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control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1초

시설농장 무선원격 반자동 방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emi-Autonomous Pesticide Spray Robot for Glass House Rose Farming)

  • 김경철;유범상;양창완;장교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34-42
    • /
    • 2010
  • Agricultural automation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by environmental change. The automation demands the highest technology due to the ever changing various conditions in agriculture system. In the paper, semi-autonomous pesticide spray robot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rose farming in the glass house. The robot is in autonomous mode during pesticide spraying process driven on pipe rail. The robot is manually driven while moving from a rail to the next rail. The drive platform and autonomous operation control system are developed based on IT fusion technology. The pesticide spray system is also developed with nozzles and booms for precision mist spray system. Experimental data of nozzle test is also included.

강원도 인삼재배지 농약 사용 실태 (Survey on Pesticide Use by Ginseng Growers at Gangwon Farmland in Korea)

  • 강혜순;박동식;황윤갑;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5
    • /
    • 2007
  • 본 연구는 강원도내의 4개시 8개군에 거주하는 271명의 인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36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강원도 인삼 재배지의 농약사용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빈도 및 교차 통계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 문제가 되는 식물병으로 점무늬병,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뿌리썩음병, 균핵병, 해충은 달팽이, 줄기 굴파리, 굼벵이, 선충, 거세미나방, 잡초는 망추 바랭이, 명아주, 피, 쑥 등을 선정하였다.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응답자의 35%는 농약에 의존한다고 하였으며, 31.5%는 농약사용뿐만 아니라 해충의 천적과 미생물 이용 및 친환경자재 등을 혼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78.8%가 본인의 경험, 농약상 및 이웃의 추천 등으로 농약을 선정하고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서 미적용 약제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농약 살포 시 기준량을 준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96.3%), 이것은 낮은 비율의 인삼약해(30.1%)와 살포자 중독 경험(38.8%)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사용 농약을 2년에서 5년간 연용하고 있어(44.1%) 이 지역 병해충 및 잡초의 약제 저항성 유발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올바른 농약 선정 및 사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용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농약방제 효율성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ethods of Pesticide Control Using Agricultural Unmanned Aerial Vehicles)

  • 정가영;조용윤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5-40
    • /
    • 2022
  • 농업환경에서 농약방제는 농업인에게 작업 위험성과 높은 노동력을 요구한다.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농약방제는 기후, 토지형태, 무인항공기의 특성에 따라 효율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살포조건과 환경조건을 고려한 효율적인 무인항공기 농약방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작물별 살포조건과 환경정보를 고려한 농업용 무인항공기 기반의 효율적인 농약 방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감수지 부착 후 고도 및 속도 변화에 따른 농약 낙하균일도 측정 및 작물 성장조건 변화에 따른 수관내부 약제 침투율 측정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모델의 효과성을 보였다. 실험결과, 무인항공기의 높이가 지면과 가까울수록 작물에 고르게 살포되지만 안전이 고려된 2m이상이 높이와 평균 2m/s의 속도에서 가장 방제효과가 적합하였다. 제안하는 방제 시스템은 농업환경에서의 다양한 무인항공기 활용 기반 지능형 서비스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농약(農藥) 환경(環境) 안전성(安全性) 평가(評價)의 국제적(國際的)인 조화(調和) (International Harmonisation of Pesticide Environmental Safety Assessments)

  • 디 라일리;제이 다이슨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79
    • /
    • 1997
  • Governments and industry have a growing interest in the harmonization of environmental test methods and risk assessment procedures. OECD are currently producing a set of harmonised test guidelines for studying the environmental fate and ecological effects of pesticides. FAO has published a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procedure. This procedure, which is similar to those used in US and Europe, is based on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toxicity of a pesticide to indicator organisms to their level of exposure to the pesticide. The exposure depends on both the concentration of the pesticide and its bioavailability. Ratios which indicate a pesticide will not produce a harmful effect have been established using ecological field studies. Examples are presented for assessing the risk to aquatic ecosystems, earthworms and honeybees. Long-term field studies(up to 20 years) have also shown that pesticides can be used indefinitely without harming soil fertility. Herbicides can be used to avoid the ecologically damaging effects of using soil cultivations excessively for weed control.

  • PDF

시설채소 온실에서 무인 자동 약제 살포장치를 이용한 해충 방제효과 (Pest Control Effect using Unmanned Automatic Pesticide Spraying Device in Vegetable Greenhouse)

