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use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4초

배양 조건이 Bacillus thuringiesis 독소단백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Production of Toxin Protein of Bacillus thuringiesis by Culture Conditions)

  • 김태완;김태환;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8-363
    • /
    • 2014
  • 신규 병원성세균 Bacillus thuringiensis CAB565, 566균주를 이용한 산업배지에서의 배양조건에 따른 독소단백질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포도당, 효모추출물 등으로 구성된 산업배지의 산소 전달 속도를 확인하고자 소형배양기에서 임펠러와 배지 농도에 따른 산소전달계수(KLa)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교반기의 통기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배지 농도가 높아질수록 산소전달계수(KLa) 값이 상승하였다. 하지만 교반속도는 200 rpm에서 가장 효율적이었고, 교반속도가 상승할수록 효과가 떨어졌다. Microsparger를 이용하여 배양 중 단계적으로 통기속도를 높여 배지내 용존산소농도를 50% 이상으로 유지시켜 배양한 결과 생균수는 배양 후 16시간, 포자수는 54시간에 최대의 농도값을 보였다. 그 결과, B.t. CAB565의 생균수는 $2.3{\times}10^{10}cell/ml$, 포자수는 $1.9{\times}10^{10}spore/ml$ 그리고 B.t. CAB566의 생균수는 $1.8{\times}10^{10}cell/ml$, 포자수는 $1.4{\times}10^{10}spore/ml$를 보였다. 탄소원의 농도는 포도당의 농도가 5%일 때, 세포성장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에 대한 항공방제 약제 탐색 및 무인항공기 살포에 의한 매개충의 약제 감수성 (Selection of Aerial Spraying Control Agent and Susceptibility of Pinewood Nematode Vectors to Spraying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 김준헌;남상준;송진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43-4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하여 무인항공기 (무인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스피네토람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하였다. 하늘소를 대상으로 등록된 펜토에이트 유제, 비펜트린 액상수화제, 하늘소를 제외한 딱정벌레가 대상인 에토펜프록스 유제, 디플루벤주론 수화제와 나방류에 방제 약제로 등록된 인독사카브 수화제,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 6종을 ULV기로 살포하여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섭식독과 접촉독을 확인한 후 선발하였다. ULV 시험 결과, 펜토에이트, 비펜트린, 인독사카브, 스피네토람의 33배, 55배 희석배수액은 처리후 3일차에 접촉독과 섭식독에서 100% 살충율을 보였으나, 에토펜프록스는 7일차 접촉독 살충율 88.9%(33배), 88.9%(50배), 섭식독 살충율 93.4%(33배, 50배), 디플루벤주론은 7일차 접촉독 살충율 83.3%(33배), 섭식독 80.3%, 53.9%(50배)로 조금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ULV 시험에서 선발된 가장 적합한 스피네토람의 33배액을 무인항공기로 살포하여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한 결과, 98.6% - 100%의 살충율을 보였다. 그러나, 해당 약제의 매개충 방제에 적용하기 전에 항공 살포에 의한 꿀벌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식물(植物)의 저항성(抵抗性) (Resistance of Plants to Herbicide)

  • 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6-106
    • /
    • 1984
  • Changes in weed floras and development of plant resistance to herbicides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increased and repeated use of herbicides. Herbicide use increased from 5% of the total consumption of pesticide in 1950 to 45% in 1976 in world basis. About 200 herbicides have been introduced to agriculture so as to control about 206 weed species which have been recorded important to human beings. In Korea, there was about 351 times in increased use of herbicides from 1966 to 1982. Interspecific selection by herbicide is mainly responsible for changes in weed floras and resulted in varying tolerance or susceptibility to herbicides,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agricultural practices. The present trend toward continuous cereal cultivation throughout world will lead to type of changes in weed floras favorable to therophyte which can survive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as seeds rather than the types of geophyte which can survive unfavorable seasons as buds placed below soil surface. However, geophyte such as Sagitaria pygmaea, and Scirpus jurtcoides, and Cyperus rotundus and Cynodon dactylon in temperate warm climate become severe paddy weeds, presumably because of the removal of annual weeds by herbicides. Since differential tolerance to 2,4-D was firstly reported in Agrostis stolofera, about 30 species of weeds in 18 genera are presently known to have developed resistance to triazine herbicides. Resistance of weed biotypes to triazine herbicide is not mainly due to limited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r to the difference in metabolism, but is the result of biochemical changes at the site of metabolic activity, such as a loss of herbicide affinity for triazine binding site in the photosystem II complex of the chloroplast membrane. Genetical study showed that plastid resistance to triazine was wholly inherited through cytoplasmic DNA in the case of Brassica campestris. Plant tissue culture method can be utilized as an alternate mean of herbicide screening and development of resistance variants to herbicides as suggested by Chaleff and Parsons. In this purpose, one should be certain that the primary target process is operational in cell culture. Further, there are a variety of obstacles in doing this type of research, particularly development of resistance source and it's regeneration because cultured cells and whole plants represent different developmental state.

