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spray solu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Adjuvant에 의한 농약살포액의 물리성 개선 및 약효증진 효과 (Enhancement of Physical Properties and Efficacy of Pesticide Spray Solution by Addition of Adjuvants)

  • 진용덕;이희동;유오종;김진배;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1-428
    • /
    • 2008
  • Adjuvant 첨가에 의한 농약살포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약효증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농약살포액의 분무입경은 adjuvant의 첨가로 다소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효과는 약제 및 보조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또한 보조제 첨가에 의한 농약의 작물체 부착량은 일정한 경향없이 살포 방법 및 살포량에 따라 상반된 효과를 나타냈다. Adjuvant에 의한 tricyclazole WP와 fenobucarb EC 희석액의 살포 6시간 후 강우처리시 내강우성은 벼의 부위에 따라 $1.5{\sim}4.1$배의 높은 증진효과를 보였다. 또한 보조제 첨가에 의한 Propanil EC의 피 방제효과는 무첨가에 비해 $8{\sim}30%$의 약효 증진 효과를 보여 적절한 보조제를 혼용함으로써 농약의 살포회수 및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농약살포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물활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Pesticide Spray Solutions)

  • 진용덕;이상범;이상계;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1-421
    • /
    • 2005
  •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병해충 방제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희석제농약의 적정사용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희석용수의 수질이 살포액의 물리성과 약효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한 결과, 국내 6대강의 하천수와 52지점의 지하수에 대한 경도는 $5{\sim}324$(평균 90) ppm, 전기전도도는 $0.038{\sim}l.078$(평균 0.265) dS/m의 범위로 전반적으로 농약의 희석용수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농약살포액의 pH는 주로 희석용수의 pH 변화에 좌우되었으며, 표면장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져 부착면에서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희석제농약의 유화성, 현수성 등의 물리성은 용수의 경도, 염농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약주성분의 경시적 분해율도 조제 3일 후 대부분 5% 이내로 안정하였다. 유제와 수화제 농약의 혼용순서에 의한 살포액의 물리성은 수화시간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동일하였으며, 단지 수화제(WP>WG>SC)>유제>액제 순으로 희석하는 것이 살포액의 조제작업 측면에서 보다 용이하였다. 조제 3일 후 농약살포액의 각각의 적용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조제 당일에 비해 9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유지하였다.

Measurement of Spray Deposit Amount Using Spectrophotometer and Food Dye as Tracer

  • Rhee, J.Y.;Ahn, S.Y.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16-21
    • /
    • 2000
  • Measurement of spray deposit is necessary for evaluation of a chemical application technology. However it is not easy and time consuming. A simple method for measuring the deposition amount of spray using a tracer and a spectrophotometer was developed. Various materials were tested to determine an adequate tracer. Food dye was selected as a tracer, because it was cheep and easily treatable. Using NIRS(Near Infrared Reflection Spectrophotometer), a regression curves between maximum absorbance of a solu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tracer were obtained. Yellow food dye solution showed a peak of spectrum at 452 nm, and absorbance of peak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concentration increased. Green or pink food dye were tested and judged to be good tracers. However, tracer concentration should not exceed certain limits in order to measure maximum absorption. Using spraying liquid with known tracer concentration and known amount of washing liquid, spray deposit amount on real targets on leaves could be estimated at less than 13% error level.

  • PDF

헬기를 이용한 항공살포 농약의 비산 및 분포 특성 (Drift and Distribution Properties of Pesticide Spray Solution Applied Aerially by manned-Helicopter)

  • 진용덕;이희동;박연기;김진배;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1-356
    • /
    • 2008
  • 헬기에 의해 항공살포된 고농도 소량 살포농약의 비산 및 분포 특성과 이에 따른 벼와 주변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항공살포시 농약의 벼 부착량은 채취지점 및 약제에 따라 $3.1{\sim}4.7$배의 차이를 보여 살포 균일성은 낮았다. 헬리콥터에 의한 항공방제시 대상지역 이외의 포장으로 분무입자가 비산하는 정도는 바람부는 방향으로는 30 m, 바람부는 반대방향으로는 20 m 이내로 비교적 비산 정도가 낮았다. 살포된 농약은 대부분 벼에 부착되었고 논물 또는 토양 중에 낙하된 비율은 낮은 편이었으며, 재배환경 중 분해 속도는 벼> 물>토양 순이었다. 항공방제 포장의 벼 수확 후 토양 중살포농약의 잔류량은 불검출 ${\sim}0.201\;mg/kg$이었으며, 현미와 볏짚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항공살포에 의한 벼와 주변작물에 대한 약해반응은 무시할 수준이었다.