  • 이중섭;이재한;방지웅;김진현;장혜숙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59
    • /
    • 2022
  • 시설재배 온실에서 병해충 방제를 위해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작물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무인 자동 농약 살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제처리를 실시하였다. 토마토, 딸기의 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해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꽃노랑 총채벌레의 방제효과는 토마토에서 85.6%, 딸기에서 87.5%로 나타났고, 온실가루이는 각각 81.7%와 80.6%를 나타내었다. 또한 약제처리 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는 관행약제살포 처리구 81.7%, 무인 자율 약제 살포처리구 83.9%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F=22.1, p < 0.001). 두 처리구간 방제효과 비교 시 현저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무인 자율 약제 살포처리에서 2.2%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약제 살포 시간을 비교한 결과, 무인 자동 약제 살포기는 살포시간이 5min/10a으로 관행 약제 살포시간 25-30min/10a 보다 25min 정도 적게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생최성기에 시설온실에서의 효율적인 해충 방제로 무인 자동 약제 살포방제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추중 잔류농약의 경감에 미치는 감광작용의 효과 (Effect of Photosensitization on the Diminution of Pesticide Residues on Red Pepper)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준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6-121
    • /
    • 2000
  • 재배중인 고추표면의 농약잔류물을 인위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하여 몇몇 감광제 (photosensitizer, 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살균제 dithianon, triflumizole 및 triforine을 고추에 4회 살포한 후 선발된 감광제를 1회 살포하고, 감광제 살포 후 0, 1, 3, 7, 15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회수율은 $76.6{\sim}78.3%$인 dithianon 외에는 $90.7{\sim}98.5%$로서 양호하였다. Dithianon의 경우, PS-1 (10 ppm) 살포 후 1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6%이었다. Triflumizole의 경우, PS-4 (50 ppm) 살포 후 1일에 잔류량은 대조구의 48%이었다. Triforine의 경우, PS-3 (100 ppm) 살포 후 1일에 잔류량은 대조구의 55%이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감광제의 작용은 농약의 종류 및 농약이 잔류해 있는 매체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소섬유 방제 마스크의 농약차단효과 및 흰쥐의 급성 흡입독성 예방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Pesticide-preventing Active Carbon Fiber Mask on the Penetration of Pesticide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Acute Inhalation Toxicity in Rats)

  • 김창종;최현호;심상수;신화우
    • 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47-458
    • /
    • 1998
  • Inhibitory activity of pesticide-preventing active carbon fiber mask on the penetrations in pesticide spray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acute inhalation toxicity in rats were s tudied. Pesticides were sprayed into box ($1.O{\times}1.2{\tmies}O.6\;m$) at a dose of 20ml/min of diazinon ($Diatone^{TM}$) suspension (340ppm) and 5g/min of BPMC powder (2.0%) for 4 hours, and then captured the penetrated pesticides into water via mask in box under 8l/sec suction. The pesticides were analysed by A.O.A.C. method and GC/MS. Pesticide-preventing active carbon fiber mask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enetration of diazinon by 93.4% as compared with control, and cotton mask and pesticide-preventing mask did it by 74.2% and 83.7%,respec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pesticide-preventing active carbon fiber mask has the most prominent inhibitory effect in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diazinone. In the penetration of BPMC, all of three masks, such as active carbon fiber mask, cotton mask and pesticide-preventing mask, have a similar inhibitory effect, which were 99.3%, 98.6% and 97.0%, respectively. The penetrated pesticides via pesticide-preventmg active carbon fiber mask did not exert acute inhalation toxicity.

  • PDF

Recent trend of chemical studies of fungicide in China

  • Jiang, Mingliang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2002
  • Recent progress of several kinds of compounds which have been synthesized or isolated from natural fungi for screening or conducting test as agricultural fungicides as well as some formulations for wood stain and decay control have been reviewed in this paper in China. Comments were pointed for Chinas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ngicides as well as pesticides.

Increased Frequency of Micronuclei in Binucleated Lymphocytes among Occupationally Pesticide-exposed Populations: A Meta-analysis

  • Yang, Hai-Yan;Feng, Ruo;Liu, Jing;Wang, Hai-Yu;Wang, Ya-D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955-6960
    • /
    • 2014
  • Background: The cytokinesis-block micronucleus (CBMN) assay is a standard cytogenetic tool employed to evaluate chromosomal damage subsequent to pesticide exposure. Objectives: To evaluate the pooled levels of total micronuclei (MN) and binucleated cells with micronuclei (MNC) in 1000 binucleated lymphocytes among population occupationally exposed to pesticides and further determine the more sensitive biomarker of CBMN. Materials and Methods: A meta-analysis on the pooled levels of MN and MNC in binucleated lymphocytes among occupationally pesticide-exposed populations was conducted using STATA 10.0 software and Review Manager 5.0.24 in this study.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MN and MNC in 1000 binucleated lymphocytes between pesticide-exposed groups and controls, and the summary estimates of weighted mean difference were 6.82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4.86-8.78] and 5.08 (95% CI: 2.93-7.23), respectively. However, when we conducted sensitivity analyses further, only the MN remained statistically different, but not the MNC, the summary estimates of weight mean difference were 2.86 (95% CI: 2.51-3.21) and 0.50 (95% CI: -0.16-1.17), respectively. We also observed pesticide-exposed subjects had significantly higher MN frequencies than controls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male and female populations, and American, Asian and European countries in stratified analyses.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MN in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might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early genetic effects than MNC using the CBMN assay for occupationally pesticide-exposed populations.