  • PDF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농촌 주부들의 환경보전 의식 및 실천의 고취 방안 -농촌 주부들의 환경보전 의식 및 실천에 관한 실태- (Model on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Rural Housewives' Recognition & Practice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Recognition & Practice of Rural Housewives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 김기낭;권수애;김숙종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9권1호
    • /
    • pp.58-7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ural housewives' recognition and practice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rural housewives living in Chung-buk province.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during a week from August $25^{th}$ to August $31^{th}$ in 1995.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aved water quite well in washing their faces and the dishes compared with urban housewives, but they did not save water so well in using the lavatory. They used synthetic detergent, one of water pollutants, more often than natural soaps in shampooing and laundering. In addition, they did not use a measuring cup. It resulted in the waste of detergent and aggravation of water pollution. 2. Food waste was disposed of properly, but used batteries were not collected separately. A disposable vinyl bag was more commonly used than a reusable shopping basket. The reason for not using a shopping basket was bothering or uncustomary. Since most of them did not know refillable products of goods with environmental mark, they did not use those. Therefore, housewives should be educated in order to prevent soil pollution. 3. The use of spry-type pesticide and hair treatment, one of air pollutants, was wide-spread among them. They hardly recognized and practiced saving of electric power when they used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4. The major source of environmental knowledge was mass media like TV of radio. Many of them did not know the practical ways to solv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low level of recognition and practice of rural housewives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dicated that a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PDF

국내 지역별 채집계통 및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에 대한 Bacillus thuringiensis 제품의 생물활성 비교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Strain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 in Korea to Bacillus thuringiensis)

  • 김영림;조민수;오세문;김성우;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2
    • /
    • 2010
  • 국내 난방제 해충의 하나인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상업용 Bacillus thuringiensis 제품들을 이용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 채집한 지역계통과 2개의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에 대한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토하였다. 상품화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계통인 Tyuneup$^{(R)}$, Thuricide$^{(R)}$, Geumulmang$^{(R)}$ 등 3제품과 B. thuringiensis subsp. aizawai 계통인 Tobagi$^{(R)}$, Scorpion$^{(R)}$ 등 2제품을 이용하였다. 공시충으로 사용된 배추좀나방은 계대사육중인 감수성개체군 NP와 GR 2종류이며, 전국의 배추밭에서 채집한 SP, HS, NM, DR, HC, HW개체군 등 6종류를 야외 개체군으로 사용하였다. Tyuneup$^{(R)}$ 제품의 생물검정에서 감수성 계통인 고령지시험장계통의 GR과 비교해 SP 개체군은 4.8배를 그리고 HS 개체군은 2.5배의 저항성발달을 보였다. Geumulmang$^{(R)}$ 제품의 경우에는 감수성계통인 NP 개체군에 비하여 SP 개체군에서 9.9배와 NM 개체군에서 6.8배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냈다. Tobagi$^{(R)}$는 HS 개체군에서 GR 개체군에 비해 14배의 저항성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계통의 Scorpion$^{(R)}$은 SP 개체군에 약 2배정도의 저항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특정한 B. thuringiensis 제품이 특정지역에 집중적으로 계속 사용함으로서 저항성이 발달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종류가 다른 B. thuringiensis 제품을 교호 살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Tobagi$^{(R)}$에 14배의 저항성 발달을 보인 HS 개체군을 실험실에서 동일약제에 연속으로 노출시켰을 때 $F_2$세대에서는 급격히 저항성 수치가 떨어져 1.1로 나타나 저항성 기작의 검토가 필요하다.