약제 살포 후 경과일수별 세척에 의한 방울토마토의 잔류농약경감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on mini-tomato by washing at the different harvest days after pesticide spray)

  • 권혜영;김진배;이희동;임양빈;경기성;권오경;최달순;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6-312
    • /
    • 2006
  • 시설하우스에서 방울토마토를 재배하여 농약 살포 후 경과일수별 세척시험을 실시하여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별 세척에 의한 잔류농약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방울토마토에 3종의 시판농약을 살포한 후 수돗물로 세척한 결과 침투이행성 약제인 oxadixyl은 약제살포 후 0일에 61%, 5일에 11%, 7일에 4% 제거되었고 침투성약제인 thiophanate-methyl은 89%, 89%, 79%, 비침투성인 chlorothlaonil의 경우 84%, 84%, 88% 제거되었다. 세정제인 $Sur-ten^{(R)}$용액 세척시는 약제살포 후 0일과 5일에 oxadixyl 81%, 55%, thiophanate-methyl 95%, 91%, chlorothlaonil 97%, 98%가 각각 제거되었다. 제거율에 있어서 부성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판농약과 달리 같은 부성분으로 제조된 시제품을 살포 한 후 수돗물 세척시에는 약제살포 후 0, 5, 7일에 각각 oxadixyl 76%, 66%, 43%, thiophanate-methyl 91%, 83%, 82%, chlorothlaonil 65%, 68%, 82% 제거되어 경과일수별 제거 양상은 시판농약과 비슷하였으나 제거율은 달라 세척시 원제 및 부성분함량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IGR계 농약 diflubenzuron의 독성과 누에이상증상 (The toxicity of an IGR class insecticide, Diflubenzuron on silkworm, Bombyx mori and abnormal symptoms)

  • 박경훈;김병석;박연기;이희동;정미혜;유아선;손봉희;강필돈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9-304
    • /
    • 2007
  • IGR계 농약은 곤충에는 독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분비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관찰된 누에 미화용 현상의 원인으로 추정되기도 하여 본 연구는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알려진 IGR계 농약 diflubenzuron의 누에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였다. 누에에 대한 급성독성시험과 뽕잎잔류 독성시험 결과에 의하면 diflubenzuron은 표준살포액을 10,000배 희석한 액에 노출된 누에에도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고, 6주전에 야외에서 표준살포농도로 살포한 뽕잎을 급여하여도 누에가 치사되는 등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나 최근 농가에서 나타난 미화용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과수원으로부터의 비산을 가정하여 과수원에 diflubenzuron WP (25%)를 살포하고 거리별로 뽕잎을 채취하여 누에에 섭식시킨 결과,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50 m 까지만 화용비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과수원에서 비산된 diflubenzuron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100 m 정도의 안전거리를 둘 것을 추천한다.

고추씨 중 농약 잔류와 고추씨 기름으로 농약의 이행 (Pesticide residues in chili pepper seeds and their transfer into the seed oil)

  • 이미경;김종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17-322
    • /
    • 2016
  • 노지재배 고추(chili pepper)에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세 성분 혼합 농약을 안전사용기준 보다 5배 높은 농도로 살포한 후 수확기에 홍고추를 수확했다. 수확한 고추를 수세 및 건조한 후 고추씨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고 이들 각 시료에 대해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한 생 홍고추에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성분이 각각 4.43, 0.334, 1.56 mg/kg으로 잔류했으며 수세에 의해 각각 91.4, 94.3, 85.3% 수준으로 잔류농도가 낮아졌다. 건조에 따른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성분 각각의 농약 가공계수는 5.01, 4.94, 4.19로서 고추 건조에 따른 무게 증가 비율 4.6배를 잘 반영했고 건조과정 중 농약성분의 소실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고추씨에서는 difenoconazole과 lambda-cyhalothrin은 정량한계 이하(<0.005 mg/kg) 그리고 lufenuron은 두 시료에서 정량한계 이하(<0.005 mg/kg), 한 시료에서 0.0075 mg/kg으로 검출되어 고추 과피에 잔류하는 농약이 고추씨까지 이행되는 양은 거의 무시되는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추씨 기름에서 difenoconazole과 lufenuron이 각각 0.0263, 0.0295 mg/kg으로 검출되어 고추씨 기름에서의 농약 농축계수가 difenoconazole 5.26, lufenuron 4.7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용성이 강한 농약성분의 유지에 대한 이론적 농축계수 6.8배를 잘 설명해준다. 정제과정 없이 압착 방식에 의해 추출되는 고추씨와 같은 식용유지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시설재배 쪽파에서 살균제 Dimethomorph와 Pyraclostrobin의 잔류특성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Dimethomorph and Pyraclostrobin in Green On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 박종우;김태화;채석;심재룡;배병진;이해근;손경애;임건재;김진배;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8-335
    • /
    • 2012
  • 경채류로 분류될 수 있는 쪽파에 대한 살균제 dimethomorph와 pyraclostrobin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일을 기준으로 각각 1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수확당일, 수확 3일전, 수확 7일전, 수확 10일전 및 수확 14일전에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Dimethomorph의 경우 수확당일에는 26.31 mg/kg에서 39.08 mg/kg의 잔류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잔류량은 감소하여 수확 14일전 살포구에서의 잔류량은 6.86 mg/kg에서 9.34 mg/kg으로 나타났으며, pyraclostrobin의 경우도, 수확 당일 살포구에서의 농약 잔류량은 13.46 mg/kg에서 39.08 mg/kg으로 나타났으나 수확 14일전 살포구에서는 3.57 mg/kg에서 5.21 mg/kg으로 나타났다. 수확당일의 잔류량을 기초하여 작물 중 농약살포액의 부착량을 환산한 결과 dimethomorph의 경우 274.34~345.84 mL/kg, 그리고 pyraclostrobin의 경우는 213.65~343.33 mL/kg 나타내었다. Dimethomorph와 pyraclostrobin의 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소실 정도를 조사한 결과 dimethomorph의 경우 분해반감기가 6.95~7.45일, pyraclostrobin은 7.15~7.45일로 두 농약의 쪽파에서의 분해반감기는 비슷하였다.

