을 위하여 대두에 Asp. terreus를 접종한 다음 열처리를 달리하여, 각 전배양체를 미강에 본배양하였다. 본배양액을 추출한 후 HPLC를 이용하여 lovastatin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3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전배양체가 본배양 12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성을 보이며, in vitro assay 결과, 대두를 $3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본배양하였을 경우에 HMG-CoA reductase가 82%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포자현탁액 접종법보다 대두를 이용한 방법이 더욱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배양시간의 단축성을 보여 산업화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Evaluation of Alfalfa Autotoxicity on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3 Cultivars

  • Chon, Sang-Uk;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71-78
    • /
    • 2000
  • Autotoxicity restricts reseeding of new alfalfa(Medicago sativa L.) after alfalfa until autotoxic chemical(s) breaks down or is dispersed into external environments, often requiring up to a year or more. One solution for reducing autotoxicity would be to select germplasms or cultivars with tolerance to the autotoxic chemical(5) and use genetically breeding program. Bioassay of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was conducted to evaluate autotoxic responses of 3 varieties of alfalfa to the water-soluble extracts(at 4 and 8g/L) from alfalfa ‘Cody’leaf by using agar and filter paper medium in a petri-dish assay. Root length at 5 days after seeding was more sensitive to the extract than was hypocotyl length or seed germination, and was a better parameter of autotoxic effects of alfalfa leaf extracts. Use of an agar medium gave better sensitivity of root length than did use of filter paper. Evaluating tolerance with percent of control was more important indicator than was mean of root length because of significant variation among varieties in root length of control treatment. Bioassay ranked varieties in the following order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relative root length; “Cody” >“ Pioneer 5373” >“ Alfagraze”. Seedling growth from old “Cody” seed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5) than was that from newly produced seed.

  • PDF

Dermal equivalent를 이용한 AHA류 및 보습 성분의 wound healing 효과에 관한 연구 (Wound healing effect of AHAs and moisturizing compounds with dermal equivalent)

  • 유영근;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9-80
    • /
    • 2000
  • 본 연구는 dermal equivalent를 이용하여 AHA류(lactic acid, glycolic acid, citric acid 및 malic acid) 및 보습 원료(sodium hyaluronate, glycerine, natural carbohydrate complex)에 대한 wound healing 효과 및 그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AHA류 및 보습 원료의 독성은 dermal equivalent를 이용하여 m assay를 실시한 후 적정 농도를 petri dish위에 조성한 dermal equivalent에 처리하였다. 그리고 wound healing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ollagen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collagen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잘알려진 vitamin C도 함께 처리하였다. AHA류의 경우 평균 pH 2-3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4N NaOH를 이용하여 pH를 6-7사이로 조절한 sample를 함께 실험하였다. 보습 원료의 경우 전반적으로 10% 이상의 높은 NR$_{50}$보여 주었다. 특히 sodium hyaluronate(1% stock solution)의 경우에는 16% NR$_{50}$를 보여 주었다. pH를 6-7로 조절한 AHA류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0.6% 내외의 NR$_{50}$를 보이는 가운데 lactic acid는 상대적으로 높은2% NR$_{50}$를 보여 주었다. Collagen 수축률 측정 실험 결과에서는 2% sodium hyaluronate(1% stock solution)가 대조군에 비하여 처리 후 2일째 25%내외의 향상된 수축률을 보여 주었다. pH를6-7로 조절한 AHA류 중 0.1%의 malic acid의 경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처리 후 1일째 및 2일째 각각 28% 및 35%의 수축률을 보여 주었으며 pH를 6-7로 조절한 0.1% vitamin C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반면에 pH를 6-7로 조절한 0.1% citric acid의 경우에는 10-20%의 낮은 수축률을 보여 주었다. MTT assay를 이용한 UV 조사 후 pH를 6-7로 조절한 AHA류의 repairing UV damage 효과에 대한 실험에서 0.1% 및 0.01%의 malic acid와 0.01% citric acid은 irradiation control에 비하여 약 10% 이상 세포수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citric acid의 경우 0.1% 농도에서 오히려 20%내외로 세포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lactic acid 및 glycolic acid는 두드러지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Collagen 합성을 측정 실험에서는 pH를 6-7로 조절한 AHA류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12-19% 더 합성을 촉진하였다. 반면에 pH가 2-3인 AHA류의 경우에는 대조 군과 유사하거나 조금 낮은 합성율을 보여 주었다.

  • PDF

메기디스 곤충병원선충(Heterorhabditis megidis)을 이용한 집파리와 풀색꽃무지의 생물적 방제 효과 (Biological Control Efficacy of an Entomopathogenic Nematode, Heterorhabditis megidis, Against Housefly, Musca domestica, and Flower Beetle, Gametis jucunda)

  • 강상진;한상찬;최경희;이순원;김용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17-22
    • /
    • 2003
  • 국내에서 채집된 메기디스 곤충병원선충(Heterorhabditis megidis)을 이용하여 집파리(Musca domestica)와 풀색꽃무지(Gametis jucunda)에 대해서 방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페트리디시 실내실험에서 H. megidis는 집파리와 풀색꽃무지 2령충에 대해 각각 456.4 및 238.9 infective juveniles (IJs)/마리의 반수치사 농도를 보였다. 이는 이미 방제 효과가 잘 알려진 곤충병원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을 동일한 두 종에 처리하였을 때 얻은 반수치사 농도(집파리는 115.9 IJs/마리, 풀색꽃무지는 388.6 IJs/마리)와 대조되었다. 포장시험에서는 집파리가 발생하는 축산농가에 평방 미터당 1,000,000 IJs를 처리할 경우 56.9%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풀색꽃무지가 발생되는 사과원에 평방 미터당 370,000 IJs를 처리할 경우 57.3%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메기디스 곤충병원선충이 집파리와 풀색꽃무지에 대해서 효과적 생물방제 인자가 될 수 있는 것을 제시한다.