뽕잎중 잔류농약의 monitoring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of the residues of some pesticides in mulberry leav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문재유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5-52
    • /
    • 1998
  • 농약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는 뽕잎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뽕나무에 등록되어 있는 유기인계 살충제 dichlorvos, acephate, phenthoate와 유기인계 살균제 pyrazophos, 그리고 뽕나무에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인근 포장으로부터 비산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pyrethroid계 살충제 deltamethrin과 cypermethrin에 대하여 2년간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1996년의 봄시료의 일부에서 검출된 dichlorvos, acephate 및 phenthoate의 잔류량이 각각 $0.018{\sim}0.032$, $0.013{\sim}0.072$, 및 0.051 ppm이었고, pyrazopho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빈도는 각각 29, 58 및 4%이었다. 반면 가을시료에서는 dichlorvos, acephate, 및 phenthoate의 잔류량이 각각 $0.012{\sim}0.048$, $0.020{\sim}0.156$, 및 $0.018{\sim}0.050$ ppm이었고, pyrazophos는 역시 검출되지 않았으며, 그 검출빈도는 각각 42, 17 및 13%이었다. 1997년의 봄시료의 일부에서 검출된 dichlouos, acephate 및 cypermethrin 잔류량이 각각 $0.014{\sim}0.064$, $0.033{\sim}0.061$, 및 $0.019{\sim}0.068$ ppm이었고, deltamethrin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빈도는 각각 75, 13 및 8%이었다. 반면 가을시료의 일부에서는 dichlorvos, acephate,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이 각각 $0.013{\sim}0.062$, 0.015, 및 $0.009{\sim}0.013$ ppm이었고, deltamethrin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그 검출빈도는 각각 88, 4 및 17%이었다. Cypermethrin이 고농도 (0.068 ppm)로 검출된 뽕잎시료 (No. 10, 1997 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는 누에에 무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phenthoate의 잔류분석에서는 GC column의 적절한 선택과 온도의 조절을 통하여 분리 및 확인이 애매한 화합물들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HPLC 및 GC-ECD/NPD를 이용한 과일 중 61종 농약의 QuEChERS 전처리 다성분 분석법 개발 (Modified QuEChERS Multi-Residue Analysis Method for 61 pesticides in Fruits using with HPLC and GC-ECD/NPD)

  • 이주영;홍수명;김택겸;;김양현;손경애;권혜영;이희동;임건재;김두호;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2-256
    • /
    • 2012
  • QuEChERS(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분석법은 고체상의 분말을 시료에 직접 주입하여 농약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분석법이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 방법은 기존 분석법에 비하여 적은 시료량과 상대적으로 많은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LC-MS/MS 등의 감도가 높은 분석기기를 필요로 하며, HPLC나 GC 분석을 위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QuEChERS AOAC Official 2007.01 법을 개선하여 사과, 포도, 배, 단감 4가지 과일을 대상으로 UPLC-PDA, GC-${\mu}ECD$ 및 GC-NPD 을 이용하기 위한 QuEChERS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QuEChERS AOAC Official 2007. 01법을 적용한 LC-MS/MS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QuEChERS AOAC Official 2007. 01법을 이용한 네가지 과일별 회수율은 각각 사과 71.1~104%, 포도 75.7~132.2%, 배 84.8~108.7%, 감 78.3~127.4%이었으며, 개선된 QuEChERS법을 이용한 네가지 작물별 회수율은 각각 사과 70.9~112.9%, 포도 71.3~101, 배 71.3~126%, 감 76.4~122.5% 이었으며, 두 방법 모두 다성분 분석법의 회수율 기준인 70~130%이내 조건을 만족하였다. 대부분의 농약이 변형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좋은 회수율이 보이므로 ECD, NPD 및 UVD와 같이 현재 분석기관에서 많이 보급된 분석 장비로 사용하여 다성분 동시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천 지역에 유통 중인 향신식물 및 향신료가공품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on Herbs and Spice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 여은영;정승혜;장진섭;권성희;박병규;이수연;박정은;서순재;김정임;김명희;주광식;허명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0-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향신식물 및 향신료가공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지역의 농산물 도매시장, 대형마트 및 온라인 마켓에서 수거한 향신식물 및 향신료가공품 112건을 대상으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으로 검사 가능한 잔류농약 400종을 검사하였다. 품목별 수거현황은 허브류(생것) 57건, 허브류(건조) 32건, 향신열매 11건, 향신씨 6건, 기타향신식물 4건, 향신뿌리 2건이며, 허브류(생것)(50.9%) 및 허브류(건조)(28.6%)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잔류농약은 전체 112건 중 4건이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검출되어 3.6%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농산물은 13건(11.6%)이었다. 총 11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고 검출된 작물은 바질, 고수, 딜, 레몬밤, 레몬그라스, 민트, 타임, 로즈마리, 카디멈이었다. 향신식물의 잔류농약 검출 결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농약의 잔류량이 허용기준 이하인 것은 농약 안전사용기준인 농약의 살포량, 살포횟수, 살포시기를 기준에 맞게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부적합 처리될 가능성이 많아지게 되므로 재배농가들이 농약사용지침을 반드시 준수하도록 지도 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향신식물의 잔류농약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잔류허용기준(MRLs)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강원도 옥수수 경작자들의 잡초방제 및 제초제 사용 실태 (Weed control and herbicide use by corn growers at Kangwon-do, Korea)