일시수확 엽채류에서 살균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잔류특성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boscalid and fluidioxonil at the same time harvest leafy-vegetables)

  • 배병진;이해근;손경애;임건재;김진배;김태화;채석;박종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8
    • /
    • 2012
  • 일시에 수확하는 엽채류 중 시금치, 얼갈이배추, 비타민채 및 청경채에 대한 살균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잔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일을 기준으로 각각 1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수확당일, 수확 2일전, 수확 5일전 및 수확 7일전에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수확당일의 잔류량을 기초하여 작물 중 농약살포액의 부착량을 환산한 결과 boscalid의 경우 시금치에서 253.9 mL/kg, 그리고 얼갈이배추, 비타민채 및 청경채에서는 각각 83.0, 97.8 및 88.3 mL/kg으로 조사되어 시금치에서 가장 많이 살포액이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의 경우도 시금치 157.6 mL/kg, 얼갈이배추 67.6, 비타민채 64.8 그리고 청경채에서 66.6 mL/kg의 부착량을 나타내어 시금치에서 가장 높은 살포액 부착량을 나타내었다. 각 작물에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소실 정도를 조사한 결과 boscalid의 경우 시금치에서 분해반감기가 5.9일, 얼갈이배추 7.4일, 비타민채 4.6일, 청경채 4.3일로서 얼갈이배추에서 분해 반감기가 가장 길었으며, fludioxonil의 경우에서도 시금치 3.0일, 얼갈이배추 4.0일, 비타민채 3.2일, 청경채 3.5일로 얼갈이배추에서 분해반감기가 가장 길었다. 두 농약의 잔류특성이 비교되었을 때 농약살포 후 살포액의 부착량과 작물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반감기는 fludioxonil 보다 boscalid이 더 많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재배 쪽파와 부추에서 살충제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특성 비교 (Comparision of the Residue Property of Insecticide Bifenthrin and Chlorfenapyr in Green Onion and Scall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 박종우;손경애;김태화;채석;심재룡;배병진;이해근;임건재;김진배;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4-301
    • /
    • 2012
  • 일시에 수확하는 경채류 중 쪽파와 부추에 대한 살충제 bifenthrin와 chlorfenapyr의 잔류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수확일을 기준으로 각각 1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수확당일, 수확 3일 전, 수확 7일 전, 수확 10일 전 및 수확 14일 전에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수확당일의 잔류량을 기초하여 작물 중 농약살포액의 부착량을 환산한 결과, 쪽파의 경우 123.0-125.5 mL/kg, 그리고 부추에서는 70.0-74 mL/kg으로 조사되어 쪽파가 부추에 비해 더 많은 살포액이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작물에서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소실 정도를 조사한 결과, 쪽파에서 bifenthrin의 분해소실곡선은 y = 1.0334 $e^{-0.0602x}$ ($R^2$= 0.8606), chlorfenapyr는 y = 2.2603 $e^{-0.0519x}$ ($R^2$= 0.9043)이었으며, 부추에서는 bifentrhin의 경우, y = 0.7693 $e^{-0.1823x}$ ($R^2$= 0.9756), chlorfenapyr는 y = 1.2940 $e^{-0.1051x}$ ($R^2$= 0.9782)으로 나타났다. 이 분해소실곡선을 이용하여 각 작물에서 두 농약의 분해반감기를 조사한 결과, bifenthrin의 경우, 쪽파에서 분해반감기는 11.51일이었으며, 부추에서는 3.80일로서 쪽파에서의 분해 반감기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chlorfenapyr의 경우에서도 쪽파 13.35일, 부추 6.59일로 쪽파에서의 분해반감기가 더 길었다. 쪽파와 부추에서 두 농약의 잔류특성이 비교되었을 때 농약살포 후 살포액의 부착량과 작물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반감기는 부추에서보다는 쪽파에서 더 많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