  • PDF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 실내 검정 (Susceptibility of the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to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Laboratory Assays)

  • 김형환;한건영;박정찬;추호렬;조성래;이홍수;이동운;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7-151
    • /
    • 2007
  •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S. carpocapsae GSN1 계통(ScG), S. glaseri Dongrae 계통(Sg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계통(HbH) 및 Heterorhabditis spp. Cyeongsan 계통(HeG)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을 실내 페트리디쉬 검정하였다. 알팔파바구미의 유충 치사율은 선충 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알팔파바구니의 유충 한 마리당 각 선충 계통의 감염충(3령충)을 20마리 이상 접종했을 때 3일 후 77.5(HbH)-100(SgD)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선충의 침입수는 선충 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증식수는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다. 침 입수에서는 SgD를 알팔파바구미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로 접종했을 때 30.2마리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증식수는 HeG를 알팔파바구미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로 접종했을 때 2,671.5로 가장 많았다.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4 계통은 알팔파바구미의 성충에는 전혀 기생하지 않았으나 노숙 유충에 대해서는 매우 감수성이었다.

Nd:YAG 레이저조사 후 치근의 처치방법들이 치근면 치은섬유아세포부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he root conditioning treatments after Nd:YAG laser irradiation on in vitro human gingival fibroblast attachment to root surfaces)

  • 문혜성;임기정;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701-71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compatibility of the Nd:YAG lased root surface followed by root planing and/or tetracyline-HCI(T.C.-HCI) conditioning. $30,4mm{\times}4mm$ root segments were obtained from unerupted third molars and 21, periodontally involved root segments. The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 (1) healthy root cementum surface groups : 1) control(non-treated group), 2) lased only, 3) lased/root planed, and 4) lased/T.C.-HCI. (2) diseased root cementum surface groups : 1) control(root planed only), 2) lased/root planed, and 3) lased/root planed/T.C.-HCI. The specimens were treated with a Nd:YAG laser using a $320{\mu}m$ noncontact optic fiber handpiece with an energy setting of 1.5W($114.6J/cm^2$), 2.0W($152.9J/cm^2$), 5.0W($382J/cm^2$) for one minute. The fiber was held perpendicular to the petri dish(NUNC) 2cm apart in an attempt to expose the entire root segments equally.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cultured from explants of normal interdental gingival tissue obtained during third morlar extraction. The attachment assay was performed with third-generation fibroblasts. The numbers of gingival fibroblasts attached to the root surface were counted on each specimen under the light microscope, an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s test in SPSS/PC+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healthy root cementum surfaces, lased/root planed groups exhibited a significantly increased fibroblast attachment compared to controls, lased only, and lased/T.C.-HCI groups(p<0.05), 2) In diseased root cementum surfaces, laser treatment followed by root planing and/or T.C.HCl groups exhibited a increased tendency of fibroblast attachment compared to root planed only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laser treatment followed by root planing and/or T.C.-HCl would appear necessary so as to render the root surface biocompatible.

  • PDF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치사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Heat Killing Temperatur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김기용;강경민;성병렬;김맹중;임용우;김원호;박근제;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1-24
    • /
    • 2004
  •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치사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Vernal" 품종을 시험재료로 하여 종자를 Petri dish에서 발아시켜 작은 화분에 10 개체씩 이식, 생장실에서 4주간 재배하였다. 45, 50 및 $55^{\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는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거의 식물체 손상이 없었다. 6$0^{\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는 잎이 약간 시든 듯한 현상이 있었으나 식물체의 손상은 거의 없는 상태였으며, $65^{\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6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심한 손상은 받지 않았다. $70^{\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 알팔파는 일부에서 잎만 조금 마른 현상이 나타났으나, 치사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8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에서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60분 처리에서 거의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7일에는 50분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4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알팔파의 치사온도는 $80^{\circ}C$에서 50분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것으로 결정되었다.

오차드그라스 (Dactylis glomerata L.)의 치사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Heat Killing Temperature of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 김기용;강경민;임용우;박근제;임영철;서성;손대영;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28
    • /
    • 2004
  • 오차드그라스(Dactylis glomerata L.)의 치사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국내 육성품종인 "장벌 102호"(Jangbeol 102) 품종을 시험재료로 하여 종자를 petri dish에서 발아시켜 작은 화분에 10 개체씩 이식, 생장실에서 4주간 재배하였다. $45^{\circ}C$, $50^{\circ}C$$55^{\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는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거의 식물체 손상이 없었다. $60^{\circ}C$에서 30분간 이상 처리했을 때에는 잎 끝이 마르고 약간 시들었으나 식물체의 손상은 약한 편이었으며, $65^{\circ}C$에서 처리한 결과에서도 $60^{\circ}C$에서 처리했을 때보다는 좀 더 시들었지만 역시 심한 정도는 아니었다. $70^{\circ}C$에서 30분간 처리했을 때에 오차드그라스는 잎의 중간 정도까지 말랐으며,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는 지상부의 잎이 2/3 이상 마른 상태였다. $8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에서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50분 이상 처리에서 거의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7일에는 55분 이상의 처리에서만 모두 죽었으며, 50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오차드그라스의 치사온도는 $80^{\circ}C$에서 55분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