  • 김성문;이안수;김용호;조준모;허장현;한대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54-59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옥수수 경작자들의 잡초방제 및 제초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강원도 홍천군에 거주하는 옥수수 경작자 68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통계분석하였다. 옥수수 경작자들은 경작지에 문제가 되는 우점잡초로 1년생인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닭의장풀을 들었으며, 전체 응답자의 44%가 손제초를 선호하고 있었다. 제초제 사용자 중 94%는 초기제초제로 paraquat와 alachlor를 사용하였고, 87%는 중기제초제로 paraquat, glufosinate, glyphosate, fluazifop-P-butyl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특정한 제초제를 기준량의 2배이상 살포한다고 응답한 경작자가 전체 응답자의 48%에 달하여 조사대상 지역에서의 제초제 내성 혹은 저항성 잡초의 출현이 우려되고 있다. 사용된 제초제는 본인의 농사경험(55%), 이웃의 추천(18%), 판매상의 권유(13%), 농약사용지침서 이용(11%), 농업연구자 및 지도사의 추천(3%)에 의해 선정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경작자들은 제초제의 올바른 사용법을 지키지 않아 작물약해 및 농약에 의한 중독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37%는 작물약해를 경험하였으며, 42%는 제초제 처리시 혹은 처리 후 농약중독을 경험하였다. 경작자들에 의한 제초제 남 오용은 올바른 제초제 선정 및 사용법, 효율적인 잡초방제법에 대한 교육과 관련이 있기에 경작자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제초제의 선정 및 사용법, 그리고 효율적인 잡초방제법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Indoor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Household Products using Purge - and - Trap Method

  • Kwon, Ki-Dong;Jo, Wan-Kue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2권5호
    • /
    • pp.203-210
    • /
    • 2007
  • Since the emissions composition from the household products have potentially been associated with health risks for building occupants, the chemical composition emitted from the products should be surveyed.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emission composition for 42 liquid household products, using a purge-and-trap method. This evaluation was done by classifying the household products into five product classes (deodorizers, household cleaners, color removers, pesticides, and polishes). Nineteen compounds were chosen on the basis of selection criteria. The quality control program for purge-and-trap and analytical systems included tests of laboratory blank Tenax traps and blank water samples, and the determination of calibration equation, measurement precision, method detection limit (MDL), and recovery. The number of chemicals varied according to the product categories, ranging from 4 for the product category of bleaches to 12 for the product categories of air fresheners and nail color removers. For all product categories, the emission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s varied broadly according to product. It is noteworthy that most household products emit limonene: 19 of 25 cleaning products; 5 of 6 deodorizers; 1 of 3 pesticides; 3 of 3 color removers; and 4 of 5 polishes. It was suggested that the use of household products sold in Korea could elevate the formation of secondary toxic pollutants in indoor environments, by the reaction of limonene with ozone, which entered indoor environments or might be generated by indoor sources such as electronic air cleaning devices and copying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